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야간작전 특징 중 제한사항
신체활동의 제한, 기상의 제한, 조명 제한
2
눈의 구조 중 카메라에서 말하는 조리개에 해당되는 것은?
홍채
3
주간이나 고광도 불빛에 사용되는 시세포는?
원추세포
4
간상세포의 중추부에서 생산되는 광수용 색소는?
로돕신
5
로돕신은 빛이 닿으면 퇴색한다. 즉, 로돕신 분자구조의 변화를 가져와서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이온의 이동이 수용기 B전압을 일으킨다. 이렇게 빛이 닿으면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것을 전문용어로?
bleached out
6
로돕신은 빛이 닿으면 퇴색한다. 즉, 로돕신 ( )를 가져와서 ( )시키고 이온의 이동이 ( )을 일으킨다. 이렇게 빛이 닿으면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것을 전문용어로 bleached out이라고 한다.
분자구조의 변화,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가, 수용기 B전압
7
원추세포에서 생선되는 광수용 색소는?
아이오돕신
8
시각의 형태 3가지
주간시각, 중간시각, 야간시각
9
주로 간상세포에 의해 이루어지고, 빛에 대한 역치가 낮아져 약한 빛에서도 기운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각은?
야간시각
10
주로 ( )에 의해 이루어지고, 빛에 대한 ( )가 낮아져 약한 빛에서도 기운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각은 야간시각이다.
간상세포, 역치
11
40대 이상의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며 망막 뒤에서 상이 맺혀 사물이 희미하게 보이며 붉은색 아래서 판독이 곤란한 시각은?
원시(노안)
12
40대 이상의 사람에게 흔히 나타나며 망막 ( )에서 상이 맺혀 사물이 희미하게 보이며 ( ) 아래서 판독이 곤란한 시각은 원시(노안)이다.
뒤, 붉은색
13
암조응은 낮은 조명하에서 눈의 감수성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처음 30~45분간 주로 이루어지며 불빛에 노출될 경우 최대 암조응으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45분
14
암조응은( )하에서 눈의 ( )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처음 ( )간 주로 이루어지며 불빛에 노출될 경우 최대 암조응으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45분이다.
낮은 조명, 감수성, 30~45분
15
망막보다 앞에 상이 맺히는 현상으로 가까운 곳은 잘 보이고 먼 곳은 잘 보이지 않는 시각은?
야간근시안
16
망막보다 ( )에 상이 맺히는 현상으로 ( ) 곳은 잘 보이고 ( ) 곳은 잘 보이지 않는 시각은 야간근시안이다.
앞, 가까운, 먼
17
눈의 수직과 수평축의 불일치로 상이 잘 맺히지 않고 럭비공처럼 상이 맺히는 현상은?
난시안
18
간상세포는 어느 색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녹색
19
원추세포는 어느 색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노란색
20
ANVIS의 제한사항
야간에 빛이 필요하다, 시력감소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비행속도와 고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림자를 드리우며 지나가는 구름이나 물체와 같은 요인에 의해 감소된다
21
야간맹점의 범위는 얼마인가?
5~10도
22
야시경의 시계범위는 몇 도로 제한되는가?
40도
23
가글로 볼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거리는?
20~500ft
24
시각의 문제점 (객관식)
야간근시안, 노안, 원시안
25
육안으로 30분 정도 걸려 암조응이 되는 시간을 NVD를 이용하면 빨리 적응할 수 있다. 걸리는 시간은?
5분 이하
26
24시간 이내에 20~30개비의 담배를 피게 되면 20%의 야간시력을 감소시키고 고도 몇 천 피트에 있는 것과 같다. 몇 피트?
4000~5000ft
27
NVG 초점 조절 범위는?
10인치
28
음주 후 몇시간 이후에 비행 실시해야됨?
12시간
29
거리 측정 방법 중 기하학적 투시법은?
직선투시법, 외형원근법, 야외에서 수직위치
30
운동하고 있는 관측자가 외부에 고정된 물체를 바라보았을 때 생기는 상대적인 운동으로 가까운 물체는 움직이는 방향의 뒤쪽 또는 반대로 움직이는 것 같이 보이는 심층 지각력은?
운동시차
31
ANVIS 전원은 구형은 3V 리튬건전지, 신형은 3V 리튬건전지 또는 1.5V 알카리 건전지를 사용한다. BA-5567 건전지는 몇 볼트 이하로 내려가면 저전압지시기가 점등되는가?
2.4V DC
32
ANVIS에 대한 조절방법
수직 16mm, 전후 16mm, 눈 간격 52~72mm, 기울기 총 8도 이상
33
망막의 영상크기에 의한 거리 측정방법
알려진 물체의 크기, 물체 크기의 증가 및 감소, 지상 물체와의 연관
34
어둠속에서 고정된 불빛을 8~10초간 바라보게 되면 불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착각은?
자가운동
35
차 속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건널목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내가 타고 있는 차가 움직이는 것과 같은 착각은?
상대적인 운동착각
36
편대비행이나 단독비행 시 능선을 통과하기에 충분한 고도이지만 계속 상승하려는 심리적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또산 구름위에 평행으로 비행할 때 구름을 벗어나기 위해 경사를 주려는 경향이 있는 착각은?
참조물 변경에 의한 착각
37
초당 4~20 싸이클로 점멸하는 빛은 조종사에게 심리적 불안감과 위험한 반응을 일으켜 멀미, 구토, 현기증을 유발하는 착각은?
불빛 점멸에 의한 어지러움증
38
열복사선, 비, 눈, 진눈깨비, 기타 요인이 의해 시각을 흐리게 하는 착각은?
구조적 착각
39
비행착각 예방책
훈련, 경험, 전문지식
40
비행착각 극복책
계기로 돌아가라, 계기를 믿어라, 직진수평비행을 하라
41
달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달은 매 시간 약 몇 도 씩 움직이는가?
15도
42
다음 중 조종간을 잡은 사람이 수행해야 할 사항은?
항공기 조종
43
야간비행을 위하여 비행전 점검 시 착륙등은 어느위치에 두어야 하는가?
비상착륙시 조명에 적합하도록
44
항로상에 check point는 대략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정해야 하는가?
5~20km
45
NVG는 맨눈으로 보이는 물체보다 몇 배 정도 증폭되어 보이는가?
증폭되지 않는다
46
NVG 자격훈련은 몇 일 이내에 실시되어야 하는가?
45일
47
NVG 유자격 조종사의 기량유지 훈련은 몇 일 이내 이뤄져야 하는가?
90일
48
착륙등 탐조등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착륙 시 몇 피트이하에서 켜야 하는가?
AGL 200ft
49
야간투시경 항법 지도를 작성 시 고려사항
밝은 흑색 펜 사용, 지도상에 항로 및 항공통제점을 표시한다, 계획된 비행로에서 양쪽으로 이탈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출발 및 귀환로는 적어도 10~15km씩 거리표시를 한다
50
야간비행시 전방 항공기보다 나의 항공기 상방 수직 이격 거리는?
1~10ft
51
야간 편대비행 시 운용시 이착륙을 제외한 권장 편대비행
제대 대형, 엇갈림 대형, 좌우 제대 대형
52
항로선정 시 고려사항
밝게 빛나는 지역, 도로, 인구밀집지역을 회피한다, 도로교차점 및 넓은 개활지는 최단거리로 통과하여 노출시간을 최소화한다, 달이나 구름에 의해 가려진 계곡 쪽으로는 비행하지 않는다
53
ANVIS 균령을 위한 촤초 균형추의 추천 중량?
12온스
54
실외에서 가글 초점을 맞추기 위한 거리는 얼마인가?
100~200ft
55
야시장비에서 빛을 전자파로 바꾸어주는 구성품은?
광음극
56
야간시각의 인지 요소
물체의 크기, 물체의 형태, 물체의 대조
57
NVG 활용 중 시정장애를 조우할 경우 조종사가 취해야 할 조치는?
속도 감속, 고도 증가, VFR 유지 불가시 IMC 회복절차 수행
58
항공기 최대 노출시간은 얼마 정도인가?
10초
59
비행 중 전방 또는 측방에서 새떼를 조우했을 때 회피방법
직진 상승비행
60
FLIR 장비를 통해서 색깔을 볼 때 색상구별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색깔이 없으며 녹색으로 보인다
61
NVG 자격훈련 단계 중 맞는 것 - 자격획득, 회복는 ( )에서 이뤄져야 한다 - 야간에 계류된 항공기에서 ( )훈련을 받아야 한다 - 조종사의 비행평가는 ( ) 또는 ( )에 의해 실시된다
NVG를 위해 개조된 동일 기종 항공기, 1시간의 조종실 내, NVG IP, SIP
62
NVG 개인자격 유지 - 매 ( )마다 NVG를 착용한 상태 또는 모의 비행장치로 ( )비행한다 - 매 ( )마다 NVG를 착용한 상태에서 ( )을 실시해야 한다 - 훈련은 ( )이 지정하는 과목 중 ( )을 실시한다
45일, 1시간, 90일(3개월), 야간에 1시간의 NVG 비행, 지휘관, 절반 이상
63
영상증폭관의 형광막에는 ( )이 포함되어 있다. 장비 파괴시 발생되는 유독성 가스를 ( )하지 않도록 하고 입이나 상처부위에 (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유독성 물질, 흡입, 접촉
64
영상증폭관의 결함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오물이나 부스러기를 말한다. 관측을 간섭하지 않는 한 운용 가능하며, 이것을 ( )이라 한다.
흑점
65
야간투시경의 영상영역에 발생가능한 결점으로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상의 ( )에 의해 발생하고, 작고 일정하지 않으며 깜빡거라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을 ( )이라 한다.
흠집, 밝은점
66
영상영역 전체 또는 일부분에 나타나는 어둡고 가는 선의 불규칙한 형태는 ( )이다.
치킨와이어
67
야간투사경의 영상영역에 있는 결함으로 ( )의 외측부에 나타나는 밝은 부분을 ( )이라 한다.
관측영역, 테두리 밝음
68
영상영역에 나타나는 밝은 점을 영상증폭관의 결함이 원인으로 작은 형태이며 지속적 또는 가변적으로 나타나고, 단안경 대물렌즈로부터 모든 빛이 차단되어도 ( )은 사라지지 않는다. 관측거리내의 광원과 혼동되어서는 안되며, 배경의 반짝임보다 ( )이 더 밝으면 안된다.
방사점, 방사점
69
동일한 쌍안경내의 2개의 영상증폭관 결합체간에 성능차이가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통상 한쪽보다 더 밝게 나타나는 다른 한쪽의 단안경에 의해 알 수 있는 결함을 ( )라 한다.
영상불일치
70
자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소 중 3가지 (제가 외운것만 적을게요
약물, 피로, 흡연
71
야간관측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탐색(search) : - 주사법(scanning): - 주변시법 (Off-center-viewing): 시선을 물체의 ( )정도 둠으로써 주변 ( )에 물체의 영상이 포착되도록 하는 방법
야간 제자리비행 상태에서 시선이 움직이는 동안 잠깐 멈추어 살펴보는 방법, 야간 비행속도가 있는 상태에서 시선이 움직이는 동안 잠깐 멈추어 살펴보는 방법, 상하좌우 10도, 망막
72
시각에 의한 착각 3가지 (넘 많아서 제가 외운것만 적을게요 ㅎ
자가운동, 운동착각, 상대적인 운동착각
73
야간시정이 제한되는 기상변화 징후
외기조도 감소, halo effect, 수면상의 안개 증가, 별빛 및 달빛 감소
74
가글고장 시 조치사항
가글 고장 호창, 고도상승, 조종간 인계, 배터리 교환 또는 스위치 전환, 불가능시 임무 포기
75
야시경 착용하 비행 중 악기상 조우시 조치사항
악기상 조우 경고, 수평자세 유지, 헤딩 유지, 동력 증가, 부조종사는 야시경을 벗고 계기등 on, 조종간 인수 및 수평자세 상승, 정조종사는 가글 벗고 트랜스폰더 EMER 위치, 계기비행상태
76
어떤 한 점의 물체를 주시하고 있을 때 그 대상 물테가 차단되면 없어져도 잠시동안 그 영상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게 되는 현상?
잔상
77
NVG 임무훈련 단계 - 획득, 화복훈련을 종료한 후 ( )에 이루어져야 한다. - 최초 자격 획득 후 편제표상 ()에 보직되지 않는 한 임무숙달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 ) - 임무훈련은 최소한 () NVG 훈련으로 편성한다
90일 이내, 비행임무 직위, 없다, 10시간
78
야간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문제점을 쓰시오
원시안, 난시안, 야간근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