問題一覧
1
눈의 가장 바깥을 싸고 있는 막
공막
2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조절
홍채
3
볼록렌즈처럼 빛이 굴절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망막에 상이 맺히게 함
수정체
4
수정체의 두께 조절
섬모체
5
눈 안쪽으로 들어가는 빛이 들어가는 구멍
동공
6
투명한 막, 빛을 적당히 굴절시킴
각막
7
눈 속을 채우고있는 투명한 액체, 눈의 형태 유지
유리체
8
검은 막, 눈의 내부를 어둡게 유지해 암실 역할을 함(빛이 동공으로 모이게 하기 위해서)
맥락막
9
상이 맺히는 곳, 시각세포가 분포돼있어서 빛의 자극을 받아들인다
망막
10
시각 신경이 빠져나가는 곳을 시각세포가 분포하지 않아 이곳에는 상이 맺혀도 보이지 않음
맹점
11
시각세포의 흥분을 대뇌로 전달
시각 신경
12
적합자극 눈 : 귀 : 코 : 혀 : 피부 :
빛, 소리, 기체 물질, 액체 물질, 접촉, 압력 등
13
생물에 작용하여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 환경의 변화
자극
14
물체를 보는 과정
빛 -> 각막 -> 수정체 -> 유리체 -> 망막의 시각세포 -> 시각 신경 -> 대뇌
15
눈의 명암 조절 어두울 때
홍채 축소, 동공 커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증가
16
눈의 명암 조절 밝을 때
홍채 확장, 동공 작아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감소
17
원근 조절(거리 조절) 가까운 곳을 볼 때
섬모체 수축, 수정체 두꺼워짐
18
먼 곳을 볼 때
섬모체 이완, 수정체 얇아짐
19
( )의 확장과 수축에 의해 ( )의 크기가 변하여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조절됨
홍채, 동공
20
( )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 )의 두께가 변하여 상이 ( )에 정확하게 맺히게 함
섬모체, 수정체, 망막
21
소리를 모음
귓바퀴
22
귓바퀴와 고막 사이의 통로
외이도
23
소리에 의해 최초로 진동하는 얇은 막
고막
24
고막의 진동을 증폭하여 달팽이관으로 전달
귓속뼈
25
청각 세포가 있어 소리를 자극으로 받아들임
달팽이관
26
몸의 회전을 감지
반고리관
27
몸의 기울어짐을 감지
전정기관
28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뇌로 전달
평형 감각 신경
29
고막 안쪽과 바깥쪽의 공기 압력을 같게 조절한다
귀인두관
30
청각세포의 흥분을 대뇌로 전달
청각 신경
31
소리를 듣는 과정
소리 -> 귓바퀴 -> 외이도 -> 고막 -> 귓속뼈 -> 달팽이관의 청각세포 -> 청각 신경 -> 대뇌
32
귀는 자세나 운동 방향을 감각하여 몸의 ( )에 관여한다(소뇌 담당)
균형 유지
33
평형 감각 기관 ( ) : 중력 자극을 받아들여 몸의 기울어짐과 위치 변화를 감각 ( ) : 몸이 회전하는 것을 감각
전정 기관, 반고리관
34
코의 구조와 특징 자극원 : 냄새를 맡는 과정 : 특징 : 가장 ( )한 감각이지만 쉽게 ( )해져 ( )를 오래 맡지 못 한다.
기체 물질, 기체 물질 -> 콧속 -> 후각 상피의 후각 세포 -> 후각 신경 -> 뇌, 예민, 피로, 같은 냄새
35
혀의 구조와 특징 자극원 : 맛을 느끼는 과정 : 특징 : 맛세포에서 느끼는 기본적인 맛은 ( )×5이다.
액체 물질, 액체 물질 -> 유두 -> 맛봉오리의 맛세포 -> 미각 신경 -> 뇌, 단맛,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
36
깃털이 닿거나 옷깃이 스치는 것과 같은 접촉 자극을 느낀다
촉점
37
손으로 누르거나 압박을 가하는 것과 같은 압력을 느낀다.(ex.떫은맛)
압점
38
매우 강한 자극을 감각하여 아픔을 느낀다(ex.매운맛)
통점
39
이전보다 온도가 높아진 것을 감각하여 따뜻해짐을 느낀다.
온점
40
이전보다 온도가 낮아진 것을 감각하여 차가워짐을 느낀다.
냉점
41
피부에서 다양한 자극을 감각할 수 있는 것은 피부에 자극을 받아들이는 여러가지 ( )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 )되있지않다?
감각점, 고르게 분포
42
피부감각을 느끼는 과정
피부자극 -> 감각점 -> 피부 감각 신경 -> 대뇌
43
피부 감각점의 수
통점 > 압점 > 촉점 > 냉점 > 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