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상부상조의 민간 협동체
계
2
농사일을 협력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동노력 풍습, 상호부조, 공동오락, 협동노동 등을 목적으로 마을 단위로 조직
두레
3
모내기 등 농번기에 이루어진 마을 전체의 공동체적 활동
두레
4
노동력를 상시적으로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 오늘날 공동육아와 유사한 형태
품앗이
5
개인 또는 소규모집단 사이에 농사를 포함한 다양한 도움을 주고받는 활동
품앗이
6
유교적 예속의 보급, 공동체적 결속, 지역의 체제 안정을 위해 마을단위로 실시된 향촌의 자치규약
항약
7
현재의 조례와 유사한 성격
항약
8
재앙이나 흉년에 대비하여 미리 향민에게 곡식을 징수 또는 기증받아 저장해 두는 촌락단위의 구휼제도
사창
9
삼평창과 더불어 삼창의 하나, 촌락단위에서 행해지면서 국가의 지도와 감독을 받음
사창
10
마을 안에 중병자나 불구자, 과부, 초상당항 사람의 농사를 같은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어주는 것
공굴
11
농사일뿐만 아니라 동네 사람이 집을 신축할 때 또는 10세 미만의 아이가 죽었을 때의 장사 등 동원 봉사를 의미
부근
12
주로 장례 등 마을에 흉사가 있을 때 무보수로 봉사
향도
13
궁핍한 마을 사람들끼리 연대책임으로 농업경영자와 노동청의 계약, 춘둥기에 노임으로 양식 선불 농번기에 계약된 노동 제공
고지
14
오늘날 금품공여와 같은 형태
부조
15
마을에서 누군가가 집을 지을 때 일할도구와 점심를 들고 가서 도와주는 것
부조
16
애민육조(목민심서)
양로(노인): 어른 공경, 자유(고아): 어린이를 사랑하라, 진궁(남의 힘에 의존하지 않아고서는 살 수 없는 사람들): 가난한 사람 구제, 애상(지나치게 가난해서 상을 치를 수 없는 사람들): 상을 애도하라, 관징(불치의 환자, 위독한 병자): 환자를 구호하라, 구재(재앙을 당한 사람들): 재난을 구제하라
17
각 하급 지방행정 구획을 일정 수의 호수로 세분화하여 그 구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성원이 인보상조 , 연대책임으로 서로 돕게 함
오가작통법
18
일종의 지방자치 성격의 제도
오가작통법
19
양곡을 의창에 저장해두었다가 흉년이 등 해에 농민들에게 무상으로 곡식, 곡식 종자를 나눔
의창
20
오늘날 생활보호, 공공부조 제도와 기본성격이 유사
의창
21
국가가 곡가 가격이 떨어지면 사들여 곡가를 올리고 떨어지면 풀어서 가격을 낮추어 물가 조절
상평창
22
평상시에는 상평청과 함께 곡물 조절, 흉년에는 구휼 및 진대 업무를 수행
진휼청
23
의료구호기관이면서 의탁할 데 없는 사람을 보호 수용하기도 함
동서대비원
24
서민들의 질병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혜민국, 혜민서
25
0000년 조선사회사업협회
1929
26
0000년 조선구호령
1944
27
조선구호령은 근대적 0000의 기초가 됨 0000년 0000법의 제정으로 폐지
공공부조, 1961, 생활보호법
28
해방 이후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공동모금의 발전, 외국민간원조기관의 활동, 지역사회개발 사업, 지역사회개발 사업으로서 새마을 운동
29
0000년 기부금품모집금지법
1951
30
0000년 사회복지사업법에서 공동모금회 설립 규정
1970
31
0000년 민간주도 공동모금 운동 전개
1971
32
카바-0000년 7개 기관 모여 조직
1952
33
카바-사무국 실치하여 연합회로서의 가능 갖춤
1955
34
카바-0000년 70개로 증가
1964
35
0000년 지역사회개발 un에 의해 주창되었다.
1955
36
카바-0000년대 후반부터 철수 및 철수 계획 세우기
1970
37
새마을운동의 이념
근면, 자조, 협동
38
0000년대 새마을 운동은 00주도로 전환되어 ()창립
1980, 민간, 새마을운동중앙본부
39
0000년 제0공화국이 들어서면서 00운동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위축, 퇴색
1988, 6공화국, 관변운동
40
00중심의 목표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00중심적인 목표 달성하는데 치중
과정, 과업
41
새마을운동- 00적인 변화보다 00적인 실제효과(00적효과로 성과 평가)
내면적, 가시적, 물량적
42
새마을운동 - 0주도 경향, 00적 경향 - 0000의 00식 운동 - 00적 00위주 0000적
관주도, 정치적, 상의하달, 하향식, 획일적, 물량위주, 전시효과적
43
0000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1983
44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내용
사회복지사 명칭 규정, 사회복지관 운영 지원, 읍면동 복지위원
45
0000년 읍면동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
1987
46
주택건설촉진법을 통해 저소득층 영구임대아파트 내 일정 규모의 사회복지관 건립 의무화
1989
47
1980년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역사
지역사회복지의 정착, 지역사회행동모델 확산
48
1980년 후반 00중심적 접근+00적 근거 배경으오 한 사회운동
이슈, 지역적
49
사회복지 시설평가 시작
1999
50
사회복지 시설평가 개정
1997
51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개정
1999
52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제정
1997
53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시행
1998
54
자활지원센터 시범사업
1996
55
보겅복지사무소 시범사업 실시
1995
56
재가복지봉사센터가 사회복지관으로 흡수 통합
2010
57
재가복지봉사센터 설립
1992
58
1990년대 지역사회복지 특징
사회통합, 정상화 등의 재가복지서비스 확대, 실천 주체의 전문화 및 다양화, 지역사회 중심의 자활사업 전개, 지방자치제도 실시
59
전자바우처 사업 시행
2007
60
지역서회조직화는 000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문가
61
서비스투자사업, 전자바우처 지급 정산
사회보장정보원
62
2012년 사회보장기본법상 ()서비스가 ()서비스로 변경
사회복지서비스, 사회서비스
63
사회복지 시설평가 0년
3년
64
사회복지관 운영 국고보조금 지원
1983
65
농촌의 가장 대표젇인 노동협력 양식, 물품과 서비스를 주고받는 지역화폐의 기능도 갖는다.
품앗이
66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1992
67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2000
68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의무화 및 시군구 계획의 심의기관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설치근거 마련
2003
69
사회복지 사무소 시범사업
2004
70
한시적 분권교부세 도임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