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1910년대 무단 통치 시기의 경찰 제도의 운영 방식은?
헌병 경찰제
2
2. 1910년대 무단 통치에서 1920년대 문화 통치로 통치 방식이 전환된 계기는?
3.1운동
3
3. 1920년대 일제가 문화 통치를 실시한 목적은?
친일파 양성
4
4 토지 소유권을 새로 확정하여 지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토지 매매와 저당을 자유롭게 하여 일본인이 쉽게 토지에 토자할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시행된 사업은?
토지조사사업
5
5. 농업 경영과 이민 사업 등 식민지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한국의 토지에 일본인을 이주시켜 농사를 짓게 함으로써 식민 지배 기반을 확보했던 회사의 명칭은?
동양척식주식회사
6
6.1910년대 한국의 산업을 침탈하고 민족 자본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회사를 설립할 때는 조선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함을 명시한 법령의 명칭은?
회사령
7
7. 일제가 본국의 부족한 식량을 한국에서 학보할 목적으로 1920년부터 시행한 것은?
산미증식계획
8
8. 고종의 밀지를 받은 임병찬이 각지의 유생을 모아 조직한 단체의 이름은?
독립의군부
9
9. 1910년대 박상진 등을 중심으로 국권 회복 이후 공화정 형태의 근대 국가를 건설하려 했으며 독립 전쟁을 준비했던 국내의 비밀 단체는?
대한광복회
10
10. 1910년대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서북 지방에서 1915년까지 활동했던 의병장의 이름은?
채응언
11
11. 1910년대 북간도 지역에서 한인 독립운동가들이 만든 자치 단체의 명칭은?
간민회
12
12. 1910년대 서간도 삼원보 지역에서 조직된 자치 기관의 명칭은?
경학사
13
13. 1910년대 서간도 지역에서 만들어진 독립군 양성학교의 명칭은?
신흥강습소
14
14. 1909년 미주 지역의 한인들이 연합하여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로 민주 공화국 수립을 주장하고 군자금을 모금했던 단체의 명칭은?
대한인국민회
15
15.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했던 중국 상하이에서 창립된 독립운동단체의 명칭은?
신한청년단
16
16.각 민족은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지 않고, 스스로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는 미국 대통령 윌슨이 내세운 평화 원칙은?
민족자결주의
17
17. 3.1 운동이 영항을 준 세계 약소 민족의 독립 운동은?
5.4운동
18
18.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국내독립운동을 지도하고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설치한 조직 2가지는?
연통제, 교통국
19
19.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일제의 침략 과정과 식민 통치의 실상을 담아 국제 연맹에 한국 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만든 자료집은?
한일관계사료집
20
20.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독립운동 방법론을 둘러싸고 지도자 사이에 대립이 심화됨에 따라 상하이에서 열린 회의의 명칭은?
국민대표회의
21
21. 임시 정부 활동이 침체됨에 따라 김구가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만든 단체의 명칭은?
한인애국단
22
22. 봉오동 전투 당시 흥범도 장군이 지휘했던 부대의 명칭은?
대한독립군
23
23. 청산리 대첩 당시 김좌진 장군이 지휘했던 부대의 명칭은?
북로군정서
24
24. 일본군이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패전에 대한 보복으로 일으킨 사건은?
간도참변
25
25. 간도 지역의 독립군이 러시아와 만주의 국경지대인 밀산부에 집결하여 서일을 총재로 조직한 독립군의 명칭은?
대한독립군단
26
26. 러시아로 이동한 독립군들 사이의 내부 주도권 다툼과 러시아 적군의 무장 해제 요구에 따른 발포로 인해발생한 사건의 명칭은?
자유시참변
27
27. 만주 지역의 독립군이 효율적 독립 전쟁 수행을 위해 전열을 재정비하여 설치한 3개의 공화주의 자치 정부의 명칭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28
28. 한국의 독립운동가를 충국 관현이 체포하여 일본에 넘긴다는 내용의 독립운동가를 탄합하기 위해 만주군벌과 일본 간에 체결된 협정의 명칭은?
미쓰야협정
29
29. 3부 통합 운동의 결과 남만주에서 조직된 국민부를 개편한 당의 명칭은?
조선혁명당
30
30. 3부 통합 운동의 결과 북만주에서 조직된 혁신의회를 개편한 당의 명칭은?
한국독립당
31
31. 1920년대 민촉 산업 자본을 보호.육성하여 민족 경제의 자립을 이루자는 운동의 명칭은?
물산장려운동
32
32. 교육 분야의 실력 양성 운동으로 일제의 우민화 교육을 극복하고 고등 교육올 실시하고자 추진된 운동의 명칭은?
민립대학설립운동
33
33. 동아일보에서 벌인 농촌 계몽 운동의 명칭은?
브나로드 운동
34
34. 1926년 11월 사회주의 계열의 단체가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제휴할 것을 주장한 선언의 명칭은?
정우회 선언
35
35. 국내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 1927년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한 최초의 합법적 민족 협동 전선 단체의 명칭은?
신간회
36
36. 사회주의 계열 단체와 천도교계, 학생들이 순종의 인산일에 맞춰 계획한 운동의 명칭은?
6.10만세운동
37
37.광주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대된 항일 학생 운동 과정에서 내건 주장은? (1가지)
식민지 교육 철폐
38
38. 지주와 일본 경찰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싸워 소작료를 낮추는 성과를 거둔 1923년에 일어난 소작 쟁의의 명칭은?
암태도 소작 쟁의
39
39.석유 회사인 라이징 선에서 일본인 현장 감독이 한국인 노동자를 구타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일어나 국내와 국외까지 연대가 이루어진 1929년에 일어난 노동 쟁의의 명칭은?
원산 총파업
40
40. 1920년대와 1930년대 농민.노동 운동의 차이점은? (1가지)
1920년대는 생존권 투쟁 성격이고 1930년대는 혁명적, 반제국주의 투쟁 성격이다
41
41. 신규식, 신채호 등이 1917년에 국민 주권의 공화주의 이념을 공식 문서화하기 위해 발표한 것은?
대동단결선언
42
42. 1927년 조선 여자의 공고한 단결과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결성된 여성계의 민족 협동 단체의 명칭은?
근우회
43
43. 방정환이 조직한 천도교 소년회가 1922년 5월 1일에 제정한 것은?
어린이날
44
44. 백정들이 백정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페 운동을 위해 진주에서 조직한 단체의 명칭은?
조선형평사
45
45. '가가날'을 제정하고, "한글" 잡지를 간행하여 한글 연구와 보급 활동을 했던 1921년에 이윤재, 최현배 등이 조직한 단체의 명칭은?
조선어 연구회
46
46.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고, 우리말 큰사전을 편찬하려 시도했던 1931년에 이름을 바꾼 단체의 명칭은?
조선어 학회
47
47.일제가 타율성론, 정체성론, 당파성론 등을 제기하여 한국사를 왜곡한 사관의 명칭은?
식민사관
48
48.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여 역사를 통해 민족혼을 간직하여야 독립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던 민족주의 사학자의 이름은?
박은식
49
49. 유물론에 입각하여 한국사가 세계사의 발전 법칙에 따라 보편적으로 발전하였다고 주장하는 사학의 명칭은?
사회 경제 사학
50
50. 진단학회를 조직하여 객관적인 문현 고증을 통해 한국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려 했던 사학의 명칭은?
실증주의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