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표준구분표 01
-01, 철학 및 이론 -012 분류론 -015 수학원리 -018 윤리적 접근
2
표준구분표 02
-02 잡저 -021 편람, 핸드북, 포켓북 -022 스크랩북, 클리핑 등 -023 법령 및 규정 -024 시청각자료 및 디지털자료 -025 제표, 사물목록, 도보 -026 서지, 도서목록, 초록, 색인, 해제 -027 보조 기법 및 절차 -028 특정직업 종사자를 위한 저작 -029 특허, 규격, 상표
3
표준구분표 03
-03 사전, 인용어사전, 용어집, 약어집 -034 커뮤니케이션, 술어, 용어연구, 명명법
4
표준구분표 04
-04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5
표준구분표 05
-05 연속간행뭉 -059 연감, 통계연감, 연보, 역
6
표준구분표 06
-06 각종 단체, 조직(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및 경영 -069 박물관 및 상설전시장 -0691-79 박물관사 및 지역구분
7
표준구분표 07
-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071 교육•양성기관(강습회, 연구집회) -072 지도법 -073 연구 방법론 -074 기술, 기기, 가구 , 비품 -077 각종 시험대비용 교재 및 문제집, 면허증 -079 경시/경진대회, 포상, 상품, 상장
8
표준구분표 08
-08 총서, 전집, 선집 -081 개인전집, 총서, 선집 -082 2인이상의 전집, 총서, 선집
9
표준구분표 09
-09 역사 및 지역구분 -091-6 대륙, 국가, 지방구분 -097 지역구분 일반 -098 해양구분 -099 전기
10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1
-1 아시아 -11 대한민국 -12중국 -13 일본 -14 동남아시아 -15 인디아, 남부아시아 -16 중앙아시아 -17 시베리아 -18 서남아시아, 중동 -19 아라비아반도와 인접지역
11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2
-2 유럽 -21 고대그리스 -22 고대 로마 -23 스칸디나비아 -24 영국, 아일랜드 -25 독일과 중앙유럽 -26 프랑스와 인접국가 -27 스페인과 인접국가 -28 이탈리아와 인접국가 -29 러시아와 동부유럽
12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3
-3 아프리카 -31 북아프키라 -32 - -33 - -34 서아프리카 -35 - -36 중앙아프리카 -37 동아프리카 -38 남아프리카 -39 남인도양제도
13
지역구분표 주요구분지 4
-4 북아메리카 -41 캐나다 -42 미국 -43 멛시코 -44 중앙아메리카 -45 과테말라 -46 온두라스 -47 니카라과 -48 코스타리카 -49 서인도제도
14
지역구분표 주요구분지 5
-5 남아메리카 (남미) -51 콜롬비아 -52 베네수엘라, 기아나 -53 브라질 -54 에콰도르 -55 페루 -56 볼리비아 -57 파라과이, 우루과이 -58 아르헨티나 -59 칠레
15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6
-6 오세아니아, 양극지방* -61 - -62 오스트레일리아(호주) -63 뉴질랜드 -64 파푸아뉴기니 -65 멜라네시아 -66 미크로네시아와 인접국가 -67 폴리네시아와 하와이 * -68 대서양제도* -69 양극지방*
16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7
-7 지역구분 일반* -71 기후에 따른 구분* -72 지형에 따른 구분 * -73 - -74 식생에 따른 구분 * -75 - -76 사회경제적 구분 * -77 - -78 - -79 기타 구분 *
17
지역구분표 주요 구분지 8
-8 해양 -81 태평양 -82 - -83 -84 인도양 -85 대서양 -86 - -87 북극해 (북빙양) -88 남극해 (남빙양) -89 -
18
설명 (3-9) 분류란?
분류는 일상이다. 고대로마인들이 사용했던 라틴어 classis에서 유래한 동사형 classify는 프랑스로 건너가 classe 유의 뜻으로 변하였고, 이후 18세기 후반 영어로 정착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어의적 구성은 나눌 분에 무리 유로, 나눔과 묶음을 함축하며 후자에 방점이 있다. '사전전개념은 어떤 대상을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성질에 따라 나누는 측면과 그 결과가 상위 개념에 군집되는 양면성을 지닌다. 즉, 분류는 대상을 유별하고 질서화하는 정신적 활동이다.'
19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구분은?
구분은 division, 어의적으로는 지경또는 구역 구와 나눌 분으로 후자에 방점을 둔다. 사전적 의미는 '어떤 대상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누는 과정과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구분은 어떤 기준에 따라 세분하는 것이고, 분류는 기준에 따라 다수의 번주로 군집하는 것이다.
20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구별은?
구별은 지경 구에 나눌 별의 조합으로 구분과 같이 어떤 기준에 따라 대상을 나누는 것이지만, 그 대상간의 차이점인식에 방점을 둔다. 선악은 구분이 아니라 구별의 문제이다.
21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분별과 판별은?
분별은 구분하여 다름을 인식하는 구분판별, 판별은 팡간한 후에 구별하능 판단구별을 말한다.
22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분리와 분할은?
분리는 합의를 전제로 하나에서 둘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한 행위가 분할로, 주로 구간, 집단, 사회를 나눌 때 사용되며 타력에 의한 박리이다.
23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범주화와 군집화는?
범주의 사전적 의미는 동질성을 지닌 분류나 범위다. 철학에서는 사물의 개념을 분류할 때 더 이상 일반화 할 수 없는 최상위의 개념이다. '따라서 범주화는 동일한 특성을 지닌 부류나 범위를 상위항목으로 군집하는 과정이다.' 군집화는 여러 개체나 대상, 데이터에 유사성, 거리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몇개로 집단화하는 것이다. 통계에서는 군집 분석이 대표적이다.
24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택소노미는?
그리스어 '질서화하다 또는 배열하다'에서 파생된 taxis(분류) 와 nomos(법 또는 과학)를 조합한 용어로 유기체를 계통 구분하기 위한 분류학의 일종이자 기법이다. 1813년 스위스 식물학자 칸돌레가 최초로 사용한 택소노미는 주로 생물학 분야에서 전문가 집단이 구축한 분류체계에 따라 종의 위계적 종속 관계를 체계화할때 범용되어 왔다. 최대 특징은 통제 어휘로 객체를 서술하는 것이다. 현재는 웹자원 분류와 범주화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25
설명 (3-9) 분류와 유의어, 폭소노미는?
대중을 지칭하는 folk와 분류학을 의미하는 taxonomy를 조합한 것으로 대중에 의한 분류법을 말한다. 2004년 t.v wal이 조어한 폭소노미는 전통적 분류기준인 디렉토리 대신에 장보 작성자가 직접 만든 메타데이터인 '태그"를 통해 대중의 정보를 체계화 하기 때문에' 태그 기반의 웹분류법'이라고도 한다. 택소노미와 비교했을 때 폭소노미가 훨씬 포괄적이다. 이 둘의 단점 보완 의도로 혼합된 소위 하이브리드 택소노미-폭소노미도 거론되고 있다.
26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개념은?
개념은 concept로 한자어로는 대개나 대강의 개와 생각 념의 조합이다. 그것은 어떤 대상을 정의할 때 동원되는 단어인 동시에 관념이다. 대상 속에 공통적 요소가 본질 또는 의미이며 그것이 부여한 인식적 단위가 개념이다.
27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내포와 외연은?
내포의 포는 자궁 속 태아를 본뜬 상형 문자이다. 따라서 내포는 어떤 개념을 구성하는 대상에 내재된 공통적 성질의 딥합 즉, '총체적 특징'을 말한다. 외연은 어떤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의 범위'이다. 가령 문학의 내포는 언어, 상상력, 희극과 비극이고, 외연은 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이다. 따라서 개념을 세분화하면 내포는 증가하는 반면, 외연은 감소하는 역관계에 있다.
28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유개념과 종개념은?
유개념은 어떤 개념의 외연이 다른 개념의 그것보다 크고, 전자가 후자를 포함하는 종속관계에 있을 때의 전자를 말한다. 동물과 사람의 경우 동물이 유개념이다. 다만, 유개념은 최상위에 위치한 최고류가 아닌 이상 종개념도 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이다. 종개념은 유개념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이다. 다만, 종개념은 불가분의 최저종이 아닌 이상 언제든지 유개념이 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이다.
29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동위개념 또는 동류개념은?
유개념이나 종개냠 내에서 대등관계에 있는 양자, 예컨대 사람과 호랑이 처럼 상위개념인 동물을 공유하거나 상위개념이 같을 때를 동위개념 또는 동류개념이라 한다.
30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반대개념과 모순개념은?
동위개냠 중에서 반대개념은 대소, 상하와 같이 규모나 정도의 차이를 나타낼 뿐 중간자가 허용되는 개념이다. 모순개념은 생사, 유무처섬 상호 배타성 때문에 중간자를 허용하지 않는 배척관계의 개념이다. 양자는 모순관계이다.
31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이류개념과 상관개념은?
이류 개념은 분류표상 동위개념인 "종교와 역사'처럼 유개념이 상이하여 공통성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상관개념은 분류와 목록과 같이 상대를 예상함으로써 정리업무의 의미가 분명해지는 개념이다.
32
설명 (3-9)분류의 관련어, 선언개념과 교차개념?
선언개념은 사회학에서 '남성과 여성' 생물학에서 '동물과 식물'처럼 동위개념이지만, 그 외연이 완전히 상이하여 교차되지 않는 개념이다. 반대로 교차개념은 학자와 교수, 여성과 미인 처럼 외연의 일부가 교차하는 경우를 말한다.
33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종류는,
유개념과 종개념을 구성하는 단위다. 유 또는 종류와 혼용되는 범주를 구분을 통해 체계화된 최고류를 말한다.
34
설명 (3-9) 분류의 관련어, 종차는?
종과 종을 구별하는 특징을 말한다. 종차은 내포적 정의를 대표하는 유와 종이 대한 정의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유는 유사한 특성으로 구분한 것인 반면, 종은 복수개념이 상하 또는 종속관계에 있을 때의 하위개념이다.
35
설명( 11-12) 자료분류의 구성요소, 자료분류는?
저료분류는 인류가 집적한 지식세계를 논리적 기준에 따라 질서화하는 지적 작업이다. 사서직이 수행해야 할 핵심업무일 뿐만 아니라 다른 전문직과 비교한 배타적 정체성을 가늠하는 요체다. 3개 구성요소가 존재한다.
36
설명 (11-12) 자료분류의 구성요소, 피분류체
classification body, 분류대상인 최상위 유개념의 모집단이다. 학문, 지식, 과학, 자료등이 피분류체에 속한다. 도서관의 겅우 자료이다.
37
설명 (11-12) 자료분류의 구성요소, 분류원리
principle of classification, 자료를 분류할 때 적용하는 기준이나 성질을 의미하며, 관점이나 특성으로도 지칭된다. 자료분류의 핵심원리는 학문분류이다.
38
설명 (11-12) 자료분류의 구성요소, 분류지
members of classification, 주류를 대별한 강목, 다시 강목을 구분한 요목, 그리고 요목을 전개한 세목에 따라 분류한 결과, 즉 종개념의 단위를 말한다. 문학자료와 시가 있을 때, 후자가 분류지에 해당한다.
39
설명 (120, 253 참고 필요) 조선십진분류법
조선십진분류법 kdcp는 1947년 국릭도서관 부관장 박봉석이 당시 국립도서관학교 교재로 사용하던 동서도서 분류표를 개중하여 발간한 것이다. 한국인이 만든 최초 십진분류법이다. 1965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한국십진분류표로 개제하여 증정판을 발행하였고, 1980년에는 고려대학교가 보정판을 발행하였다. 주류는 10개류이다. 총류, 철학종교, 역사지지, 어학문학, 미술연예, 사회교육, 정법경제, 이학의학, 공업공학, 산업교통
40
설명 (120, 253 참고 필요)한국십진분류법
kdc는 1964년 한국도서관 협회가 발간한 것은 ddc, lcc, udc, ndc등을 참소하여 십징식으로 편성한 국내효준분류표이다. 1966년 수정판, 1980 제 3판, 1997제 4판, 2009년 제 5판, 2013년 지 6판이 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