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전쟁 순서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2
한국인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내세운 것
내선일체
3
중일 전쟁 이후 군수 물자를 생산하는()기지로 만드는 무슨 정책을 추진했는가
병참기지회
4
황국신민화 정책
궁성요배, 황궁신민서사 암송, 신사참배, 학교 교육 통제, 창씨개명 실시, 황국신민 학교를 의미하는 초등학교
5
위안부는 일제가 침략전쟁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를 동원한 것 ()에 들어갈 단어는?
성노예
6
위안부를 처음으로 알린 사람은?
김학순
7
아시아,태평양 침략 전쟁 확대로 제정된 법은?
국가총동원법
8
노동력 동원은?
모집, 관알선, 징용, 근로보국대
9
여성동원은?
위안부, 근로정신대
10
병력
징병, 학도병, 지원병
11
작은 새의 의미
평화의 상징이자 세상을 떠난 할머니들과 현재와 우리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12
의자의 의미
세상을 떠난 할머니들의 빈자리이자 지금 우리가 소녀와 함께 공감을 수있는 공간
13
맨발과 발뒷꿈치가 들려 있는 모습의 의미
도망가지 못하게 신발을 빼앗은 의미와 고향에 돌아가도 편히 정책하지 못한 할머니들의 설움
14
나비의 의미
돌아가신 할머니들이 다시 태어나 한을 풀기 바라는 염원
15
주먹의 의미
일본 정부의 진심어린 사과를 받아 내겠다는 의지
16
거칠게 잘린 머리카락의 의미
부모와 고향으로부터 강제로 단절 된 것
17
그림자의 의미
오랜시간 풀리지 않는 한과 가슴 앓이
18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한 곳은?
조선어학회
19
민중속으로라는 의미의 브나로드 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한 신문은?
동아일보
20
문자 보급 운동을 벌인 신문은?
조선일보
21
정체성론 핵심은 조선은 스스로 독립할 수 없으므로 누군가의 지배를 받아야한다이다
X
22
한국 광복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청천을 사령관으로 하여 연합국의 일원으로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23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있는 사람은?
김구
24
조선독립동맹에 관련있는 사람은?
김두봉
25
남만주에서 양세봉과 관련있는 것
조선 혁명군
26
동만주와 김일성과 관련된 것?
동북 항일연군
27
북만주와 지청천이 관련있는 것?
한국독립군
28
민족 혁명당의 설명인 것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함께 만듦
29
개인 민족 국가 간의 군등을 실현하고자 한 사상으로 독립운동가 조소양이 창시한 것
삼균주의
30
카이로 회담에는 미국, 영국, 소련 3개국 정상이 참여 하였다.
X
31
미군정은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대신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정부로 인정하였다.
X
3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의 흐름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미.영.소.중 4개국의 의한 최고 5년간의 신탁통치 실시 결정, 미소 공동위원회, 미국 한반도 문제를 통일에 상정, UN 총회,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의 총 선거 결정 및 소련의 입북 거부, UN 소총회, 선거 감시가 가능한 지역에서만 우선 선거를 실시하도록 결정, 제주 4.3 사건, 김구와 김규식에 의한 남북 협상 개최, 5.10 총선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여수.춘천 10.19 사건
33
제주 4.3 사건과 여수.순천 사건 10.19 사건의 공통점
남한만 단독 정부로 부정적임
34
공출량이 늘어난는 까닭
침략전쟁의 확대로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35
미국에서 귀국해 독립 촉성 중앙협의회 조직
이승만
36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가 합쳐지고 중요인물이 김원봉인 것이 만든 무장부대의 이름과 특징
조선 의용대/중국 관내 최초의 한국인 무장부대
37
미국,영국,소련3국의 외무 장관이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한 회의의 이름과 결성한 사항중 마지막 사항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최소 5년 이내 미국,영국,소련,중국의 신탁통치 시행 합의
38
조선 독립 동맹에서 만든 것
조선 의용군
39
조선 건국 동맹이 만든 것
노농군 결성 준비
40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41
타율성
스스로 독립할 수 없으므로 누군가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
42
정체성
그냥 두면 발전 가능성이 없다.
43
당파성론
조선인의 민족성이 되어 단결이 불가능하다.
44
이것의 이름은?
카이로 선언
45
ㄱ의 표현의 의미
일제 식민통치의 가혹함
46
개인자격으로 귀국해 한국 독립당 정비
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