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갑골문은 무엇인가
거북을 배딱지나 짐승 뼈에 새긴 글자로 나라의 중요한 사안을 점친 후 기록한 것
2
금문이 무엇인가
청동기에 주조하거나 새겨 놓은 글자로 자획이 넓고 굵으며 비교적 정연하여 균형이 잡혀 있음
3
전서가 무엇인가
대전과 소전으로 나뉘며 주로 문자 개혁 이후 글자인 소전을 가리킴. 이전보다 쓰는 방법이 정리되면서 일정한 규범을 지니기 시작함
4
예서가 무엇인가
전서의 필획 대폭 생략하고 곡선이나 원을 그리며 네모난 모양으로 간략화하여 틀을 갖춤
5
해서가 무엇인가
한 나라의 말기부터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는 것으로 모양의 단정하고 짜임새가 있음
6
구체적인 상술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상형
7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손으로 나타내는 원리의 글자
지사
8
이미 만들어진 좀 이상의 한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원리의 글자
회의
9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만들되, 일부는 뜻으로 나타내고 일부는 음으로 나타내는 원리의 글자
형성
10
유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유방의 태몽에는 뱀이 나왔어요.
11
유방과 같은 편이 아닌인물은?
연륜 있는 책사 범증
12
다음 내용을 읽고,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을 쓰세요.
용
13
항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주변 사람들의 말을 잘 새겨들었어요.
14
유방과 항우는 진나라를 몰락시키기 위해 힘을 합했어요.
O
15
항우는 진시황릉을 파헤치고 아방궁에 불을 질렀어요.
O
16
항우는 홍문의 연회에서 유방의 목숨을 빼앗았어요.
X
17
항우는 전투에서 유방을 이기고 한나라를 세웠어요.
X
18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지 빈칸에 들어갈 인물을 쓰세요.
한신
19
소동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법을 주장했어요
20
송나라 때 나라의 관리가 되기 위해 사람들은 성리학을 공부하고 이것에 도전하였습니다. 왕안석과 소동파 모두 이것에 통과하여 관리가 되었는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과거
21
소동파가 마지막으로 유배 생활을 했던 지역으로 이곳에 학교를 세우고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한 곳은 어디인가요?
해남도
22
빈칸에 들어갈 말을 써 보세요
문치주의
23
상선약수
세상에서 가장 선한 것은 물과 같음
24
물아일체
나와 사물이 하나가 됨
25
무위자연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26
당랑거철
수레바퀴를 막아선 사마귀
27
무용지물
쓸모없는 것이 오히려 쓸모 있음
28
노자에 대한 설명 중 울지 않은 것은?
주나라 궁궐을 지키는 게으른 문지기였어요.
29
장자에 대한 설명 중 울지 않은 것은?
초나라 위왕이 재상으로 임명하자, 두말없이 받아들였어요
30
윤희는 노자에게 (도덕경)을 써 달라고 간곡히 청했어요.
O
31
노자는 황금 마차를 타고 서역으로 떠났어요.
X
32
장자는 소요유. 즉 자유롭게 노니는 삶을 추구했어요.
O
33
장자는 장례식만큼은 성대하게 치러 달라고 부탁했어요.
X
34
제자백가
35
쑨원의 삼민주의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민주주의
3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쓰세요.
국공합작
37
장제스의 국민당이 공산당에 패하여 중화민국을 이전한 곳은?
타이완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사건은?
5.4운동
39
쑹칭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장제스를 끝까지 지지했어요
40
이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두보와 만나기만 하면 다투었어요
41
두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과거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높은 벼슬에 올랐어요.
42
현종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당나라 제2의 전성기를 이끌었어요.
43
두보는 안사의 난이 일어났을 때 반란군에 사로잡혀 목숨을 잃었어요.
X
44
이임보는 당나라 현종 때 재상으로, 나라가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충신이에요.
X
45
도교에 관심이 많았던 이백은 젊은 시절 산에 들어가 도술을 배우기도 했어요.
O
46
이백과 두보는 열한 살의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깊은 우정을 나누었어요.
O
4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세요.
안사의 난
48
手不釋卷
수불석권
49
知音
지음
50
風樹之歎
풍수지탄
51
管鮑之交
관포지교
52
不恥下問
불치하문
53
一擧兩得
일거양득
54
伯牙絕絃
백아절현
55
日就月將
일취월장
56
一石二鳥
일석이조
57
螢雪之功
형설지공
58
昏定晨省
혼정신성
59
孟母斷機
맹모단기
60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61
龍鬚鐵
용수철
62
洋襪
양말
63
ㄱ의 주제로 옳은 것
우정
64
유래한 성어는?
ㄹ
65
4
66
풍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