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프로이트의 이론은?
정신분석학
2
융의 이론은?
분석심리학
3
아들러의 이론?
개인심리학
4
에릭슨의 이론?
자아심리학
5
스키너의 이론?
조작적 조건화
6
반두라의 이론
사회학습이론
7
피아제 이론
인지발달
8
엘리스 이론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9
벡 이론
인지치료
10
매슬로
욕구위계론
11
로저스 이론
인간 중심 치료
12
프로이트는 인간을 어떤 존재로 바라보았는가
무의식, 수동적
13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3가지로 보았다
원초아, 자아, 초자아
14
프로이트의 발달단계
구강기(~1.5): 엄마에게 애정, 구강활동, 리비도- 입, 항문기(1.5~3): 리비도- 항문, 배변훈련, 남근기(3~5): 리비도- 성기, 남아- 오이디푸스/ 여아- 엘렉트라, 잠복기(6~11): 동성 또래와의 사회적 유대 확립, 생식기(12~): 2차 성징
15
아들러는 인간을?
목적론: 가상적 목적
16
아들러에 해당되는 것은?
목적론, 창조적 자기, 사회적 관심
17
에릭슨에 해당되는 것은?
자아정체감, 점성원칙, 인간= 창조적
18
에릭슨의 발달 단계인것은?
유아기) 신뢰감 ㄷ 불신감, 초기아동기) 자율성 ㄷ 수치심, 학령전기) 주도성 ㄷ 죄의식, 학령기) 근면성 ㄷ 열등감, 청소년기) 정체성 ㄷ 역할혼란, 성인초기) 친밀감 ㄷ 고립감, 성인기) 생산성 ㄷ 침체성, 노년기) 통합성 ㄷ 절망감
19
스키너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했는가, 부정했는가
부정
20
스키너에 해당되는 것?
자유의지 부정, 조작적 조건화, 행동조성
21
반두라에 해당되는 것은?
관찰학습, 상호결정론, 자기효능감, 과정) 주의집중- 기억- 운동재생- 동기화
22
피아제에 해당되는 것은?
감각운동기) 대상영속성 발달, 전조작기) 상징적 사고, 물활론적 사고, 비가역적 사고, 구체적조작기) 보존개념 획득, 논리적 사고, 귀납적 사고, 서열화, 유목화, 형식적 조작기) 조합적 사고, 추상적 사고, 연역적 추론
23
엘리스의 내용?
비합리적 신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