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머리뼈 속에 있고 감각정보를 해석하는 중추신경계
뇌
2
척주관 속에 있고 감각정보를 해석하는 중추신경
척수
3
중추신경계통의 역할 2가지
명령중추, 조절중추
4
뇌와 척수로부터 뻗어 나오는 신경들인 뇌신경, 척수신경, 신경절로 구성되는 것
말초신경계통
5
정보의 입력을 담당하는 것. 말초신경계통에 속한 신경에 의해 감각정보가 전달된다
감각신경계통
6
감각신경계통의 종류 2가지
몸감각계통, 내장감각계통
7
정보의 출력을 담당하는 것. 운동신경을 통해 효과기로 전달한다
운동신경계통
8
운동신경계통의 종류 2가지
몸운동신경계통, 자율신경계통
9
자율신경계통의 종류 2가지
교감신경계통, 부교감신경계통
10
전기적,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는 흥분성을 가진 세포. 신경자극을 생성, 전달, 받아들인다
신경세포
11
흥분성이 없으며 신경세포를 지탱하거나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교세포
12
리보솜과 거친세포질그물의 집합체이며 단백질 합성, 영양공급과 재생과 관계가 있다
니슬소체
13
신경세포의 돌기 중 입력을 담당하는 것.
가지돌기
14
신경세포의 돌기 중 세포체에서 뻗어 나오 ㄴ긴 돌기로 때로는 신경섬유라 불리고, 세포체로부터 연접끝망울쪽으로 흥분을 전달한다
축삭
15
CNS에는 있지만 PNS에는 없는 것
신경체
16
CNS는 희소돌기아교세포, PNS는 신경집세포에서 만드는 여러 겹의 절연막
말이집
17
도약전도가 일어나 신경자극이 빠르게 전달되는 것
랑비에 결절
18
CNS에서 말이집신경섬유가 밀집되어 있는 부분
백색질
19
축삭의 영양과 말이집 형성에 관여하고 말초신경섬유의 재생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신경집
20
CNS에는 없고, PNS에만 있어서 PNS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
신경집
21
나트륨 이온이 두 세포 사이를 오갈 수 있게 해준다
전기 연접
22
신경전달물질이라는 전령 물질이 방출되는 것
화학 연접
23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혈관에 연결시켜주며 방어, 보호작용의 역할을 수행한다. 종양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기도 함
아교세포
24
뇌실에 위치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뇌척수액의 순환을 돕는다
뇌실막세포
25
뇌와 척수에서 신경섬유 사이를 연결하고 신경세포를 지지하며, 대사물질을 운반한다
별아교세포
26
중추신경의 말이집 형성에 관여한다
희소돌기아교세포
27
외부의 침투 미생물을 포식하여 CNS를 보호한다
미세아교세포
28
PNS에서 신경섬유의 말이집을 형성한다
신경집세포
29
PNS에서 신경절 내 세포체의 주변을 싸고 있는 작은 세포로 신경세포의 화학적 환경을 조절한다
별세포
30
신경세포의 구조에 따른 분류로 나눈 종류 4가지
뭇극신경세포, 두극신경세포, 홑극신경세포, 무극신경세포
31
말초에서 CNS로 흥분을 전달하는 감각신경세포
들신경세포
32
CNS에서 말초로 흥분을 전달하는 운동신경세포
날신경세포
33
뇌와 척수에서 감각, 운동 신경세포 사이에서 흥분을 전달하거나 복잡한 경로의 셔틀버스 역할을 한다. CNS에 존재한다
사이신경세포
34
뇌 종류 7가지
대뇌, 사이뇌, 뇌줄기, 중간뇌, 다리뇌, 숨뇌, 소뇌
35
사고과정이 일어나는 장소로 복잡한 지적 기능의 기원이 된다.
대뇌
36
대뇌표면 구성 3가지
이랑, 고랑, 패임
37
좌우 대뇌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
뇌들보
38
측면에서 대뇌를 봤을 때 앞쪽과 뒤쪽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중심고랑
39
대뇌의 엽 5가지
이마엽, 마루엽, 관자엽, 뒤통수엽, 뇌섬엽
40
중심고랑 앞의 중심이랑에 있고 수의운동에 기여하는 영역
일차몸운동영역
41
무의식적 운동과 긴장에 관여하는 영역
운동앞영역
42
환자가 듣는 말과 쓴 글은 이해하지만 실제 말이 나오지 않는 브로카언어상실증과 관련이 있는 영역
운동언어영역
43
환자가 듣는 말과 쓴 글은 이해하지만 실제 말이 나오지 않는 증상
브로카언어상실증
44
고위 정신 기능에 기초하여 행동과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
이마엽앞영역
45
일반감각(온각, 냉각, 촉각)과 근육의 심부감각(통각)을 받는 곳
일차몸감각영역
46
음의 고저와 음질을 관별하는 영역
일차청각영역
47
동문서답하는 베르니케언어상실증과 관련이 있는 영역
청각연합영역
48
동문서답을 하는 증상
베르니케언어상실증
49
뼈대근육의 수의적 운동 조절, 높은 지적 사고 과정, 언어적 의사소통, 성격과 관련된 반응을 제공하는 엽
이마엽
50
몸감각의 해석, 언어를 이해하고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단어 조합, 느낌과 모양의 해석을 담당하는 엽
마루엽
51
청각중추이며 일부 감각 경험의 해석, 청각과 시작적 경험의 기억과 저장을 담당하는 엽
관자엽
52
눈의 초점을 맞추는 운동의 통합, 지난 시각 경험과 함께 시각적인 상을 다른 감각자극과 서로 연계, 시각의 의식적인 인식을 담당하는 엽
뒤통수엽
53
기억, 다른 대뇌 활동의 통합을 담당하는 엽
뇌섬엽
54
중심백색질이라 불리는 것
대뇌속질
55
같은 반구 내에서 다른 대뇌겉질의 영역을 연결하는 섬유
연합경로
56
양쪽의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것
맞교차
57
대뇌반구를 아래쪽의 뇌 부분과 척수로 연결하는 것
투사경로
58
5개로 이루어져 있는 것
바닥핵
59
앞뇌의 일부로 양쪽 대뇌반구 아래쪽 사이에 들어있다. 감각경로와 운동경로를 전달 및 중계하고 조절 중추이기도 한다.
사이뇌
60
시상상부와 시상, 시상하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
사이뇌
61
뒤쪽에는 멜라토닌을 분비하여 신체의 밤낮 주기를 조절하는 솔방울샘이 있는 기관
시상상부
62
셋째뇌실의 양쪽에 있는 한 쌍의 계란모양의 회색질로 한쪽의 시상은 약 12개의 시상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각정보의 최종 중계소 역할을 수행한다
시상
63
자율신경계통의 최고위 조절이면서 내분비계통의 최고위 조절, 체온조절, 감정행동 조절, 음식섭취의 조절, 수분섭취의 조절, 수면-각성주기의 조절도 하는 것
시상하부
64
기억을 저장하고 장기기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
해마
65
해마에 연결되어 있고 특히 공포감 같은 감정적인 측면을 담당하낟. 공포, 행복, 슬픔과 관련된 기억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편도체
66
대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모든 경로의 양방향 통행로가 되고 사람의 생존에 필요한 자율신경중추와 반사중추, 뇌신경의 핵을 포합한다.
뇌줄기
67
뇌줄기를 구성하는 뇌 3가지
중간뇌, 다리뇌, 숨뇌
68
사이뇌와 소뇌 사이에 있는 대뇌의 한 부부능로 시각과 청각에 관여하며, 운동신경을 척수쪽으로 전달한다.
중간뇌
69
뇌줄기에서 앞쪽으로 튀어나온 부분,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운동 및 감각경로들이 있다
다리뇌
70
호흡의 빈도와 깊이를 조절하는 중추들
호흡조절중추, 지속호흡중추
71
가장 아래쪽에 있는 뇌줄기로 호흡과 심장 운동 등 생명에 가장 중요한 반사중추들이 모여있다.
숨뇌
72
숨뇌에 있는 중추 3가지
심장중추, 혈압중추, 호흡중추
73
몸의 감각정보, 운동겉질의 운동정보, 안뜰기관의 평행정보 등을 받아들이고 이를 정보에 의해 의식적으로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물체
74
균형, 정교한 움직임, 관절의 고유감각을 통해 위치를 인지하는 것을 담당하는 뇌
소뇌
75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
벌레
76
뇌막 구성층 3가지
경막, 거미막, 연막
77
가장 바깥쪽에 있는 강하고 조밀한 막
경막
78
“거미줄 같은”이라는 이름의 의미처럼 거미잔기둥으로 이루어진 것
거미막
79
뇌막의 가장 안쪽 층으로 혈관이 풍부하고 뇌와 척수 표면의 모든 굴곡을 따라 밀착되어 있음
연질막
80
뇌에 있는 여러 개의 공간과 뇌척수액이 존재하는 곳
뇌실
81
척수에 있는 공간
중심관
82
뇌실과 거미막밑공간을 순환하는 무색의 맑은 액체
뇌척수액
83
뇌척수액이 생성되는 곳. 하루에 500cc 속도로 뇌척수액을 생산한다
맥락얼기
84
뇌척수액의 역할
부력, 보호, 안정적인 환경
85
열이 나고 목이 뻣뻣하면서 두통이 동반될 경우에 의심되는 질병
뇌수막염
86
경질막과 거미막밑공간에 있는 뇌척수액을 뽑거나 약을 투여하기 위한 처치법. L3~L4에 주로 시행한다
허리천자
87
인체에서 감각신경로, 운동신경로, 반사중추의 역할을 한다
척수
88
척수의 가늘어지는 아래 끝 부분
척수원뿔
89
척수원뿔의 끝 부분에 축삭의 다발 모양
말총
90
척수는 팔다리로 인해 신경세포가 많아져 현저히 굵어지는 두 부위
목팽대, 허리엉치팽대
91
뇌막의 연장된 구조로 척수를 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막
92
경질막과 척추뼈막 사이의 공간
경질막바깥공간
93
경질막바깥공간이 할 수 있는 것
경질막외차단
94
뇌척수액이 차 있는 실제 공간
거미막밑공간
95
척수의 안쪽에 H자로 차 있는 것. 민말이집축삭이 모여있는 곳
회색질
96
척수의 바깥쪽으로 말이집축삭이 모여 있는 곳
백색질
97
몸운동신경세포가 위치하는 곳
척수의 앞뿔
98
심장근육, 민무늬근육, 샘에 분포하는 자율신경세포가 위치하는 곳
척수의 가쪽뿔
99
감각세포의 축삭과 사이신경세포가 위치하는 곳
척수의 뒤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