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위생학
  • 박천휘

  • 問題数 24 • 4/21/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황변미 중독을 일으키는 오염 미생물은?

    곰팡이

  • 2

    식품의 변질 및 부패를 일으키는 주원인은?

    미생물

  • 3

    다음 중 살모넬라에 오염되기 쉬운 대표적인 식품은?

    난류

  • 4

    경구감염병과 세균성 식중독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세균성 식중독은 잠복기가 짧고, 경구감염병은 일반적으로 길다.

  • 5

    소고기를 가열하지 않고 생으로 섭취했을 때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기생충은?

    무구조충

  • 6

    사과, 배, 포도 등 상한 과일류에서 주로 발생하며, 뇌 및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유도하는 곰팡이 독소는?

    파툴린

  • 7

    쌀을 황색으로 변화시키며, 신장 장애를 일으키는 황변미 독소는?

    시트리닌

  • 8

    곡류와 콩류에 서식하는 곰팡이 독소로 간장 장해를 일으키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곰팡이 독소는?

    아플라톡신

  • 9

    식품 취급자의 화농성 질환에 의해 감염되는 식중독은?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 10

    독소형 세균성 식중독으로 짝지어진 것은?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균 식중독

  • 11

    식품의 수분활성도(A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일반적인 식품의 Aw는 1보다 크다  

  • 12

    감염병 발생의 3대 요인이 아닌 것은?

    면역

  • 13

    기생충이 오염된 논, 밭에서 맨발로 작업 시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것은?

    구충

  • 14

    식품과 자연독 성분이 잘못 연결된 것은?

    독미나리 - 베네루핀

  • 15

    미숙한 매실이나 살구씨에 존재하는 시안배당체는?

    아미그달린

  • 16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장티푸스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 아닌 것은?

    농약사용 자제

  • 17

    바이러스성 경구감염병으로 신경계통에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폴리오

  • 18

    고온, 건조, 냉동 환경에서 생존력이 커서 가공식품의 위생 검사 지표세균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식중독균은?

    장구균

  • 19

    동물과 관련된 감염병의 연결이 틀린 것은?

    고양이 - 야토병

  • 20

    제2급 감염병은?

    결핵

  • 21

    장염비브리오 식중독균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그람양성균이며 아포를 생성하는 구균이다 

  • 22

    맥각 중독을 일으키는 원인물질은?

    에르고톡신

  • 23

    식품위생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방지 및 치료

  • 24

    대장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람양성의 간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