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한국사(처음파트)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24 • 9/24/2023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1910년대 국내외의 민족 운동 중 알맞지 않은 것

    대한 광복군 정부

  • 2

    국내 독립운동 기지 건설- 북간도 설명 알맞은것

    한인집단촌, 간민회, 서전서숙 명동학교 설립, 중광단, 밀산 한흥동건설

  • 3

    국외 독립운동 기지- 남만주

    삼원보, 경학사, 신흥 강습소

  • 4

    연해주 맞는거 골라봐

    신한촌, 권업회, 대한 광복군 정부, 한인 사회당

  • 5

    미주 맞는거 고르셈

    대한인 국민회 결성, 대조선 국민군단 조직, 숭무학교 설립

  • 6

    중국 지역 맞는거

    신한 청년당

  • 7

    1918년 만주 지린에서 39명의 민족 지도자가 무장 투쟁의 노선을 담은 ________를 발표함

    대한 독립 선언서

  • 8

    미국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허도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한 _______

    신한청년당

  • 9

    조선 청년 독립단의 이름으로 2.8 독립 선언서 발표하고 만세 시위 전개한 ______

    도쿄 유학생

  • 10

    대한 광복회가 한 것 중 옳은 것

    공화 정부 수립, 친일부호 처단

  • 11

    독립의군부에 대하여 옳은 것

    복벽주의 이념, 국권 반환 요구서

  • 12

    평양 송죽회는 ____중심

    여성

  • 13

    기성볼단.자립단은 _____,_____중심

    선생님, 학생

  • 14

    조선 국민회: ㅇㅇㅇ ㅇㅇㅇㅇ의 국내 지부 성격

    대조선 국민군단

  • 15

    연해주에서 대한 광복군 정부는 ___,___ 의해 조직됨

    이상설, 이동휘

  • 16

    전로 한족 중앙 총회가 나중에 ______로 발전

    대한 국민 의회

  • 17

    연해주- 한인 사회당 특징

    사회주의

  • 18

    미주- 대한인 국민회

    민주 공화국

  • 19

    미주- 대조선 국민군단 조직한 사람

    박용만

  • 20

    3.1 운동이 확산된 순서는? 중소도시, 국외, 농촌지역 , 대도시

    4-1-3-2

  • 21

    3.1 운동-> 대도시 확산 때

    종교계+학생

  • 22

    3.1 운동-> 중소도시 확산 때

    학생.교사 상인, 노동자가담

  • 23

    3.1 운동-> 농촌 지역 확산 때

    농민+무력투쟁

  • 24

    3.1 운동 때 일제가 탄압했을 시에 어떤 사건이 있었나?

    화성 제암리 학살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