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일본은 () 전쟁 도발 직후, ()에게 ()적 요충지를 요구 하는, 한일()를 체결하였다.
러일,한국,군사,의정서
2
제1차 한일협약에 따라, 대한제국의 고문으로 부임된 사람은?(2명)
스티븐슨,메카타
3
대한제국의 외교 교문이였던, 스티븐슨(미국)을 처단한 사람은?(2명)
장인환,전명운
4
() 고문 ()의 주도로, () 사업이 실시되었다.
재정,메카타,화폐정리
5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던 한국-일본 사이의 조약은? (※제2차 한일 협약이라고도 부른다)
을사늑약
6
()은 () 체결의 ()성을 알리기 위해, () 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였다.
고종,을사늑약,부당,헤이그
7
다음 조약의 이름을 쓰시오.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체결되었다. (=정미 7조약이라고 부른다.) -통감의 권한 강화(일본 관리 임명) / 차관 정치를 실시 -부속: 고종 강제 퇴위, 대한제국 군대 강제 해산
한일신협약
8
() 부속 각서에 따라, 대한제국의 ()가 강제 ()되었다.
한일신협약,군대,해산
9
()늑약 체결로 일본은 한국의 ()을 ()하고, ()를 설치하였다.
을사,외교권,박탈,통감부
10
한일() 체결 후 ()의 내정() 권한이 ()되었다.
신협약,통감,간섭,강화
11
() 전쟁 중 ()은 ()를 불법적으로 ()하였다.
러일,일본,독도,편입
12
위 내용이 해당되는 조약을 쓰시오. -고종 퇴위 / 대한제국 군대 해산 -통감의 권리 강화(일본 관리 임명) / 차관 정치를 실시 -"정미7조약"이라고도 부른다.
한일신협약
13
대한제국은 1909년 이것을 통해 일제에게 사법권 및 경찰권을 빼앗겼다. 이것이 무엇인지 쓰시오.
기유각서
14
일본인이 추천한 메카타와 스티븐슨이 고문관으로 파견되었다.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 한일신협약
1차한일협약
15
<문제2>.개항기의 순서를 나열하시오.
러일전쟁, 한일 의정서 (군사적 요충지 확보), 1차 한일 협약 (외교:스티븐스/ 고문:메카타),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을사의병(최익현,신돌석), 헤이그특사 파견(고종 요청) (이상설.이준.이위종),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고종 퇴위·군대해산), 정미의병 (13도 창의군/서울 진공 작전), 기유각서 (사법권 및 경찰권 박탈)
16
<문제1>.개항기의 순서를 나열하시오.
임오군란 (제물포(일), 조청 조약(청) 체결), 갑신 정변 (한성조약(일), 텐진조약(일-청) 체결), 거문도 사건(영국),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을미개혁, 을미의병, 아관파천
17
을사늑약의 초대통감을 쓰시오.
이토히로무미
18
을사늑약을 규탄하고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은 사람은?
장지연
19
1.헤이그 특사를 주도한 사람은? 2.헤이그 특사에 파견된 2명을 쓰시오.
고종,이상설,이준
20
-통감인 데리우치와 이완용이 체결하였다. -조선 총독부가 설치되었다. -국권을 피탈당한 치욕의 날 "경술국치"라고도 부른다.
한일병합조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