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암질판별법 4가지
RQD RMR Q-system 탄성파 속도
2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 4가지
산업재해 발생의 위험이 있는경우 사업주에게 작업중지 요청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있을때 사업주에게 개선요구 사업장에서 하는 자체점검 참여 산업장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참여
3
사업주가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량물 취급작업 시 작성하고 그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햐 하는 작업계획서 내용을 2가지만 쓰시오
추락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전도위험을 협착위험을 낙하위험을
4
초음파법에 의해 콘크리트 균열깊이를 검사하는 방법 3가지
T 법 Tc-To 법 BS 법
5
거푸집 부재의 명칭을 쓰시오. • 거푸집의 일부로써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목재나 금속 등의 판류 : (①) •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고정하중 및 작업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 또는 작업 장소가 높은 경우 발판, 재료 운반이나 위험물 낙하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지지대 : (②)
거푸집 널 동바리
6
안전교육시간 사무직 분기별 : 일용직 채용시 교육 : 건설넙 기초안전교육 :
3 1 4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시스템동바리등을 조립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수직 및 수평하중에 의한 동바리 본체의 변위로부터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조립도에 따라 수직재 및 수평재에는 (①)를 견고하게 설치하도록 할 것 • 수직재와 (②)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전체길이의 (③)이상 되도록 할 것
가새재 받침철물 3분의1
8
사업주가 터널 지보공을 설치한 경우 수시로 점검하여 이상을 발견한 경우에 즉시 보강하거나 보수하여야 할 사항 3가지
부재의 긴압정도 부재의 손상 및 탈락의 유무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의 상태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강관비계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①)m 이하, 장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 띠장간격은 (②)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③)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1.8 2 31
10
지반의 동상방지대책
단열장치 삽입 지하수위저하 동결되지 않는 흙으로 치환
11
근로자가 고소작업대에서 작업 중 작업대에서 떨어져 지면에 닿아 재해가 발생하였다 재해발생형태,기인물 및 가해물을 쓰시오
떨어짐 작업대 지면
12
굴착공사 재해방지를 위하여 기본적인 토질에 대한 조사대상 4가지
지형 지층 지질 지하수 용수
13
TBM 을 설명
작업시작전 10분정도 그날의 작업과 작업에서 발생할수있는 위험을 예측하고 점검하고 대책을 수입하는 안전교육 및 문제해결 기법
14
인력으로 중량물을 운반할 때 준수사항 2가지
운반자의 시선은 진행방향, 뒷걸음운반 금지 어깨높이보다 높이 화물을 들고 운반 금지 쌓여있는 화물을 운반할때는 중간,하부 뽑기금지
15
3E
education engineering enforcement
16
•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①)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등의 중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120cm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②)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설치된 난간기둥 간의 간격이 25cm 이하인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③)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다만,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없거나 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망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예방 조치를 한 장소는 제외한다.
90cm 60cm 10cm
17
고압전기경고 인화성 물질경고 사용 금지
18
도로터널 1종 시설물 3가지
1km 이상인 터널 3차선이상인 터널 터널의 연장이 500m이상인 지하도로
19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종류 4가지
갱폼 슬립폼 클라이밍폼 터널 라이닝폼
20
안면여과식의 여과재 분진 등 포집효율 관련하여 ()채우시오
99 94 80
21
하인리히 재해구성비율과 설명
1 : 29 : 300 1 중대재해 발생건수 29 경상 300 무상해 사고
2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잠함, 우물통, 수직갱 또는 이와 비슷한 건설물이나 설비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 사업주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3가지 쓰시오.
산소 결핍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해 측정하도록 할것 근로자가 안전하게 오르내리기 위한 설비 설치할것 굴착깊이가 20m를 초과하는 경우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 설비를 설치할것
23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3가지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차량계 건설기계의 주행경로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의 작업방법
24
거푸집 동바리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 작업/지반의 굴착작업/흙막이 지보공의 고정·조립 또는 해체 작업/터널의 굴착작업/건물 등의 해체작업 시 유해·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감독자의 직무를 3가지 쓰시오.
안전한 작업방법 결정 후 지휘 재료기구의 결함 확인 및 불량품 제거 작업중 보호구 착용 상황 감시
25
PGM PSM 설명
PGM : 교량 상부구조를 외부 제작장에사 제작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PASM : 교량 상부구조를 현장제작후 현장조립
26
터널작업시 시공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한 계측항목
터널내 육안조사 록볼트 인발시험 내공변위측정 지하수위측정
27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비계의 종류 6가지
시스템비계 강관비계 강관틀비계 말비계 이동식비계 달비계
28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이 커지는 경우 4가지
타설속도 빠를수록 거푸집 부재 단면 클수록 외기온도 낮을수록 거푸집 강성이 클수록 거푸집 수밀성이 클수록
29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 교육 시간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정기교육 : 사무직 종사 근로자 매분기 (①)시간 이상 •정기교육 :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 연간 (②)시간 이상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③)시간 이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 건설 일용 근로자 (④)시간 이상
3 16 2 4
3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업 중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사업 관련 빈칸을 채우시오. (5점) - 지상높이가 ( ) 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공사 - 최대 지간길이가 ( ) m 이상인 교량 건설등 공사 - 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 ) 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지방상수도 전용 댐 건설 등의 공사 - 연면적 ( ) m2 이상의 냉동ㆍ냉장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이게 맞나요?> - 깊이 10 m 이상인 ( )
31 50 2천만 5000 굴착공사
31
이동식 크레인 사용시 작업전 점검사항 3가지
와이어로프가 지나가는 곳 확인 제동,조종장치 작동여부 권과방지창치 작종여부
3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사금액이 1000억원의 건설업에서 선임해야하는 최소 안전관리자 수 /// 및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하는 안전관리자 자격 2가지를 쓰시오
2명 건설안전산업기사 이상, 산업안전지도사
33
다음 표시이름은?
폭발성물질경고
34
안전보건개선계획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명령을 받은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①)일 이내에 관할 •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는 시설, (②), (③),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60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관리체제
35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하여 빗물등의 침투에 의한 붕괴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2가지
측구를 설치한다 굴착경사면에 비닐을 덮어놓는다
36
철근 정착공법 2가지
매입길이 갈고리
37
해체작업영 기계,기구 5가지
철제해머 화염방사기 핸드브레이커 대형브레이커 압쇄기
38
지게차를 사용하여 작업할때 작업시작전 점검사항 4가지
브레이크등 제동장치 작동여부 하역장치 작동여부 바퀴의 상태체크 전조등 후미등 경보장치기능 작동여부
39
급성독성물질경고
4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폭풍, 폭우 및 폭설 등의 악천후로 인하여 작업을 중지시킨 후 또는 비계를 조립·해체하거나 변경한 후 작업재개 시 작업시작 전 점검항목 4가지를 쓰시오.
비계 발판재료의 손상여부 확인 비계 연결재료의 부식상태 확인 비계의 연결부 풀림 상태 손잡이의 탈락여부
41
토목공사 다짐기계에 따른 다짐공법 3가지
진동다짐 공법 다짐말뚝 폭파다짐 전기충격
42
내전압성이란?
7000V 이하의전압에 견디는 것
43
사업주가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이 안전진단 등 안정성평가를 하여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제거하여야 하믐 경우 3가지
인근에서 굴착,균열이 발생, 붕괴가 예상되는 경우 화재 등으로 시설물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될 경우 지진으로 안해 시설물에 균열이 발생했을 경우
44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3가지
수평재,수직재,가세재를 견고하게 연걸하는구조 수평재와 수직재는 직각으로 설치, 흔들림없게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철물은 견고한구조로 연결
45
이동식 크레인의 종류
크롤러 크레인 트럭크레인 휠크레인
46
강관비계와 구조체 사이 벽이음의 역할 2가지
풍하중에 의한 움직임 방지 수평하중에 의한 움직임 방지
47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펌프 또는 콘크리트 펌프카를 사용하는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3가지
작업 전 펌프용 비계를 점검, 이상발생시 즉시 보수 난간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호스의 요동등으로 추 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난간을 설치할것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을 조정하는 경우 주변 전선등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할것
48
히빙방지대책
웰포인트공법사용 상재하중제거 지반개량을 통해 전단강도 증가 근입깊이 깊게 배면의 흙을 굴착
49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주변 수위차로 지하수가 모래와 함께 솟구쳐 오르는 현상
보일링
50
건설현장에서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 3가지 (이동식 크레인 제외)
와이어로프가 지나가는 곳 권과방지장치 작동여부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51
달비계의 안전계수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달기 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 : (①) 이상 • 달기 체인 및 달기 훅 : (②) 이상 • 달기강대 및 달비계 하부 및 상부지점의 안전계수 : 강재의 경우 (③) 이상, 목재의 경우 5이상
10 5 2.5
52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할 경우 사업주의 준수사항 4가지
관리자의 지휘에 따라 작업할것 기상상태가 좋지 않을 시 작업 중지 작업과 무관한 자의 출입통제 조립해체의 절차를 근로자에게 주지
53
지하작업 가스공사중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시점 3가지
하루 작업을 시작하기 전 가스누출의 의심이 될때 가스누출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
54
무재해 운동의 3원칙
선취의 원칙 무의 원칙 참가의 원칙
55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실시해야 허는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근로자 정기교육내용을 4가지 쓰시오
산업안전 및 사고예방에 관한 사항 직업병예방에 관한 사항 직무스트레스 예방에 관한 사항 질병예방에 관한 사항
56
다음 안전보건표지의 이름을 스시오
위험장소경고 차량통행금지
57
달비계에 사용할 수 없는 와이어 로프의 조건 3가지 (이음매가 있는것,꼬인것 제외)
부식정도가 심한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초과인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의 수가 10%이상인 것 열과 전기 충격에 의해 손상된것
58
컨베이어 작업 시작 전에 관리감독자가 확인 할 점검사항 3가지
원동기 기능의 이상유무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 이상유무 비상정지장치 기능이상유무
59
안전모의 종류별 사용구분에 따른 용도를 쓰세오
AB : 낙하 비례 및 추락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AE : 낙하 비례 감전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ABE : 낙하 비례 및 추락과 감전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60
사다리식 통로 설치기준 관련하여 ( )를 채우시오. •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①)cm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②)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 90도 이하로하고, 그 높이가 7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2.5미터 되는 •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경우에는 (③)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60 75 5
61
승강기의 종류 4가지
에스컬레이터 승객용 엘리베이터 승객화물용 엘리베이터 소형화물용 엘리베이터
62
강관비계 조립시 벽이음 또는 버팀을 설치하는 간격 단관비계와 틀비계 구분
단관은 5m 틀비계는 벽이음 6 버팀 8
63
깊이 10.5m 이상의 굴착의 경우 흙막이 구조의 안전을 예측하기 위해 설치 하여야 하는 계측기기 4가지
응력계 지하수위계 변위계 경사계
64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2가지
버킷,디퍼등의 장치를 가장 낮은 위치에 내릴것 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어야함
65
구조물 해체공사 시 기계 기구의 유압력에 의한 해체공법 2가지
유압잭공법 압쇄 공법
66
항타기 항발기를 조립하거나 해채하는 경우 사업주가 점검해야할 사항 3가지
본체 연결부의 풀림유무 권상용 와이어로프 이상유무 권상기 설치상태 이상유무 권상장치위 브레이크 기능 이상유무
67
방망관련 ( ) 에 알맞은 것을 넣으시오. 방망은 망, 테두리로우프, 달기로우프, 시험용사로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각 부분은 다음 각호에 정하는 바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소 재 : ( ) 또는 그 이상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 그물코 : 사각 또는 ( ) 로서 그 크기는 ( ) cm 이하이어야 한다.
합성섬유 마름모 10
68
터널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NATM공법에 의거, 터널작업시 사전에 계측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
계측빈도 계측결과 분석방법 계측장비 변위 허용치 기준
69
굴착면의 높이가 2m 이상의 암석 굴착작업 특뱔 교육내용 4가지
안전거리 안전기준에 대한 사항 방호물 설치에 관한 사항 폭발물 취급 및 대피에 관한 사항 보호구 및 신호방법에 대한 사항
70
사질토 지반 개량공법 종류 2가지
동다짐공법 진동다짐공법 폭파다집공법
71
리프트의 종류 3가지
건설용 리프트 산업용 리프트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72
시멘트의 품질시험 항목 5가지
분말도시험 안정도 압축강도 화학성분 응결시간
73
연약한 지반에 하중을 가하여 흙을 압밀시키는 방법의 한가지로 구조물 축조장소에 사전 성토하여 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킨 후 성토부분을 제거하는 공법명을 쓰시오.
프리로딩공법
74
섬유로프의 사용금지 기준 2가지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이상일 때 이음부가 있을 때 부식등이 심할 때 꼬임이 있을 때
75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5단계
안전조직 사실의발견 분석평가 시정책 선정 시정책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