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신집을 편찬한 인물은?
이문진
2
서기를 편찬한 인물은?
고흥
3
국사를 편찬한 인물은?
거칠부
4
진흥왕의 한강 점령을 기념하는 비석은?
북한산 순수비
5
1.수 문제, 고구려에 복속 요구 2.고구려, 돌궐과 연결 도모 3.수, 무리한 원정으로 반란 발생, 멸망 4.영양왕의 거절, 선제공격 5.수 양제, 요동성 침입 6.우중문, 평양성 공격 시도 7.수 문제, 고구려 침입, but 전염병, 홍수 등으로 회군 8.을지문덕, 살수대첩 승리 발생 순서대로 배열하시오. [숫자], [띄어쓰기×]
14725683
6
연개소문이 감독한 천리장성의 범위는? [x~y 형태로 작성할 것]
부여성~비사성
7
연개소문 정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답 2개]
영류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하였다, 대막리지 직위에 취임하였다.
8
연개소문이 도교를 수용한 목적으로 옳은것은? [정답 2개]
당 나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불교계 관련 귀족을 탄압하기 위해
9
고구려•당의 전쟁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고구려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10
신라가 당에 동맹을 요청하게 된 이유로 옳은 것은?
백제 의자왕이 대야성을 비롯한 여러성을 함락시켰다.
11
김유신의 신라군이 계백의 결사대를 물리쳤던 전투는? [띄어쓰기 ×]
황산벌전투
12
연개소문 사후 아들들의 권력다툼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처음엔 남건•남산과의 권력다툼이 있었지만 점차 조정되며 전성기를 맞았다
13
백제의 부흥운동과 관련이 없는 사람은?
검모잠
14
백제 부흥운동이 실패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부여)풍이 신라로 망명하였다
15
고구려 부흥운동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연무가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로 망명하였다
16
당이 백제의 옛 땅(웅진)에 설치한 것은? [띄어쓰기×]
웅진도독부
17
당이 고구려의 옛 땅(평양)에 설치한 것은? [띄어쓰기 ×]
안동도호부
18
당이 신라 금성에 설치한 것은? [띄어쓰기 ×]
계림도독부
19
신라 문무왕이 고구려 유민을 포섭하기 위해 한 일로 알맞은 것은?
안승을 보덕국의 왕으로 임명하였다
20
나당전쟁에서 발생한 전투로 알맞은 것은? [정답 2개]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21
다음 나당전쟁의 순서를 알맞게 배열해라 ㄱ:매소성 전투 ㄴ:문무왕의 고구려 유민 포섭 ㄷ:당의 도독(도호)부 설치 ㄹ:기벌포 전투
ㄷ-ㄴ-ㄱ-ㄹ
22
발해의 건국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발해 건국 이후 당은 발해에 침입하여 대조영을 사살하였다
23
발해 건국 과정에서 대조영이 고구려유민•말갈인과 함께 당의 군대를 물리친 전투는? [띄어쓰기 ×]
천문령전투
24
발해는 어느곳에 도읍을 정하여 건국하였는가?
지린성 동모산
25
발해의 주민•성씨 구성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지배층:고구려유민, 피지배층:말갈족
26
유득공의 <발해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신라와 발해가 모두 우리 민족의 역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27
다음 중 통일신라 신문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국학을 설치하여 유학을 보급하였다
28
통일 신라가 왕명을 수행하는 집사부를 중심으로 중앙 정치를 실시하자 생긴 결과는? [정답 2개]
화백회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집사부 장관인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29
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제도로 옳지 않은 것은?
중앙엔 9서당, 지방엔 10정을 두어 민족 통합을 추구하였다
30
다음 중 통일 신라의 군사제도로 옳은 것은? [정답 2개]
백제•고구려 유민, 말갈인을 포함한 9서당을 중앙군으로 두어 민족 통합을 꽤하였다, 지방군인 10정을 9주에 각각 1정씩 설치하였으며 한주에만 2정을 배치하였다.
31
다음 중 통일 신라의 왕과 그 업적이 옳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경덕왕 - 백성에게 녹봉 제공
32
다음은 발해의 발전을 이끈 왕들의 업적이다. 옳은 것만을 옳게 짝지은 것은? ㄱ : 문왕은 대흥과 보력을 연호로 사용하였다 ㄴ : 무왕은 건흥을 연호로 사용하였다 ㄷ : 성왕은 동경에서 상경으로 천도하였다 ㄹ : 선왕은 발해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ㄱ,ㄷ,ㄹ
33
다음 중 발해를 멸망시킨 종족으로 옳은 것은?
거란족
34
발해의 중앙 정치 제도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성 6부제를 시행하여 유학을 가르쳤지만 불교계 귀족들의 반란으로 국력이 쇠퇴하였다
35
발해의 지방 행정 제도로 옳지 않은 것은?
당의 제도를 본따 만들어진 제도이다
36
발해의 군사제도로 옳은 것은?
중앙군(10위)는 왕궁과 수도 경비를 맡았다
37
혜공왕이 피살되게 된 배경과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결과 : 반란 세력이 진압되어 진골계 귀족들이 죽임을 당하였다
38
다음 중 호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개인의 능력보다 혈통을 중시하는 골품제를 비판하였다
39
다음 중 6두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당에 유학을 간 학자들이 개인의 능력보다 혈통을 중시하는 골품제를 비판하였다
40
다음 중 통일신라의 불교의 대중화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원효는 나무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을 외운다면 극락정토에 갈 수있다고 가르치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히였다
41
다음 중 혜초가 저술한 것으로 옳은 것은?
왕오천축국전
42
장보고가 산둥반도에 지은 절로, 신라사람들이 교류의 근거지로 삼은 이곳은?
법화원
43
다음 중 태조 왕건의 정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훈요 9조에서 불교를 장려하고 풍수지리설을 존중, 서경을 중요시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44
다음 중 광종의 정책으로 알맞은 것은? [정답 3개]
노비안검법을 실시해 호족이 불법으로 차지한 노비를 양인으로 해방시켰다, 과거제를 실시해 유교적 지식과 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였다,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였다
45
고려의 중앙 정치 제도가 짝지어 진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서성 - 제정, 9부 관할, 일반 행정구역 관리
46
최씨 정권의 성립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자겸이 난을 일으켜 최씨 정권를 붕괴시켰다
47
11세기 거란의 1차 고려 침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의 개수는? ㄱ : 고려가 송과 가깝게 지내자 거란이 침략하였다 ㄴ : 서희가 거란의 소손녕과 담판을 벌였다 ㄷ : 고려가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를 얻게 되었다 ㄹ : 개경을 함락 시켰지만 서희에 의해 저지되었다
3개
48
고려의 무역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당항성과 울산항 또한 활발하게 무역이 진행됐다
49
고려와 몽골간의 강화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답 2개
고려 태자 원종이 쿠빌라이와 강화를 맺었다, 고려 왕실의 존재와 고려의 제도•풍습을 인정하는 불개토풍을 맺었다
50
원이 고려에 내정간섭을 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려 왕실의 존재와 제도•풍습을 유지할 수 있게 했지만 고려의 반대로 고려를 식민지로 삼아 전 지역을 직접통치했다
51
공민왕의 개혁 내용으로 옳은것을 모두 고르시오
기철을 비롯한 친원 세력을 제거하였다, 내정 간섭 기구인 정동행성이문소를 폐지하고 쌍성총관부를 회복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성계 가문이 성장하였다, 관제를 복구하고 원의 풍습을 금지하였다,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이 빼앗은 토비를 돌려주고 노비를 해방시켰으며 성균관을 정비허여 유학 교육을 강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