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역학 2
  • han-ul Jo

  • 問題数 64 • 7/3/2024

    記憶度

    完璧

    9

    覚えた

    2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대기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ㄷ

  • 2

    부시네스크 근사(Boussunesq Approxim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ㄷ

  • 3

    다음은 동서방향의 운동방정식을 구성하는 각 항과 중위도에서 공간변수의 전형적 규모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가)~(다)항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단, 수평속도 규모는 10ms-¹, 연직속도 규모는 1cms-¹, 길이규모는 10⁶m이다.)

    (나)-(가)-(다)

  • 4

    상대소용돌이도와 행성소용돌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네이도의 발달에는 행성소용돌이도가 상대소용돌이도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 5

    ITCZ(열대 수렴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ITCZ에서는 북반구와 남반구의 하층대기가 적도에서 수렴하고 이 공기가 상층으로 균일하게 강제 상승하여 기다란 구름 띠를 이룬다.

  • 6

    베타평면(β-plane)에서 순압 소용돌이도 방정식을 기술할 때, 상대소용돌이도의 시간에 따른 국지경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동서류에 의한 행성소용돌이도의 이류

  • 7

    등고도 좌표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등고도 좌표계는 등압 좌표계에 비해 파동 분석에 용이하다.

  • 8

    대기대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기의 흐름이 주로 동서류인 이유 중 하나는 행성소용돌이도가 경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 9

    종관규모 운동에 대한 소용돌이도 방정식의 규모분석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A, B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A-절대소용돌이도, B-수평 발산

  • 10

    북반구에서, 로스비파(Rossby wav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상층의 평균류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더 잘 전파된다.

  • 11

    로스비수(Rossby number, R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ㄴ, ㄷ

  • 12

    다음은 안정 성층 대기에서 건조한 공기 덩이의 단열 연직 운동을 지배하는 방정식이다. 연직 변위가 주어진 공기 덩이의 연직 운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ㄴ

  • 13

    북반구 중위도에서의 자유 순압 로스비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로스비파의 파장이 클수록 평균류에 대해 서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커진다.

  • 14

    다음은 구면 좌표계에서의 동서방향 운동방정식이다. 각 항을 규모분석 했을 때, (가)~(다)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다)-(가)-(나)

  • 15

    북반구에서 연직상방으로 전파되는 관성중력파의 속도, 기압, 온도 섭동 사이 관계를 x-z 단면으로 올바르기 표현한 것은?

    1

  • 16

    다음과 같은 기압(P)과 밀도(p)의 조건에서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바람은 지균풍이라고 가정한다.)

    (가) 양 (나) 경압성 (다) 약화

  • 17

    다음은 준지균 운동량 방정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ㄷ, ㄹ

  • 18

    대기경계층에서의 마찰수렴에 의하여 유도된 2차 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차 순환의 깊이는 경압대기보다 순압대기에서 얕다.

  • 19

    다음은 열대 계절안진동인 매든-줄리안 진동(MJO)의 공간적인 전파 특정을 보여주는 경도-고도 단면도를 위에서부터 시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60일 주기를 가지며 인도양에서부터 서태평양까지 약 15ms-¹의 속도로 동진한다.

  • 20

    북반구에서 순압 대기를 가정하였을 때, 공기 덩이의 절대 소용돌이도가 보존되는 수평 궤적만을 모두 고르면? (단, x는 동서방향, y는 남북방향을 의미한다.)

    다, 라

  • 21

    다음은 순수 관성진동(pure inertial oscillation)에 대한 운동 방정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ㄷ

  • 22

    파동별 분산 관계식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ㄴ

  • 23

    다음은 준지균 이론으로부터 정의되는 Q 벡터를 표현한 식이다. 300hPa에서의 유선과 등온도선이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때,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수렴 (나) 상승 (다) 약화

  • 24

    변형된 오일러 평균(TEM) 방정식에서 정의된 위도-고도 평면에서의 EP속(Eliassen-Palm flu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준지균 베타평면을 가정한다.)

    ㄱ, ㄴ, ㄷ

  • 25

    다음은 회전체에서 (가)와 같이 초기에는 높이 섭동(h')만을 가진 유체가 최종적으로 (나)와같은 높이 섭동(h')과 남북 방향 속도 섭동(v')에 도달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ㄴ, ㄷ

  • 26

    준지균 이층 모형으로부터 동서방향으로 전파하는 경압파의 중립안정도 곡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ㄷ

  • 27

    연직 좌표계 중 등압 좌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ㄴ, ㄷ

  • 28

    다음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500hP의 지위고도(Geopotential height)장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준지균 이론을 고려할 때, 실제 바람이 지균풍보다 약하게 관측되는 지점은?

  • 29

    열대 태평양 지역의 워커순환(Walker circu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ㄴ, ㄷ

  • 30

    전향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곡률효과는 무시한다.)

    북반구에서 자유낙하하는 물체는 서쪽으로 휘게 된다.

  • 31

    북반구에서의 온도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특정 등압면에서 남북방향 온도경도의 크기가 같다면 온도풍은 고위도로 갈수록 강해진다.

  • 32

    순압대기에서 로스비파(Rossby wa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위도로 갈수록 로스비파의 위상속도는 빨라진다.

  • 33

    다음 그림은 장기간 평균된 북반구 겨울철 500hPa 지위고도장이다. 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지위고도장의 남북 경도 방향은 기온의 동서 경도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 34

    다음 그림은 발달하는 종관규모 요란에 대한 온도이류의 상층 지위고도 경향의 관계를 보여주는 동서 방향 연직 단면 모식도이다. A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ㄷ

  • 35

    다음 그림은 전선발생(Frontogenesis)과 관련된 두 가지 주요 과정의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실선과 파선은 각각 유선과 등온선을 의미한다.)

    ㄱ, ㄴ

  • 36

    800hPa~200hPa에서 고도에 따라 온난이류가 감소하므로 해당 층에서의 지위고도가 상승할 것이다.

  • 37

    산악파(Mountain wa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ㄴ, ㄷ

  • 38

    역학적 대류권계면 접힘(Tropopause foldng)은 중위도 지역에서 지상 저기압계의 발생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이러한 현상에 의한 지상 저기압의 발생 및 발달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ㄷ-ㄹ-ㄱ-ㄴ-ㅁ

  • 39

    다음중 대기 대순환과 관련된 로렌츠(Lorenz) 에너지 순환 과정에서 평균 가용잠재에너지(Mean available potential energy)를 에디 가용잠재에너지(Eddy available potential energy)로 전환시키는 과정은?

    경압 에디에 의한 따뜻한 공기의 극 방향 수송과 차가운 공기의 적도 방향 수송

  • 40

    다음은 동서방향의 지균류만 있을 때 북반구 중위도를 중심으로 남북진동하는 공기덩이를 지배하는 방정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균 절대소용돌이도가 음수이면 남북 진동한 공기덩이는 제자리로 돌아온다.

  • 41

    다음 중 지균풍과 비지균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ㄴ

  • 42

    열대 지역 상층 대기에서 나타나는 준2년주기진동(Quasi-Biennial Oscillatioon, QBO)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도 23km~30km에서 진동의 진폭이 크게 감쇄한다.

  • 43

    다음은 대기 중 난류운동에너지(Turbulent Kinetic Energy, TKE) 방정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기 질량의 중심이 낮아지는 운동에 의해서 TKE가 감소한다.

  • 44

    비압축성 유체에 대해 연직 속도가 없고 발산이 없는 수평흐름을 고려할 때, 다음 중 북반구에서 절대소용돌이도가 보존될 수 없는 경우는?

    서풍 흐름이 북쪽으로 휘어지는 경우

  • 45

    로스비 변형반경(Rossby radius of deform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적도 부근에서는 전향력이 약해서 정의되지 않는다.

  • 46

    에르텔 위치소용돌이도(Ertel's potential vortic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 47

    순환 정리(circulation theor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ㄷ

  • 48

    아래는 상당순압대기(equivalent barotropic atmosphere)에 대한 설명이다. (A)와 (B)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A) 평행 (B) 평행

  • 49

    아래 식은 연직 방향의 운동방정식이다. 종관규모에 대한 규모분석을 하면 두 항이 비슷한 크기로 평형을 이룬다. 이 때의 두 항을 짝지은 것으로 옳은 것은?

    (B), (D)

  • 50

    대기의 대규모 순환에 따른 에너지 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행성소용돌이도는 더 많은 가용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다.

  • 51

    소용돌이도 방정식에서 아래의 솔레노이드(solenoid)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종관규모 이상의 규모에서 중요하다.

  • 52

    동서방향 평균장에 관한 방정식을 유도할 때 사용되는 변형된 오일러 평균(Transformed Eulerian Mean)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잔여 남북순환(residual meridional circulation)이 각 반구에서 3개의 세포로 나타난다.

  • 53

    선형 경압불안정 모형 중 하나인 이디(Eady)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압적으로 불안정한 파동의 수평 운동량속은 양의 값을 가진다.

  • 54

    연속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 55

    로스비수(Rossby numb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ㄷ

  • 56

    종관규모 대기운동에서 규모분석을 통해 간단화된 소용돌이도 방정식을 고려할 때, 한반도지역의 대류권 상층에서 소용돌이도가 대기의 흐름을 따라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면, 이 지역의 대류권 중층에서 우세하게 관측되는 것은?

    상승 운동

  • 57

    다음 그림은 발달하고 있는 경압파동의 모식도이다. A-A' 연직단면에 위치한 '가', '나', '다' 지역에서 관측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의 대류권 중층에서는 음의 소용돌이도 이류가, '나'의 대류권 중층에서는 상승운동이 관측된다.

  • 58

    대기의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각운동량의 극쪽 방향 수송은 대규모 순환에 의한 절대 각운동량의 이류와 에디(Eddy)에 의한 수송으로 설명할 수 있다.

  • 59

    다음은 준지균 오메가 방정식을 표현한 것이다. 식에서 각 항의 물리적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ㄹ

  • 60

    역학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중력 위치에너지의 합이며,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가)에 들아갈 항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 61

    Q 벡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Q 벡터의 동서 방향 성분의 크기는 지균풍의 남북 방향 변화를 알아야 구할 수 있다.

  • 62

    2층 대기 모형에서 경압파와 관련된 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섭동 층두께가 두꺼운 곳에서 하강 운동이 존재하면, 섭동 가용 위치에너지가 섭동 운동에너지로 전환된다.

  • 63

    얕은 물 방정식계(Shallow water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ㄴ, ㄷ

  • 64

    아래 그림은 북반구 겨울철의 잔여 평균 남북 유선함수(Residual mean meridional stream function)의 공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열역학에너지 방정식에서 에디 열속 수렴과 비단열적 가열항이 크게 상쇄되는 것을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