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의 토지 제도와, 이 제도를 시행한 고려 왕을 쓰시오. -전현직 관리에게 토지가 지급되었다. -경기 지역에 한정하여 지급하였다. -원칙적으로는 세습이 불가능 하였으나 (수신전,휼양전을 통한 세습은 허용되었다.)
공양왕,과전법
2
() 때 ()을 시행하여, ()분 ()등법과 ()분 ()등법을 실시하였다.
세종,공법,전,6,연,9
3
조선 시대에서 신분은 양인이지만, 천역을 담당하는 사람을 무엇이라 불렀는가?
신량역천
4
매매.증여.상속이 가능한 천민의 한 분류는?
노비
5
() 때 한양을 기준으로 ()을 계산한 ()이 편찬되었다.
세종,천체운동,칠정산
6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을 정리한 농서와 이 농서가 편찬된 왕의 시기를 쓰시오.
농사직설,세종
7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편찬된, 왕의 시기를 쓰시오.
태종
8
강희안이 그린 조선 전기 그림으로, 물을 바라보는 선비가 담겨 있는 그림은?
고사관수도
9
안견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듣고 그린 작품은?
몽유도원도
10
()은 최초의 서원인 ()을 건립하였다.
주세붕,백운동서원
11
성종이 실시한 제도로 관청에서 전세를 거두고, 관리에게 나눠 지급하는 제도는?
관수관급제
12
조선 시대 ()는 ()(관청)을 통해 국가의 국가의 관리를 받았다.
노비,장례원
13
조선 시대 ()은 ()에 종사하는 () 신분이였다.
백정,도축업,천민
14
향촌의 자치 규약이자 자치 조직이며, 중종 때 조광조가 시작하고, 이황과 이이를 통해 확산되었다. 이것은 무엇인가?
향약
15
이곳은 무엇인지 쓰시오. -향촌 자치 기구라고 부른다. -좌수,별감이라는 임원을 선출한다. -임원은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한다.
유향소
16
지방의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해 중앙에 설치되었던 기구는?
경재소
17
() 때 활자 관청인 ()가 설치 되고, ()(활자)가 주조되었다.
태종,주자소,계미자
18
() 때는 금속 활자인 ()가 주조되었다.
세종,갑인자
19
사초, 시정기를 바탕으로, 춘추관(실록청)에서 편찬된 이것은?
조선왕조실록
20
고조선부터, 고려까지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책과, 어느 왕 시기에 편찬되었는지 쓰시오.
동국통감,성종
21
악학궤범(음악이론 등)이 간행되었던 왕의 시기는?
성종
22
국조오례의(의례)가 완성된 왕의 시기는?
성종
23
다음의 토지 제도와, 시행한 왕의 시기를 쓰시오. -과전법으로 인해 토지가 부족해 지자 (수신전,휼양전 등(세습 토지)를 폐지하고 시행되었다) -현직 관리에게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 (퇴직하면 반납해야 함)
직전법,세조
24
다음의 토지 제도와, 시행한 왕의 시기를 쓰시오. -관리들이 퇴직에 대비해서, 농민들에게 과하게 세금을 걷었다.(소작농↑) -관청에서 세금을 거둬서, 관리에게 지급한다.
관수관급제,성종
25
서원과 향약을 통해, 선조 때 중앙 정계로 진출한 세력은?
사림
26
()는 ()에 파견된 ()로, 관할 군현의 ()을 감독•()하였다.
관찰사,8도,지방관,수령,평가
27
다음의 지방행정 조직을 쓰시오. 부목군현에 파견되어, 행정 사법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수령
28
()는 ()의 () 실무를 ()하였으며, 직역을 ()하여, ()을 형성하였다.
향리,수령,행정,보좌,세습,중인층
29
1.조선 시대에 시행된 과거 제도는? 2.이것에 합격하지 않으면, 음서를 통해서 관직에 진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것은 무엇인가? (※음서: 고관 자제가 시험을 치르지 않고, 관직에 진출하는 것)
문과,무과,잡과,문과
30
1.조선 시대 중앙군을 쓰시오. 2.지방군을 나누는 방식을 쓰시오. 3.유사시에 향토 방위에 동원된 예비군을 무엇이라 부르는지 쓰시오.
5위,영진군,진관,잡색군
31
세종 때 편찬된 국산 약재가 적혀있는 의약서는?
향약집성방
32
()은 군주의 ()를 도식으로 설명하는, ()를 저술하였다.
이황,도,성학십도
33
()는 ()를 저술하여, 군주가 수양해야 할 ()을 제시하였다.
이이,성학집요,덕목
34
()는 ()을 연구하여, "()합일"을 강조하고, 강화도에서 () 학파를 형성했다.
정제두,양명학,지행,강화
35
이 이론과 대표 학자를 쓰시오. -심즉리/ 치양지설/ 지행합일 등 강조 -중종 때 들어왔으나, 이황의 비판을 받음.
양명학,정제두
36
이 사람을 쓰시오. -안동에서 예안 향약을 실시 -저술:성학십도,주지사설요 주세붕의 백운동 서원을, 사액 서원으로 공인할 것을 건의
이황
37
이 사람이 누구인지 쓰시오. -저술:동호문답,성학집요,격몽요결 등 -해주 지역에서, 해주 향약을 실시 -공납의 문제점 시정(수미법 제안)
이이
38
() 등의 () 정권이 ()을 학문적 기반으로 ()하였다.
송시열,서인,성리학,강화
39
이 사람과, 강조한 이론이 무엇인지 쓰시오 -지행합일 강조(주자학 비판) -강화도에서 양명학을 연구. (강화학파를 형성) -하곡집,존연
정제두,양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