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일본은 ㅇㅇ호 사건을 빌미로 조선의 문호개방을 강요했다
운요호
2
조선은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고 부산, ㅇ산, ㅇ천을 개항하였다
부산, 원산, 인천
3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일본에 해양측량권과 영사재판권을 허용한 불ㅇㅇ조약이었다
불평등
4
개항후 ㅇ화파는 근대화를 추구하였고, ㅇㅇ척사파는 전통을 지키자고 주장하였다
개화파, 위정척사파
5
조선정부는 통리기무아문 설치후 신식군대인 ㅇㅇ군을 설치하였다
별기군
6
조선은 청에 ㅇㅇ사를 파견하여 근대식 무기제조기술을 배워오게 하였다.
영선사
7
조선은 강화도조약 체결이후 외교사절로 일본에 ㅇㅇ사를 파견하였다.
수신사
8
황준헌은 "조선책략"에서 조선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서는 청,일본,ㅇㅇ과 손을 잡아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미국
9
임호군란 후 조.청ㅇㅇㅇㅇ우역증전이 체결되어 허가받은 청 상인의 내지통상이 가능해졌다.
조.청상민수륙 무역장정
10
임오군란 후 일본공사관 경비를 위한 일본군의 주둔을 허용하는 ㅇㅇ포조약이 체결되었다
제물포조약
11
급진개화파는 우정총국 개국축하연을 이용하여 ㅇㅇ정변을 일으켰다
갑신정변
12
개화당정부는 ㅇ과의 사대관계청산. ㅇ조로의 재정일원화 등을 추진하였다.
청. 호조
13
갑신정변 후 조선은 일본과 ㅇㅇ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공사관 신축비용을 부담하였다.
한성조약
14
감신정변후 청과 일본은 ㅇㅇ조약을 체결하고 조선에서 군대를 철수하였다
톈진조약
15
고종이 즉위하면서 국정을 운영한 ㅇㅇ ㅇㅇ군은 왕권강화와 민생 안정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흥선 대원군
16
흥선 대원군은 ㅇㅇ사를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켰다.
비변사
17
흥선대원군은 왕실의 권위을 회복하기위해 ㅇㅇ궁을 중건하였다
경복궁
18
흥선 대원군은 경복궁 중건 비용을 마련하기위해 원납전을 강제로 징수하고 ㅇㅇ전을 발행하였다
당백전
19
흥선 대원군은 환곡의 폐단을 해결하기위해 ㅇㅇ제를 실시하였다
사창제
20
최 ㅇㅇ의 상소를 계기로 흥선대원군이 정치에서 물러나고 고종이 정치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
최익현
21
1866년에 프랑스선교사와 천주교도가 처형된 ㅇㅇ박해가 일어났다
병인박해
22
미국상선 제너럴 ㅇㅇ호가 평양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하여 횡포를 부렸다
제너럴 셔먼호
23
평안감사 박ㅇㅇ의 지휘아래 평양관민이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다.
박규수
24
병인박해를 구실로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침략하여 ㅇㅇ양요가 일어났다
병인양요
25
신미양요때 광성보에서 어 ㅇㅇ이 이끄는 조선군이 항전하였으나 패배했다.
어재연
26
흥선 대원군은 신미양효 직후 전국 각지에 ㅇㅇ비를 건립하였다
척화비
27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ㅇㅇ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거문도
28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대립이 격화되자 조선 주재 독일 부영사 부들러와 유길준은 조선의 ㅇㅇ화를 제기하였다
중립화
29
ㅇㅇ농민운동은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맞서 일어난 고부농민 봉기에서 비롯되었다
동학
30
동학농민군은 ㅇㅇ안민, ㅇㅇ구민을 기치로 내걸고 봉기하였다
보국안민, 제폭구민
31
동학농민군은 황토현 전투와 황룡천 전투에서 관군을 물리치고 ㅇㅇ성을 점령하였다
전주성
32
청과 일본의 군대가 상륙하자 조선정부와 동학 농민군은 서둘러 ㅇㅇ화약을 체결하였다.
전주화약
33
동학농민군의 폐정 개혁안에는 토지 균분경작 , ㅇ분제폐지, 과부의 재가허용 등이 포함되었다
신분제폐지
34
동학농민군은 일본이 ㅇㅇ궁을 점령하고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자 이에 반발하여 다시 봉기하였다.
경복궁
35
동학농민군은 공주의 ㅇㅇ치 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배하였다.
우금치 전투
36
제1차 김홍집 내각은 ㅇㅇㅇㅇ처를 설치하고 제1차 갑오개혁을 설치하였다.
군국기무처
37
제1차 갑오개혁때 의정부 산하의 6조를 ㅇ아문으로 개편하고 재정을 ㅇㅇ아문으로 일월화 하였다
8아문, 탁지나문
38
제1차 갑오개혁때 ㅇ본위 화폐제도를 채택하였다.
은본위
39
제2차 갑오개혁때 고종은 국정개혁의 기본 방향을 재시항 ㅇㅇ14조를 발표하였다.
홍범14조
40
고종은 교육 ㅇㅇ조서를 반포하고 이에따라 근대적 교육제도를 마련하였다.
교육입국조서
41
일본은 조선 정부가 친러정책을 추진하자 그 배후세력 이라고 생각한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ㅇㅇ사변을 일으켰다.
을미사변
42
ㅇㅇ개혁당시 '건양'이라는 연호가 제정되었다.
응미개혁
43
독립협회는 이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여 러시앙의 ㅇㅇ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절영도
44
독립협회는 관민공동회를 개최하고 ㅇㅇ6조를 결의하여 고종에게 올렸다.
헌의 6조
45
독립협회는 정부내각과 협의하여 의회식 ㅇㅇ원 관제반포를 이끌어냈다.
충주원
46
고종은 대한제국 수립을 선포하고 구본신참을 표방한 ㅇㅇ개혁을 추진하였다.
광무개혁
47
대한제국은 황제의 군사권을 강화하기위해 ㅇㅇ부를 설치하였다.
원수부
48
대한제국은 양전사업을 실시하고 근대적 소유 증명서인 ㅇㅇ를 발급하였다.
지계
49
러•일 전쟁중에 일본의 한국 내 군사적 요충지 사용을 허용한 한•일 ㅇㅇ서가 체결되었다.
한•일 의정서
50
일본은 대한제국과 제 2차 한•일 ㅇㅇ을 체결하고 메가타와 스티브를 고문으로 파견하였다.
한일협약
51
장지연은 을사늑약의 불법성을 비판하는 '시일야방성대곡'을 ㅇㅇ신문에 게재하였다.
황성신문
52
민 ㅇㅇ은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조약의 무효화를 요구하여 자결하였다.
민영환
53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네덜란드 ㅇㅇㅇ에 특사를 파견하였다.
헤이그
54
장ㅇㅇ과 전ㅇㅇ은 미국에서 대한제국의 외교 고문이었던 스티브를 저격하였다.
장인환, 전명운
55
1909년 안 ㅇㅇ은 하얼빈에서 한국 침략을 주도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안중근
56
최익현은 왜양ㅇㅇ론을 내세워 강화도조약에 반대하였다.
왜양일체론
57
을미사변과 단발령 시행에 반발하여 일어난 ㅇㅇ의병은 ㅇ종의 해산 권고 조칙에따라 해산하였다.
을미의병, 고종
58
을사늑약 체결에 반발하여 최익현 등이 ㅇㅇ의병을 일으켰다
을사의병
59
을사의병 깨 신ㅇㅇ 등의 평민출신 의병장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신돌석
60
고종의 강제퇴위와 대한제국의 군대해산에 반발하여 ㅇㅇ의병이 일어났다.
정미의병
61
ㅇㅇ의병때 해산군인의 일부가 합류하면서 의병의 전투력이 강화되었다.
정미의병
62
13도 창의군은 의병을 국제법상의 ㅇㅇ단체로 승인해 줄것을 각국 영사관에 요구하였다.
교전단체
63
대한ㅇㅇ회는 고종 강제퇴위 반대운동을 주도하다가 통감부에 의해 해산되었다.
대한자강회
64
신민회는 국내에서 조직된 항일 비밀 결사로, ㅇㅇ정체의 국민국가 건설을 지향하였다.
공화정체
65
신민회는 민족 산업 육성을 위해 ㅇㅇ회사와 ㅇㅇ서관을 운영하였다.
자기회사, 태극서관
66
신민회는 일제가 조작한 ㅇㅇㅇ인 사건으로 조직이 드러나 해체되었다.
105인 사건
67
아관파천 이후 최 ㅇㅇ 대우조헝을 이용한 열강의 이권침탈이 절정에 달하였다.
혜국대우조항
68
1905년 일본인 재정고문 ㅇㅇㅇ의 주도로 화폐정리 사업이 추진되었다.
메가타
69
ㅇㅇ회는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맞서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보안회
70
1908년에 일제는 한국의 토지와 자원을 수탈할 목적으로 동양ㅇㅇ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동양척식주식회사
71
조•일 통상 장정으로 곡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ㅇㅇ영의 선포가 가능해졌다.
방곡령
72
시전 상인들은 ㅇㅇ 중안 총상회를 결성하여 상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다.
황국 중앙 총상회
73
ㅇㅇㅇㅇ 운동은 국민의 성금으로 나랏빛을 갚아 국권을 수호하자는 경제적 구국 운동이었다.
국채보상운동
74
국채 보상 운동은 서상돈, 김광재 등의 주도로 ㅇㅇ에서 시작되었다.
대구
75
한성ㅇㅇ는 최초로 상업 광고를 게재하였다.
한성주보
76
ㅇㅇ신문은 순 한글로 발행되어 서민과 부녀자의 호흥을 얻었다.
제국신문
77
ㅇㅇㅇㅇ신보는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함께 창간한 신문이다.
대한매일신보
78
대한메일신보는 대구에서 시작된 ㅇㅇㅇㅇ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국채보상운동
79
영선사 일행은 귀국 후 조선 최초의 근대적 무기 제조 공장인 ㅇㅇ창의 설립을 주도하였다.
기기창
80
1884년에 근대적 우편 업무를 담당할 관청으로 ㅇㅇ총국이 설립되었다.
우정총국
81
1899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서대문과 청량리를 오가는 ㅇ차가 개통되었다.
전차
82
1899년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ㅇㅇ선이 개통되었다.
경인선
83
러•일 전쟁중에 일제에 의해 경ㅇ선과 경 ㅇ선이 부설되었다.
경부선, 경의선
84
조선정부는 외국어 통역관 양성을 목적으로 ㅇㅇ학을 설립하였다.
동문학
85
육영공원은 헐ㅇㅇ등 외국인 교사를 초빙히여 근대 교육을 실시하였다.
헐버트
86
교육ㅇㅇ 조서 반포후 소학교, 한성사범학교,외국어학교 관제가 마련되었다.
교육입국조서
87
개신교 선교사들에의해 배ㅇ학당, 이ㅇ학당 등에 세워졌다.
배재학당, 이화학당
88
이승훈은 ㅇㅇ학교, 안창호는 ㅇㅇ학교를 세워 만족교육을 실시하였다.
오산학교, 대성학교
89
간도지역에 민족교육기관으로 ㅇ전서숙, ㅇ동학교가 설립되었다.
서전서숙, 명동학교
90
우리나라 최초의 소양식 극장인 ㅇㅇ사에서 신소걸 "은세계"거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원각사
91
신ㅇㅇ는 '독사신론'을 지어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신채호
92
ㅇㅇ교는 민중계몽을 위해 기관지 만세보를 발행하였다.
천도교
93
나철,오기호 등이 창시한 ㅇㅇ교는 던군신앙을 전파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대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