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위해화장품으로 분류할 때 다등급 위해성 화장품에 해당하는 화장품인 아닌 것은?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2
화장품 원료 명칭과 비타민 명칭이 옳지 않게 짝지어진 것은?
레티놀(retinol) - 비타민 D
3
동일한 기능을 가진 화장품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비에이치티, 프로필갈레이트
4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해설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원자재 입출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원자재의 입고 시 구매 요구서, 원자재 공급업체 성적서 및 현품이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다. 필요한 경우 운송 관련 자료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5
화장품법 제2조에 따른 화장품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피부• 모발•구강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킨다.
6
기능성 화장품 심사를 위해 안전성에 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안전성에 관한 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유전독성시험자료
7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계면의 성질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물질이다.
8
화장품 원료 명칭과 비타민 명칭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판테놀(panthenol) - 비타민 B5
9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로 신고할 수 있는 자는?
정신질환자
10
기능성 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별표4에서 정하고 있는 자용성 미백 성분과 수용성 주름개선 성분을 짝지은 것으로 옳은 것은?
알파-비사보를 - 아데노신
11
화장품의 위해평가는 인체가 화장품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해영향과 발생확률을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위험성 확인, 위험성 결정, 노출평가, ( ㄴ) 등 일련의 단계를 말한다. ㄱ에 옳은 것은?
위해도 결정
12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허용기타원료가 아닌 것은?
키토산
13
원료나 내용물의 피부에 대한 알레르기, 부작용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원료나 내용 을 피부에 도포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피부의 반응을 보는 시험은 무엇인가?
첩포시험(패치테스트, patch test)
14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별표2에서 정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 성분과 그 사용한도가 옳지 않은 것은?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 7%
15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배합금지 원료인 것은?
페닐파라벤
16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해설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완제품 보관검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품의 사용기한까지 보관한다.
17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가 의무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을 때의 처벌은?
과태료 50만원
18
화장품의 품질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작용성(functionality)
19
사용한도 혹은 사용할 때 농도상한이 있는 화장품 원료가 아닌 것은?
멘톨
20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에서 규정하는 비의도적 유래 물질인 납의 검출 허용한도가 옳은 것은?
점토를 원료로 사용한 분말제품은 50µgg(ppm) 이하, 그 밖의 제품은 20µg/g 이하
21
화장품을 제조하는 작업실에 대한 관리기준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완제품보관소 - 낙하균 30개/hr 이하 또는 부유균 : 200개/m 이하
22
수집한 안전관리 정보의 검토 결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화장품책임판매업자가 조치해야 하는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품질기록문서의 개정
23
착향제(향료)에 포함된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전성분에 표시하도록 "화장품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및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다. 다만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는 0.01% 초과,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는 (ㄱ)초과 함유하는 경우에만 알레르기 유발성분을 표시한다. ㄱ에 적합한 단어는?
0.001%
24
고객 상담 시 개인정보 중 민감 정보에 해당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유전자검사 등의 결과로 얻어진 유전
25
화장품법 시행규칙 별표 3(화장품의 유형)에 따라 화장품을 분류할 대 기초화장품 제품류에 속하는 것은?
손•발의 피부연화 제품
26
영유아용과 어린이용 화장품은 제품별 안전성 자료를 보관해야 한다. 개봉 후 사용기간을 표시하는 경우에 안전성 자료는 영유아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임을 표시 광고한 날부터 마지막으로 제조한 제품의 (ㄱ) 혹은 마지막으로 수입한 제품의 (ㄴ) 이후 3년간 보관한다. ㄱ,ㄴ에 옳은 것은?
ㄱ : 제조일자, ㄴ : 통관일자
27
다음의 화장품 원료의 성상에 대한 설명이 적당하지 않은 것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 : 무색~ 엷은 황색의 액
28
다음 중 안전용기• 포장대상 품목이 아닌 것은?
미네랄 오일 5% 함유한 클렌징 오일
29
다음 중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장품의 재작업에 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재작업은 제조부서 책임자에 의해 승인되어야 한다.
30
기능성 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자외선 차단성분의 사용한도로 옳은 것은?
옥토크릴렌 10%
31
화장품 유해사례 등 안전성 정보보고 해설서에서는 판매한 화장품으로 인해 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이 정보를 안 날로부터 ( )일 이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속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에 적합한 용어는?
15
32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허용합성원료가 아닌 것은?
페녹시에탄올
33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에서 규정하는 비의도적으로 유래된 물질의 검출 허용한도가 옳지 않은 것은?
포름알데하이드 : 3,000ug/g 이하
34
기능성 화장품 이 아닌 일반화장품에서 실증자료인 인체적용시험자료가 있으면 표시• 광고할 수 있는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로션에서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에 적합함을 표시·광고할 수 있다.
35
다음의 비의도적 유래 물질이 포함된 화장품 중에서 유통이 될 수 없는 것은?
수은이 2µg/g 포함된 영양 크림
36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적합업소 지정을 받기 위해서는 청정도 기준에 제시된 청정도 등급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하며 청정도 등급을 설정한 구역은 설정 등급의 유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 등급을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다음 중 청정도 2등급 작업실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원료보관소
37
원료 및 포장재가 입고될 때 확인해야 할 정보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납품차량
38
화장품 포장재 중에서 지류(단상자, 첨부문서)의 보관조건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저습, 실온
39
맞춤형화장품에 혼합할 수 있는 원료로 옳은 것은?
아스코르빅애씨드
40
화장품법상 등록이 아닌 신고가 필요한 영업의 형태로 옳은 것은?
맞춤형화장품판매업
41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에 따라 화장품의 pH가 3.0 ~ 9.0이어야 하는 화장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클렌징 오일
42
기능성 화장품의 심사를 위해 제출해야 하는 안전성, 유효성 또는 기능을 입증하는 자료가 아닌 것은?
안정성에 관한 자료
43
천연화장품과 유기농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44
에멀젼(emulision)의 물리적 불안정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변취
45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화장품의 비의도적 유래물질의 검출 허용 한도를 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라 화장품의 비의도적 유래물질의 양을 시험하고자 할 때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방법(ICP-MS)으로 분석할 수 없는 성분은?
수은
46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제로 옳은 것은?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존제로 옳은 것은?
소르빅애씨드 및 그 염류
47
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설에 대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수세실과 화장실은 접근이 쉬워야 하며 생산구역 내에 설치할 것
48
화장품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회수대상 화장품과 그 위해성 등급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기능성 화장품 의 기능성을 나타나게 하는 주원료 함량이 기준치에 부적합 화장품 - 다등급
49
품질관리 시에 원자재 용기 및 시험기록서의 필수적인 기재 사항이 아닌 것은?
발주일자
50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설명하고 있는 일탈의 처리순서로 적당한 것은? ㄱ.일탈의 발견 및 초기평가 ㄴ.즉각적인 수정조치 ㄷ.SOP(표준작업지침서)에 따른 조사, 원인분석 및 예방조치 ㄹ.후속조치/종결 ㅁ.문서작성/문서추적 및 경향분석
ㄱ-ㄴ-ㄷ-ㄹ-ㅁ
51
화장품 광고의 매체 또는 수단 중에서 어린이 사용 화장품의 광고의 매체 또는 수단으로 적당 하지 않은 것은?
방문광고 또는 실연에 의한 광고
52
화장품의 전성분이 <보기>와 같을 때, 이 화장품의 사용 시의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화장품 명칭 : 허스토리 화이트닝 마스크팩(미백 기능성 화장품) 정제수,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들라이콜, 나이아신아마이드, 1,2-헥산다이올, 트라이에탄올아민, 카보 머, 잔탄검, 아르간커넬오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판테놀, 사과추출물, 레몬추출물, 향료, 리날룰, 신남알, 리모넨
눈 주위를 피하여 사용할 것
53
표시량이 300mL인 샴푸의 충전량으로 적당한 것은(단, 샴푸의 비중은 0.8)?
400그램
54
미립자 분말 원료의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칭량 후, 원료분말에 의해 원료용기 표면이 오염되면 원료를 비닐용기로 옮겨 담아서 보관 한다.
55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산화방지제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사용감촉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56
다음의 화장품 원료 중에서 배합금지 원료가 아닌 것은?
레조시놀
57
물에 녹기 쉬운 염료를 알루미늄 등의 염이나 황산 알루미늄, 황산 지르코늄 등을 가해 물에 녹지 않도록 불용화시킨 유기안료를 (ㄱ)이라 한다. ㄱ에 적당한 단어는
레이크
58
피부에 색소침착이 있는 고객에게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가 추천할 수 있는 제품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알파-비사보롤이 주성분인 기능성 화장품
59
<보기>는 염모제에 대한 사용 시의 주의사항이다. ㄱ에 공통으로 적합한 단어는? 보기 • 염색 전 2일전(48시간 전)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매회 반드시 (ㄱ)을(를) 실시하여 주십시오. •(ㄱ)의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험이 있는 분들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사용 후 피부나 신체가 과민상태로 되거나 피부이상반응(부종, 염증 등)이 일어나거나, 현재의 증상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패치 테스트
60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인 닥나무추출물의 함량으로 옳은 것은?
2.00%
61
다음의 화장품 원료 중에서 사용한도가 정해진 원료가 아닌 것은?
클로로아트라놀
62
영유아용 제품류 또는 만 13세 이하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음을 특정하여 표시하는 제품에 사용할 수 없는 색소는?
적색 2호
63
탈모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가 아닌 것은?
캠퍼
64
개인정보 수집 목적 범위 내에서 제3자에게 개인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동의받을 때 고지 의무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과기 기한
65
기초 화장용 제품류에 속하지 않는 제품은?
물휴지
66
화장품 원료에 대한 성상을 설명한 것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알부틴(arbutin) : 미황색 ~ 황색의 가루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다.
67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완제품의 보관용 검체에 대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는 각 뱃치별로 제품 시험을 1번 실시할 수 있는 양을 보관한다.
68
화장품 유해사례 등 안전성 정보보고 해설서에서는 판매한 화장품으로 인해 화장품 사용자가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정보를 안 날로부터 (ㄱ)일 이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속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ㄱ에 적합한 용어는?
15
69
건물, 시설 및 주요 설비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화장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에 지장이 없도록 유지•(ㄱ)•기록해야 한다고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제10조 유지관리에서 규정하고 있다. ㄱ에 적합한 것은?
관리
70
화장품 원료에 대한 성상을 설명한 것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징크피리치온(tinc pyrithione) : 적색을 띤 회백색의 가루로 냄새는 없다.
71
화장품책임판매 후 안전관리 업무 중 정보 수집, 검토 및 그 결과에 따른 필요한 조치에 관한 업무를 (ㄱ)(라)고 한다. ㄱ에 적합한 용어는?
안전확보 업무
72
화장품법 제40조에 따라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 자는?
동물실험을 실시한 화장품을 유통•판매한 자
73
화장품법 시행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화장품에 공통적으로 표시해야 하는 사용 시의 주의사항 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눈 주위를 피하여 사용할 것
74
다음의 화장품 중에서 화장품 바코드 표시를 생략할 수 없는 것은?
내용량 30그램 아이라이너
75
안전용기 • 포장 대상에서 제외되는 용기가 아닌 것은?
용기 입구 부분이 뚜껑을 돌려서 여는 제품
76
화장품책임판매업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자로 적합한 자는?
책임판매관리자
77
화장품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한 안전용기• 포장대상 품목이 아닌 것은?
개별포장당 메틸살리실레이트를 3% 함유하는 액체상태의 제품
78
8 화장품책임판매업자는 영유아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임을 표시 광고하려는 경우에는 제품별로 안전과 품질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 및 보관하여야 한다. 이때 영유아 및 어린이의 연령 기준으로 옳은 것은?
영유아 : 만 3세 이하, 어린이 : 만 4세 이상부터 만 13세 이하까지
79
다음의 화장품 원료 중 사용한도가 있는 원료는?
토코페롤
80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해설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설비의 세척 원칙으로 부적절한 것은?
세제(계면활성제)를 반드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