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역률 과보상시 발생하는 현상 3가지
역률저하 및 손실증가, 단자전압상승, 계전기의 오동작
2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4가지
통신선의 유도장해, 보호계전기의 오동작,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3상 4선식 회뢰의 중선선 과열
3
지락사고시 계전기가 동작하기 위하여 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방법 3가지
영상 변류기에 의한 방법, Y결선의 잔류 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3권선 CT를 이용하는 방법(영상 분로 방식)
4
묽은 황산의 농도는 표준이고 액면이 저하하여 극판이 노출되어 있다. 어떤 조치를 하여야 하는가?
증류수를 보충한다.
5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등이 생겼을때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방식?
회복 충전 방식
6
알칼리 축전지의 공칭전압?
1.2V
7
연(납) 축전지의 공칭전압?
2V
8
지중선의 장점 3가지
도시 미관이 깨끗하다., 기후나 자연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다., 사람에 대해 안전하다.
9
지중선의 단점
가공전선로에 비해 송전 용량이 적다., 건설비가 고가이고, 공사기간이 장시간 소요된다., 신규 수용가에 대한 탄력성이 결여된다.
10
CT 비오차가 무엇인지 설명
공칭 변류비와 측정변류비의 차이를 측정변류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는것으로 변류비 오차를 말함
11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4가지
극성이 같을 것,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정격전압이 같을 것, 내부저항과 누설 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12
229KV 측의 DS의 정격전압?
25.8kV
13
ZCT의 기능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것
14
GR의 기능
영상변류기에 의해 검출된 영상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지락 고장 보호용으로 사용
15
MOF에 연결되어 있는 DM은 무엇인가?
최대 수요 전력량계
16
1대의 전압계로 3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의 약호
VS
17
1대의 전류게로 3상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를 약호
AS
18
PF의 기능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하고, 어떤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19
MOF의 기능
PT와 CT가 하나의 함에 설치되어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저전류로 변성하여 전력량계에 공급
20
차단기의 기능
부하전류의 개폐, 고장전류 특히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를 차단
21
SC의 기능
역률 개선
22
OS
유입 개폐기
23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
부하에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24
스폿 네트워크 수전방식 장점 3가지
배전선이나 변압기 사고시에도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부하 증가시 수요변동 탄력성이 우수하다, 변압기 2차 측의 병렬 운전으로 부하 분담이 균일화되어 전압 변동률이 낮다
25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의 전원측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이유는?
보호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26
진상콘덴서에 연결하는 방전 코일의 목적?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 전하 방전
27
BIL이란?
기준 충격 절연 강도
28
서지 흡수기(SA) 설치하는 이유
내부의 이상전압이 2차 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한다.
29
통전 중에 있는 변류기 2차 측 기기를 교체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취하여 하는 할 조치는? 그이유는?
2차측을 단락, 변류기의 2차측을 개방하면 변류기 1차측 부하 전류가 모두 여자 전류가되어 변류기 2차 측 고전압을 유기하여 변류기의 절연을 파괴할 수 있다
30
인입구 개폐기로서 DS대신 사용 가능한것 명칭과 약호
ASS,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
31
부하설비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 두가지
전력 손실이 커진다, 전압강하가 커진다
32
태양광 발전의 장점 4가지
자원이 반영구적이며, 무공해이다., 태양광이 미치는 장소라면 어디에든 설치가 가능하며, 보수가 용이하다.,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 효율이 일정하다., 확산광도 이용할 수 있다.
33
태양광 발전의 단점 2가지
태양광의 에너지 밀도가 낮다., 비오거나 흐린날에 발전능력이 저하된다.
34
그림의 접지저항 측정 방법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35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기는?
어스 테스터
36
자가용 전기설비에 발전 시설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자가용 수용가에 설최덩야 할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 과전압 계전기, 부족전압 계전기, 비율차동 계전기, 주파수 계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