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본질주의에서 나온 교육과정은?
학문주의 교육과정
2
사르트르는 인간을 무엇이라고 보았는가?
피투성
3
실존주의의 근본 규정으로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와 “실존은 주체성이다”라는 두 개의 명제를 제시한 인물을 고르시오
사르트르
4
듀이가 주장한 경험의 원리 두 가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계속성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
5
19세기 합리주의적 관념론과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된 것은?
실존주의
6
인간 정신의 육성에 초점을 둔 고전교육을 강조하고 아들러의 사상에 지지를 받아 정신을 육성하는 고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The Great Books의 커리뉼럼에 기초하여 읽기, 쓰기, 사고훈련, 말하기, 수학 등의 자질을 키워 줄 교과목들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한 사람은 누구인가
허친스
7
a,b,c에 들어갈 말은?
a 규범적 b 인지적 c 과정적
8
피터스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교육의 개념을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탐구적 준거, 논리적 준거
9
분석 철학의 등장 배경 중 하나는 철학의 본질에 관한 반성이다 (O/X)
O
10
다음 친구들이 말하는 철학자를 적으시오
듀이
11
논리 실증주의 입장에서 의미없는 명제는 무엇인가?
신이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는가
12
의심이 생기는 문제상황 > 문제 설정 >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 설정 > 추론에 의한 가설의 재구성 > 실험과 관찰에 의한 가설 검증 등의 5단계로 반성적 사고과정을 제시한 학자의 이름은?
듀이
13
컴퓨터 발전, 인터넷 보급은 1,2,3,4차 산업 혁명 중 무엇에 해당하는 변화인가?
3차산업혁명
14
정신분석이론의 프로이드는 성적인 추동은 무의식의 주된 동력이 되고 그러한 성적인 에너지를 ()라고 한다
리비도
15
철학자 사르트르는 인간의 BCD라고 요약했닼 B와 D 사이의 C의 존재라고 정의하였다 각각의 B,C,D는 무엇인가?
B: 출생(Birth) C: 선택(Choice) D: 죽음(Death)
16
다음의 각 풀이에 해당하는 개념을 적으시오
학문중심 교육과정, 지식의 구조, 나선형 교육과정, 탐구과정을 중시하는 방법
17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육의 개념을 규범적 준거, 인지적 준거, 과정적 준거로 나누어 분석한 교육철학자는 누구인가?
피터스
18
현대의 교육에서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실용주의 철학자이며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선구자는 누구인가?
존 듀이
19
사회적 제도로서 학교는 현대적 요구에 맞게 문화를 ()하는 선택된 기관이다
재구성
20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으시오
수동적 존재, 인간주체
21
사르트르 인간이 선택을 어려워 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하였는지 서술하시오
선택이 어려운 이유는 거기에 따른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22
다음 중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고르시오
교과의 내용은 지식의 기초가 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조직하여야 한다
23
대표적인 유산론적 실존주의자이자, 길 위의 소크라테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아는 나 자신을 스스로 잘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유명한 철학자는?
키에르케고르
24
피터스는 교육의 개념을 여러 준거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때 피터스가 제시하지 않은 준거는?
이상적 준거
25
진보주의는 과학적 방법에 있어 강하지만, 포괄적 결과에 있어서 약하다 (O/X)
O
26
다음이 설명하는 것이 무엇인지 쓰시오 20세기 미국 교육의 전체적 경향을 대표하는 교육사조로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교육의 편협성과 형식주의가 낳은 비인간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교육운동이다.
진보주의
27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심각하게 비판하고 있다 (o/x)
o
28
사르트르가 말한 정치나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하는가?
앙가주망
29
진보주의 교육운동은 전통적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였다 (O/X)
O
30
존 듀이의 교육사상이 가장 체계적으로 진술된 저서는?
민주주의와 교육
31
키에르케고르가 강조한 실존의 3단계 중 욕망이라는 것에 놀아나는 모든 존재들에게 기본적인 단계에 해당하는 단계는?
탐미적 단계
32
김정환은 향존주의의 관한 비판을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3가지 유형을 모두 적으시오.
비민주적이다. 현실을 경시한다. 귀족주의적 주지주의적 경향을 띤다.
33
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을 적으시오. 존 듀이는 교육의 개념을 ‘__을 개조 또는 재조직함으로써 __의 의미를 더해주고 후속하는 __의 방향을 안내살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험
34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에서 교육의 주체는 교사이고, 객체는 학생이다 (o/x)
x
35
다음은 키에르케고르가 강조한 실존의 3단계에 대한 설명이다 각 학생의 설명에 해당하는 단계를 적으시오
탐미적 단계, 윤리적 단계, 종교적 단계
36
본질주의에서 추구하는 교육과정은?
학문중심 교육과정
37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적으시오 ()는 20세기 미국 교육의 전체적 경향을 대표하는 교육사조로 교사 중심의 전통적 교육의 편협성과 형식주의가 낳은 비인간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교육운동이다
진보주의
38
다음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써라 1 교과내용은 ()를 중심으로 조직할 것 2 교육과정을 ()으로 조직 3 ()을 중시
지식의 구조, 나선형, 탐구과정
39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중 타당한 지식을 추구사는 지적 탐구활동의 기초란 없으며, 따라서 모든 인식활종은 인식자의 주관에 따른 삭대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은 무엇인가?
상대적 인식론
40
피터스가 교육의 개념을 분석한 준거 중 하나로, 지식과 관련된 준거이며, 교육은 지식과 이해, 그리고 지식과 이해를 넘어선 인지적 안목이라고 보는 준거은 무엇인가?
인지적 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