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서음사-중세, 르네상스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34 • 7/16/2023

    記憶度

    完璧

    5

    覚えた

    1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세속음악-베1

    가장 초기의 라틴 단성가는 중세 프랑스의 시인이자 주교였던 베난티우스 포르투나투스가 쓴 라틴시에 음악을 붙인 것이다

  • 2

    복합 오르가눔

    병행 오르가눔의 일종으로 병행 오르가눔과 마찬가지이나 주성부와 위와 아래로 중복시키는 것이 다르다

  • 3

    팔레스트리나와 조스캥의 차이점

    1. 모방의 간격이 멀다 2. 음향대조기법이 확대되었다 3. 가사그리기 기법이 절제되었다 4. 악구의 연결을 위해 당김음(계류음)을 자주 사용한다

  • 4

    오르도 비르투툼

    빙엔의 힐데가르트의 가장 대규모 음악작품, 82개으, 노래들과 시가들로 구성된 종교적 음악극. 최초의 도덕극(의의), 모든 배역은 단성성가로 노래, 영혼을 의인화

  • 5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트시오-트로푸스-기기특유-1기

    기존의 성가에 새로운 가사나 선율 또는 가사와 선율 모두를 원래 성가의 앞이나 중간에 삽입하는 방식 및 새로이 첨가된 부분을 트로푸스라 한다

  • 6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트시오-트로푸스-유형

    1.원래 성가의 가사가 없는 멜리스마에 새로운 가사를 붙이는것 -성가의 원의미를 강조하거나 주석을 붙이기 위해, 또는 특정 축일이나 절기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가사를 첨가-이렇게 첨가된 가사는 프로사또는 프로사의 축소형인 프로술라라 불렀다. 가사만 첨가하는 트로푸스는 주로 응창식 성가에서 발견된다 2. 가사 없이 선율만 첨가하는 방식으로 원래 멜리스마를 확장시키거나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멜리스마를 첨가하는 것이다-이런 유형의 트로푸스는 원래 성가를 축일이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더 화려하게 만드는 데 주로 사용하였다 3. 성가의 원래 유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가사와 선율을 성가의 앞이나 중간또는 뒤에 첨가하는 것- 첨가된 부분은 원래 성가의 가사 내용이나 문법, 선법, 음역등을 고려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작곡되었다-그리고 그 부분은 대개 독창자가 불렀고 원래 성가 부분은 합창단이 불렀기 때문에 트로푸스와 원래 성가는 연주상 구별되었다-이는 주로 입당송과 글로리아에 사용되었다

  • 7

    베네치아 악파-빌라르트

    1490-1562, 진보적인 작품경향을 가지며 전통적인 플랑드르 양식에 의존하면서도 16세기 후반의 새로운 기법들을 추구하였다. 성 마르코(성마가)성당의 음악감독으로 일함. 이 성당은 훌륭한 음향을 만들 수 있는 건축구조로 되어있었으므로 빌라르트는 합창을 둘로 나눠 연주하는 복합창 형식을 개발하였다. 16세기 들어 제자인 조반니 가브리엘리는 복합창 형식을 보다 완숙한 단계에 이르게 하였다(다중합창 기법, cori spezzati)

  • 8

    칸티가

    400곡 이상의 칸티가가 수록된 필사본 성모 마리아의 노래들, 13 새기경 쓰여짐, 이는 갈리시아식 포르투갈어로 쓰였으며 성모마리아를 찬미하는 노래이다

  • 9

    칸티클

    성서에서 시편 이외의 것에 바탕을 둔 노래. 대표적인것은 마니피카트

  • 10

    전례극 청킹

    역대 테다기의대

  • 11

    센토니제이션

    새로운 선율을 만들기 위해 표준화된 선율 유형을 결합하는 것

  • 12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

    트시오- 트로푸스(기기특유-9마영 고독욕)

  • 13

    병행 오르가눔

    1. 9세기경 등장 2. 원래 성가인 주성부 아래에서 당시에 협화음정으로 간주하는 완전 4,5,8도의 음정간격으로 병진행시키는 오르가눔 3. 연주방식: 첨가된 성부를 성가선율과 병진행으로 불렀기 때문에 새로운 성부는 특별히 작곡되거나 기보될 필요가 없었으며 즉흥연주로 불려짐 4. 연주 효과면에서 한 선율을 옥타브로 분리시켜 연주하는 매거다이징 기법과 같다

  • 14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트시오-트로푸스-특

    고독욕- 1. 원래 처음에 고유문(주로 입당송 봉헌송 영성체송)에만 나타나다 나중에는 통상문에까지 적용됨 2.전형적으로 독창자들에 의해 노래되었다 3. 음악과 가사를 첨가함으로써 공인된 성가를 장식하려 했던 중세 음악가들의 음악적 욕구가 나타남

  • 15

    오르가눔 정의

    다성부 음악을 지칭하는 말로 구체적으로는 9세기 말에서 13세기 중반까지 전례에 사용된 다성부 예배음악을 말하는데 어원적으로는 라틴어의 오르간에서 유래하였다

  • 16

    소제토 카바토 기법

    이끌린 주제라는 의미, 제목 또는 단어의 모음을 바탕으로 음들을 뽑아 선율 동기로 사용하는 기법

  • 17

    귀도다레초가 수정된 병행 오르가눔에서 수직적으로 허용한 음정

    완 4,8도 장 2,3도 단3도 허용하지않은 음정은 단2도 완전5도

  • 18

    라우다

    중세의 라우다는 이탈리아의 중교적 단성 세속노래로 선율 수십개가 현존한다.

  • 19

    힘누스

    찬가, 성무일과에 사용된 성가를 힘누스라함

  • 20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트시오-트로푸스-기2

    9마영- 1.대략 9c경 프랑스지역에서 기원된 것으로 10-11세기까지 수도원을 중심으로 성행하다 원래 성가를 왜곡했다는 비난과 다성음악에 대한 작곡가들의 관심증가로 12세기부터 점차 사라짐.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에서는 모든 트로푸스의 사용이 금지됨 2. 트로푸스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생 마샬 수도원으로부터 전래되었다. 10-11세기까지 스위스 성갈렌(투오틸로)과 생 마샬수도원을 중심으로(최근에는 아퀴테인을 든다)성행하다가 12세기부터 사라짐. 3. 영향을 미친 장르:시퀀스, 전례극, 모테트

  • 21

    개초그발미전세기- 그레고리안 성가

    역특- 기스기 미성센힘특

  • 22

    미사순서

    입키글 본서층 알부복설크봉기 성감상 축주아 영영이미사순서

  • 23

    .

    찬가창 <영원한 만물의 창조주>

  • 24

    안티폰

    1. 시편 앞, 뒤로 불린 전주,후주같은노래 2. 독립된 안티폰- 성모마리아를 찬양하는 노래 ’마리아 안티폰‘

  • 25

    중세 전체 청킹

    개초그발미전세기

  • 26

    팔레스트리나의 보수적 특징

    1. 주로 4성부로 작곡 2. 미사의 80% 이상은 그레고리안 성가에 기반을 둠 3. 반음계주의를 철저히 회피

  • 27

    개초그발미전세기-세속음악

    12초베골라칸 베형특세

  • 28

    베네치아 악파의 특징(바로크를 예견하는 특징)

    1. 오르간이 포함된 콘티누오 반주를 사용함 ->바로크의 바소 콘티누오로 발전 2. 음향과 음색의 대조가 보여진다-> 바로크 협주곡에 영향 3. 건반음악에서 화려한 토카타 양식을 사용-> 연주자의 기량이 향상되었다는것을 보여줌 4. 분리된 합창기법을 기악에도 적용-> 바로크 협주곡에 영향 5. 기악적 성부들이 단순히 합창을 보조하는 역할 뿐 아니라 독립적으로 신포니아라는 간주를 연주하기도 함->기악곡이 독립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 29

    개초그발미전세기-초대교회의 음악

    기초로- 헬시기 시찬 비암로모갈 - 시찬(말구순시가 6비공)

  • 30

    개초그발미전세기-발전-트시오-시- 발알첫트

    1. 세쿠엔티아는 트로푸스의 특수한 형태이다. 시퀀스는 9c경 성 갈렌 수도원의 수도사인 발불루스가 가사 없는 멜리스마 성가를 잘 기억하기 위해 가사를 붙인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2.시퀀스는 알렐루야 성가의 마지막 모음 ia에 가사 없는 긴 멜리스마인 유빌루스부분에 가사를 붙이는데에서 유래했다. 이는 곧 알렐루야에서 떨어져 나와 완전히 독립된 형태의 가사와 음악구조를 지닌 성가로 발전했다 3.첫행과 마지막 행을 제외하고 둘씩 짝을 이루며 반복된다. a,bb,cc,dd…n 4.시퀀스가 세속적으로 변하면서 트리엔트 공의회는 트로푸스와 시퀀스의 관행을 전면적으로 금지했다. 단 시퀀스는 네 개만 허용되었다. 예수부활대축일때 부르는 파스카 희생제물, 성령강림대축일을위한 오소서 성령님, 성체축일을 위한 찬양하라 시온이여, 장례미사때불리는 분노의 날, 그리고 18세기 초 아들 예수 높이달린 십자가 곁에가 첨가됨

  • 31

    골리아르드

    11-12세기까지 유행했던 골리아르드 단성가는 일정한 적이 없었던 학생들과 방랑하는 성직자들에 의해 쓰여졌다. 노래의 주제를 보면 풍자적인 내용도 있으나 대부분 사랑, 도박, 음주등 외설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이다.

  • 32

    개초그발미전세기- 개관

    배음보- 용밀전 그일 음3무무

  • 33

    미사

    3자이 미순오고사

  • 34

    팔레스트리나 작품에서 바로크를 예견하는 특징

    1.베이스에서잦은 4도또는 5도 도약으로 조성적 경향이 나타난다 2. 선율의 3화음적 음향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