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상악 최후방 구치의 뒤쪽에서 촉진할 수 있는 구조물은?
상악결절
2
접형골에서 상악신경이 통과하는 구조물은?
정원공
3
접형골에서 하악 신경이 통과하는 구조물은?
난원공
4
75세 남자가 저작할 때 입술이 오므려지지 않아 음식물이 구강 밖으로 흘러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 원인이 된 근육은?
③ 구륜근
5
악관절의 상관절강에서 일어나는 하악의 기본운동은?
활주운동
6
악관절의 하관절강에서 일어나는 하악의 기본운동은?
④ 개구운동
7
혀의 모양과 위치를 바꾸는 데 관여하는 신경은?
⑤ 설하신경
8
장액성 타액을 분비하고 외이도 전하방에 위치하는 타액선의 개구 부위는?
⑤ 이하선유두
9
하악공을 통과하며 하악치아와 그 부위 치은에 분포하는 동맥은?
④ 하치조동맥
10
하악 제2소구치 치근단 부위에서 관찰되는 구조물은?
② 이공
11
상악 중절치 구개측 치은에 분포하는 신경은?
③ 비구개신경
12
내측익돌근이 정지하는 부위와 관련이 있는 두개골은?
④ 하악골
13
• 설골체의 중간건에 정지한다. •하악골을 후하방으로 당긴다. • 개구운동 말기에 작용한다.
⑤ 악이복근 전복
14
악관절의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③ 하악와
15
혀에서 맛을 느낄 수 없다고 내원한 환자를 검사한 결과, 혀의 뒤쪽 1/3 부위가 미각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연관 되는 신경은?
② 설인신경
16
악동맥의 가지 중 상악 구치부 치아와 그 부위의 협측 치은 및 상악동 점막에 분포하는 동맥은?
⑤ 후상치조동맥
17
하악골의 내측면에서 관찰되는 구조물은?
⑤ 이복근와
18
상악골 측두하면 구조물은?
후상치조공
19
상악골 구개골의 수직판에서 관찰되는 구조물은?
접구개절흔
20
상악골 구개골 수직판 구조물은?
추체돌기
21
상악골 구개골 수평판 구조물은?
절치공
22
• 여러 개의 근육이 모여 있다. • 휘파람을 불 때 작용한다. • 음식물이 구강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아 준다.
② 구륜근
23
하악의 개구운동 초기에 작용하는 근육은?
③ 외측익돌근
24
14세 남학생이 상악 제2대구치 부위에 심한 통증과 함께 볼이 부어 내원하였다. 문제가 있다고 추정되는 타액선은?
④ 악하선
25
상악 절치와 견치, 그 부위 순측 치은에 분포하는 동맥은?
④ 전상치조동맥
26
하악 절치와 치은, 설첨, 구강저에서 유입되는 림프절은?
① 이하림프절
27
상악 제3대구치를 발치할 때 전달마취가 시행되어야 하는 신경은?
⑤ 후상치조신경
28
상악골의 측두하면에서 관찰되는 구조물은?
⑤ 후상치조공
29
접형골의 대익에 있는 구조물로 상악신경이 지나가는 것은?
② 정원공
30
• 개구운동에 관여한다. • 측방운동에 관여한다. • 상두와 하두로 구분된다.
5 외측익돌근
31
• 혼합선이다. • 타액선 중 두 번째로 크다. • 안정 시에 타액 분비량이 가장 많다.
③ 설하소구
32
경구개와 상악 구치의 구개측 치은에 분포하는 동맥은?
④ 대구개동맥
33
하악신경 중 감각을 담당하는 것은?
① 이신경
34
• 대추체신경을 포함한다. •설하선과 악하선 분비에 관여한다. • 혀의 앞쪽 2/3 부분의 미각을 담당한다.
① 안면신경
35
하악 전방부 하방에서 관찰되는 구조물은?
2 이융기
36
하악골에 있는 구조물이 아닌 것은?
3 하악와
37
측두골에 있는 구조물이 아닌 것은?
3 관절돌기 : 하악골
38
하악 내측면에서 내측익돌근이 정지하는 구조물은?
5 익돌근조면
39
하치조신경 및 혈관이 통과하는 구조물은?
4 하악공
40
접형골 대익에 있는 구조물로 중경막동맥이 지나가는 것은?
1 극공
41
상안와열을 지나가는 신경이 아닌 것은?
5 상안신경
42
측두골에서 안면신경이 지나는 구조물은?
1 경유돌공
43
내측익돌근이 정지하는 두개골(머리뼈)은?
4 하악골
44
- 근막이 없다 - 뼈에 기시, 피부나 근육에 정지 - 악기를 불 때 작용
1 협근
45
- 근막이 없다 - 미소 - 근육이 모여 있다
4 대관골근
46
다음 중 기시와 정지가 모두 뼈인 근육은?
5 내측익돌근
47
- 개구, 측방, 전진 운동에 관여 - 상두와 하두로 구분
5 외측익돌근
48
- 회전 운동에 관여 - 근돌기에 부착
2 측두근
49
- 관골에 부착 - 후퇴 운동에 관여
1 교근
50
하악의 개구운동 초기에 작용하는 근육은?
3 외측익돌근
51
- 측방운동에 관여 - 익돌근조면과 부착
1 내측익돌근
52
타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정 시 타액 분비량이 가장 많은 것은 이하선이다.
53
- 설골체의 중간건에 부착 - 하악골을 후하방으로 내려 개구운동 말기에 개구운동을 보조
5 악이복근 전복
54
설골상근 중 하악을 내리지 못하는 근육은?
3 경돌설골근
55
설골상근 중 구강저를 형성하는 근육은?
1 악설골근
56
하악신경 중 감각을 담당하는 것은?
1 협신경
57
부교감 신경이 아닌 것은?
3 외전신경
58
상악 구치부 협측 치은에 분포하는 동맥은?
5 후상치조동맥
59
경구개와 상악 구치부 구개측 치은에 분포하는 동맥은?
1 대구개동맥
60
연구개에 분포하는 동맥은?
2 소구개동맥
61
하악 구치부, 상악치아와 치은, 상하순의 외측, 혀의 가장자리, 구강저의 후방부, 구강전정의 치은에서 유입되는 림프절은?
2 악하림프절
62
혀 앞쪽 2/3 일반감각이상?
1 설신경
63
혀 앞쪽 2/3 미각이상?
3 고삭신경
64
혀 앞쪽 2/3 운동신경?
4 설하신경
65
혀 뒤쪽 1/3 후두덮개 관여 신경?
5 미주신경
66
상악 전치부 마취 안 되는 전달마취는?
3 대구개신경
67
하악 모든 부분에 마취가 되는 전달마취는?
1 하치조신경, 설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