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손)펌프의 주요 구성요소 6가지
임펠러, 케이싱, 축봉장치, 베어링, 커플링, 축
2
손)회전기기 중 액체를 임펠러의 원심력에 의해 (낮은/높은) 위치에서 (낮은/높은) 위치로, 압력이 (낮은/높은) 곳에서 (낮은/높은) 곳으로, 그리고 액체 흐름의 속도를 (감소,증가) 시키기 위해 펌프를사용
낮은, 높은, 낮은, 높은, 증가
3
손)원심펌프 평가요소가 아닌 항목?
펌프의 효율
4
손)액체가 펌프에서 기화하지 않기 위해서는 ( )이 운전온도 하에서의 ( )보다 커야합니다.
흡입압력 , 액체 증기압
5
손)흡입수두 공식은(변수 4개) ( ) + ( ) - ( ) - ( )
유체 압력, 용기 압력, 배관손실, 증기압
6
손)펌프의 가동개시 1. 정비작업 후 장치 및 배관 상태 점검 2. 오일 계통의 이상유무 점검 3. 냉각수 순환계의 서비스 상태 확인 4. 토출부 쪽과 흡입부 쪽 라인업 상태 확인 5. 바이패스 밸브 오픈 6. ? 7. 안전밸브 확인 8. 고온 펌프는 충분히 웜업 9. 펌프 회전방향 상태 점검 10. 가동
마중물 확인
7
손)펌프는 ( )를 취급 압축기는 ( )를 취급
비압축성 유체인 액체 , 압축성 유체인 기체
8
펌핑은 액체에 에너지를 준다 액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이 액체를 펌핑해 줌으로써 ( )수 있다
증가시킬
9
원심력은 회전으로 인한 힘이다 한 물체를 원형으로 회전시켜주면, 이 물체는 원의 중심 (을 향하여 안으로/으로부터 바깥으로) 밀게 된다
으로부터 바깥으로
10
액체가 갖는 에너지를 증가시켜 주는 하나의 방법은 이 액체를 원형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바깥으로 미는힘을 ( )force라고 한다
centrifugal
11
원심펌프의 작동원리는 액체는 처음에 중심부로 도입된 다음, 액체 중심부로부터 ( )억지로 떠밀고 나가게 된다
바깥쪽으로
12
마손된 웨어 링은 덮개 또는 임펠러보다 더욱 용이하게 떼내고 또 교환해 줄 수 있으며, 여기서 필요한 ( )도 더욱 적게 소용된다
비용
13
링이 마손되어 감에 따라 그들 사이의 간격은 (작아지며/커지며), 따라서 토출부로부터 흡입부로 반대쪽으로 흐르게 되는 액체의 양이 많아진다.
커지며
14
웨어 링은 펌프로 압송되고 있는 ( )에 의하여 윤활되며 또 냉각된다
액체
15
적당하게 윤활제를 공급하지 않으면 웨어 링은 서로 ( )하게 되고, 뜨겁게 되어, 펌프가 하는 일의 능률은 적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일을 맘추게 된다.
접촉
16
원심펌프는 웨어 링의 과열과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 )을 채워주지 않고 발동시키면 절대로 안 된다.
액체
17
일정 시간 내에 원형 통로의 주위를 움직인 거리는 접선 방향의 속도가 된다. 임펠러 ( )의 끝에 있는 점은 어디서나 접선 방향의 속도가 더욱 크다
B
18
한 방울의 액체가 중심으로부터 증대하기 때문에 액체가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 접선 방향의 속도는 ( ) 하게 된다.
증대
19
원형 통로의 크기가 계속적으로 증대하기 때문에 액체가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 접선 방향의 속도는 ( ) 하게 된다.
증가
20
임펠러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일정한 RPM에 대한 마지막 접선 방향의 속도는 더욱 ( ) 된다.
빠르게
21
고속의 액체가 임펠러의 끝을 떠난 다음에는 덮개 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여기서 액체의 속도는 떨어지게 된다. 속도의 큰 부분이 덮개 속에서 ( )으로 변화된다
pressure
22
압력(Pressure)이란 단위 면전(보통 평방 인치)에 작용하는 힘(Force)을 말한다. 힘을 파운드 단위로 측정하였을 때는 압력은 평방 인치당(per square inch PSI) ( )로 나타낼 수 있다.
pound
23
헤드란 ( ) 를 말한다
액체의 높이
24
액체의 헤드 때문에 받게되는 압력은 용기의 직경과는 관계가 없다. 용기의 저부 압력은 어느 점에 있어서나 같지만, 그 점 위의 액체의 ( )에 따라 다르게 된다
head or height
25
압력계는 대기압(14.7 psia)하에서 측정값이 0이 되도록 맞추어 준다. 이 압력계는 ( ) psig의 압력을 갖는다.
10
26
PSIG 압력은 액체 위의 대기의 압력을 포함한 (것이다/것이 아니다).
것이 아니다
27
43.3을 100으로 나누어 주거나, 4.33을 10으로 나누어 주면 1피트의 물마다 0.433 pisg의 압력이 걸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피트의 헤드를 갖는 물은 ( )psig의 압력을 미친다.
0.433
28
15피트의 헤드를 갖는 물은 6.49PSIG(15×0.433)의 압력을 미친다. 물의 ( ) 에 0.433을 곱해 주면, 그 수주의 압력이 얼마인가를 알아낼 수 있다.
헤드
29
100 피트 헤드의 원유(Crude oil)와 100피트 헤드의 물은 (동일한/상이한)압력을 나타낸다.
상이한
30
한 물질의 비중 (Specific gravity)은 그 물질의 무게를 동일 용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이다. 물의 비중은 1이 된다. 비중이 그보다 작은 액체의 무게는 동일한 용적의 물의 무게보다 (크다/작다).
작다
31
순정 흡입 헤드는 절대 흡입 헤드로부터 증기압 헤드를 빼낸것이다. 만일 흡입 헤드가 50피트이고 증기압 헤드가 35피트라고 하면, NBSH는 ( ) 피트로 된다.
15
32
사용 가능한 NPSH는 펌프 흡입부의 절대 압력을 헤드로 바꾸어 준 값과 펌프로 압송해 주고 있는 액체의 증기압을 ( ) 로 바꾸어 준값을 (가산/감산)한 것이다.
헤드, 감산
33
필요한 NPSH는 흡입부에서 액체가 ( ) 하지 않고 임펠러 속으로 들어가는데 필요한 최소의 헤드이다.
기화
34
만일 사용 가능한 NPSH와 필요한 NPSH가 같을 때에는 펌프는 흡입하지 않게 된다. 또 만일 사용 가능한 NPSH가 필요한 NPSH보다 작아지면 펌프는 올바르게 조업 (된다/되지 않는다)
되지 않는다
35
사용가능한 NPSH는 필요한 NPSH보다 (커야/작아야) 한다.
커야
36
강제 변위 펌프에 있어서 처음에 일정량의 액체가 실린더 또는 덮개(Casing)속에 막혀 있게 된다. 다음에 움직이고 있는 부품이 실린더 또는 덮개로부터 일정량의 액체를 ( ).
변위시킨다
37
액체는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으로 변위 시킬 수 있다. 기어 펌프(Gear pump)에 있어서는 액체를 집어넣고 또 변위 시키는데 ( ) 운동이 이용되고 있다.
rotary
38
피스톤 펌프(Piston pump) 및 플런저 펌프(Plunger pump)는 (회전/왕복)펌프이다.
왕복
39
회전 펌프(Rotary pump)와 왕복 펌프(Plunger pump)는 모두 액체를 집어 넣은(Trap) 다음에 액체를 ( )시켜 토출선으로 보내주도록 조작된다.
displacing
40
누출 또는 손실이 없다고 가정하고, 펌프가 한 바퀴 돌 때에 옮겨쥴 수 있는 양을 이 펌프의 변위량(Displacement)이라고 한다. 이 회전 펌프의 변위량을 회전하고 있는 부분과 덮개 사이에 막혀있는(Trapped)액체의 ( )이 된다
volume
41
용적은 면적에 길이를 곱한 것이다. 피스톤의 변위량을 알기 위해서는 이 피스톤 면의 ( ) 에 피스톤의 왕복 ( )를 크게 해주면 된다
면적, 거리
42
왕복 펌프의 변위량을 증가시켜 주기 위해서는 ( )의 면적 또는 피스톤의 ( )를 크게 해주면 된다.
piston, stroke
43
만일 액체가 피스톤이 았으로 움직일 때만 변위 되면 이 펌프는 단동식(Single-acting)이라고 한다. 그림에서 피스톤 펌프는 피스톤이 앞으로 움직일 때와 ( ) 움직일 때 모든 액체를 변위시킨다.
뒤로
44
이러한 펌프는 (단동식/복동식) 펌프이다.
복동식
45
한 번 앞으로 움직인 다음에 한 번 뒤로 움직인 것이 1주기이다. 단동식 펌프는 주기마다 ( )회의 변위를 갖고, 복동식 펌프는 주기마다 ( )회의 변위를 갖는다
1, 2
46
왕복 펌프로부터 나오는 유체의 흐름은(계속적/맥동적)이다.
맥동적
47
(단동식/복동식) 펌프로부터 나오는 흐름은 더욱 고르다
복동식
48
펌프가 (단일식/다중식)일 때는 또한 흐름은 더욱 고르게 된다.
다중식
49
맥동 방지 장치(Pulsation dampener)는 왕복 펌프로부터 나오는 흐름을 더욱 고르게 해 준다. 맥동 방지 장치는 ( )가 들어있는 밀폐된 방이다.
기체
50
맥동 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기체는 공기 또는 질소 등이다. 탄화수소가 공기와 혼합되면 점화하여 탈 수 있기 때문에, 탄화수소를 펌핑해 줄 때는 (공기/질소)를 사용하는 편이 더욱 좋다.
질소
51
손)윤활의 목적은 ( )과 ( )를 일으키는 ( )를 줄이는 것이다
열, 마모, 마찰
52
손)윤활제의 종류 두가지를 쓰시오
그리스, 오일
53
손)윤활 방식 세가지를 쓰시오 ( ) 으로 윤활 × 3
운전 유체, 베어링 하우징, 외부 공급원
54
손)윤활유에 물 침입시 ( ) 발생 윤활유에 먼지 침입시 ( ) 발생
유막 강도 약화, 베어링 마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