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엑스선 영상에서 피질골의 얇은 층으로 치근을 둘러싸고 있으며, 방사선불투과성으로 나타나는 것은?
치조백선
2
상악 소구치 치근단 영상에서 치아 인접면이 겹쳐서 관찰될 때 해결하는 방법은?
소구치 인접면에 중심선을 평행하게 조사한다.
3
환자의 구개가 낮아 필름유지기구를 위치시키기 어려울 때 치아주위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촬영법은?
등각촬영
4
엑스선 영상의 흑화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은?
노출시간 감소
5
전자기방사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진공 상태에서 빛의 속도와 같다
6
저지엑스선은 전자와 텅스텐 원자가 어떤 상호작용을 할 때 발생하는가?
원자핵 근처를 지나갈 때
7
노출시간을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변화는?
엑스선의 양 증가
8
방사선의 분류에서 전자기방사선인 것은?
감마선
9
엑스선과 가시광선을 비교할 때 엑스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물질을 투과한다.
10
엑스선 영상의 선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피사체와 필름의 거리 감소
11
치아와 수복물의 경계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의 특성은?
선예도
12
엑스선관 초점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는 것은?
절연유
13
상악 견치를 등각촬영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수평각은 측절치와 견치 인접면에 평행하게 조사한다.
14
방사선 관련 종사자의 연간 최대 허용선량은?
50msv
15
상악결절, 관골궁, 하악의 근돌기를 관찰할 수 있는 촬영부위는?
상악 대구치부
16
저선량의 방사선에 오랜 기간 반복 노출될 때, 발생 가능한 신체적 영향은?
암
17
엑스선관 내에서 텅스텐타깃의 역할은?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18
상악 절치부 치근단 영상에서 매복과잉치가 관찰되었다. 과잉치의 순,설측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촬영법은?
관구이동촬영
19
전자의 속도를 조절하여 엑스선 속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은?
관전압
20
전악 구내촬영과 비교하였을 때 파노라마 촬영의 단점은?
해상도가 낮다.
21
방사선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방법은?
갑상선 보호대를 사용한다.
22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은?
납이 내장된 원통형 조사통 사용
23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시리다고 호소하여 수복물 변연을 확인하고자 한다. 적절한 촬영법은?
교익촬영
24
하악 대구치 치근단 영상에서 매복된 제3대구치가 발견되었다. 매복치의 협설측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촬영법은?
직각촬영
25
유치악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무치악 환자의 구내 촬영법으로 옳은 것은?
방사선 노출시간이 적다.
26
인체 조직과 장기 중 방사선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신경
27
파노라마촬영을 위한 환자의 준비와 위치조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상,하악 전치로 교합제 홈을 물어준다.
28
전악 구내 촬영과 비교할 때 파노라마 촬영의 장점은?
촬영법이 간단해 시간소요가 적다.
29
평행촬영법과 비교하여 등각촬영법의 장점은?
낮은 구개 환자에게 적용
30
상악 대구치 치근단 영상의 일부가 희거나 투명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중심선이 필름의 중앙을 향하도록 한다.
31
엑스선관 초점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엑스선이 발생한다.
32
상악의 치근단 영상에서 방사선불투과성으로 관찰되는 구조물은?
전비극, 관골돌기
33
엑스선 촬영과정에서 술자를 위한 효과적인 방호 방법은?
납 차폐벽 뒤에 위치한다.
34
하악 대구치 치근단 영상에서 방사선불투과성으로 관찰되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외사선, 악설공융선
35
평행촬영법으로 치근단을 촬영할 때 장점은?
왜곡이 적어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다.
36
엑스선과 가시광선의 공통적인 요인은?
직진한다.
37
신체가 장시간 저선량으로 방사선으로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백혈병
38
파노라마 영상에서 교합평면이 역 y자 형태로 나타나는 원인은?
턱을 든 상태에서 촬영
39
파노라마촬영 과정에서 환자가 교합제를 물지 못하고 턱을 전방으로 내밀었을 때 나타나는 결과는?
전치부의 수평적 축소
40
하악 절치 치근단 영상에서 치아의 길이가 실제보다 짧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은?
수직각을 감소시킨다.
41
파노라마 촬영에 비해 전악 구내 촬영의 장점은?
영상의 선예도가 높다.
42
파노라마촬영후 추가로 등각촬영을 한다면 무엇을 확인하기 위한 것인가?
초기 치근단 병소
43
파노라마 영상에서 교합평면이 과장된 v자 형태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프랑크포트수평면을 바닥과 평행하게 한다.
44
환자의 안면 조직을 투과할 때 발생하는 방사선은?
이차방사선
45
엑스선 영상의 선예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은?
촬영 중 엑스선관두의 움직임
46
방어벽이나 차폐시설이 없는 경우에 술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중심선에 대하여 90~135도 사이에 위치한다.
47
전자기방사선의 종류가 다른 것은?
엑스선
48
세포의 방사선감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재생능력이 클수록 높다.
49
엑스선 발생 과정에서 관전류 조절로 영향을 받는 것은?
전자의 양
50
8세 소아 환자의 구내 방사선촬영법으로 옳은 것은?
노출시간은 성인의 약 50%로 줄인다.
51
등각촬영과 비교할 때 평행촬영의 장점은?
상의 왜곡이 적다.
52
상악 절치를 촬영할 때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비중격
53
무치악 환자의 구내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치조능 흡수가 심한 경우 등각촬영을 한다.
54
엑스선 영상에서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은?
흑화도
55
하악 소구치 엑스선 영상에서 근단부위 병소와 구별이 필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은?
이공
56
흐릿한 상이 관찰될 때 해결하는 방법은?
촬영 중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57
등각촬영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피사체와 필름 간의 거리를 가깝게 한다.
58
엑스선 영상에서 방사선투과성으로 나타나는 치아주의조직은?
치주인대강
59
상악 견치를 등각촬영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중심선의 입사점이 비익을 통과하게 된다
60
하악 대구치 치근단 영상에서 매복치가 발견되었다. 매복치의 협, 설 위리를 확인할 수 있는 촬영법은?
직각촬영
61
소아 환자의 전악 구내 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연령에 따라 필름의 종루가 수를 결정한다.
62
상악 절치부 등각촬영법으로 옳은 것은?
비익과 이주를 연결한 선이 바닥과 평행하게 한다.
63
엑스선 발생장치에서 여과기의 역할은?
장파장을 제거한다.
64
노출식나을 25% 정도 감소시킨다, 필름이 잔존 치조능 위로 1/3정도 나오도록 위치시킨다.
무치악 환자
65
엑스선 촬영과정에서 피사체와 필름 간의 거리를 짧게 하였을 때 나타나는 영상의 특성은?
반음영 감소
66
엑스선관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구리동체는 열을 분산시킨다.
67
엑스선관두에서 엑스선 속을 시준하는 이유는?
방사선 피폭량 감소
68
엑스선 영상에서 선예도를 높이는 방법은?
초점의 크기를 작게 한다.
69
상악 절치 치근단 영상에서 매복과잉치가 관찰되었다. 순,설측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촬영법은?
관구이동촬영
70
엑스선관 내 필라멘트 온도를 조절하여 엑스선의 양에 영향을 주는 것은?
관전류
71
엑스선에서 시준기의 기능은?
엑스선 속의 모양과 크기 조절
72
엑스선 영상에서 치아가 실제 길이보다 짧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은?
수직각을 과도하게 주었을 때
73
오랫동안 저선량의 엑스선에 노출되었을 때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신체 영향은?
발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