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감염병유행의 6가지 요인
병원체, 병원소,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전파, 병원체의 새로운 숙주내 침입, 숙주의 감수성( 하나라도 없으면 감염되지 않음)
2
감엽병 생성과정
감염원( 환자, 보균자, 보균동뮬, 환경) 감염경로: 수평전파(직접전파: 비말감염, 접촉감염, 간접전파: 공기감염, 경피감염), 수직전파: 모자감염(경태반감염, 경산도감염, 모유감염) 병원체(정착, 증식) 감염성립(병원체의 감염력: 정착, 세균내침입능력, 방어, 속도) 균형 숙주의 저항력:감염방어기구, 예방접종, 화학요법제 증상감염(발병) 무증상감염
3
병원체
1. 세균(숙주x) 2. 바이러스(숙주필요): 폴리오, 유행성간염, 일본뇌염, 공수병(광견병),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수두, AIDS 3. 리케치아: 발진티푸스와 발진열, 쯔쯔가무시병, 록키산 홍반, Q열, 참호열 4. 기생충: 말라리아, 아메바성 이질, 회충, 십이지장충, 유구조충, 무구조충, 간디스토마, 페디스토마 5. 진균 또는 사상균: 무좀, 칸디다, 각종 피부질환 유발
4
병원소(인간)
현증환자, 현성감염: 병원채애 감염되어 뚜렷한 임상증상 무증상감염자, 불현성감염: 임상증상이 아주 미약 보균자: 임상증상x, 체내에 병원체보유→항시 또는 때때로 균 배출
5
보균자종류
건강보균자: 알맞은 기관에 자리 잡고 증식 중이나 임상증상은 없고 병원체 전파 회복기 보균자: 회복이 되고 있으나 계속해서 병원균 배출 잠복기 보균자: 숙주에 침입,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잠복기 기간에 병원체 배출 만성보균자: 임상적으로는 건강하지만 지속적, 간헐적으로 장기간에 걸처 균 배출
6
직접전파? 비활성 매개체전파?
풍진 개달물
7
침입구별 감염병 종류
소화기: 세균(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파상열), 바이러스(폴리오, 전염성감염), 세균, 아메바(이질) 호흡기: 세균(결핵, 나병, 디프테리아, 성홍열, 수막구균성 수막염, 백일해), 바이러스(두창,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폐렴) 점막피부: 세균( 파상풍, weil˚s병, 페스트), 바이러스(트라코마, 일본뇌염), 리케치아(발진티푸스) 성기점막: 세균(배독, 임질, 연성하감)
8
자연능동으로 면역되는 질병
한 번 이환이후 영구면역: 두창, 홍역, 수두, 유행성 이하선염, 콜레라, 백일해, 성홍열, 발진티푸스 불현성감염에 의해 영구면역: 소아마비 약한면역: 인플루엔자, 수막구균성 수막염 감염면역만 형성: 임질, 매독, 말라리아
9
백신종류
생균백신: 생균의 현탁액 사균백신: 사멸시켜만든 백신 순환독소: 독성을 약하게 만든 것
10
멸균 vs 소독
멸균: 강한 살균력 작용, 모든 미생물의 아토까지 멸살또는 파괴 소독: 병원미샐물을 파괴또는 멸살(감염력이나 증식력은 없애지만 모든미생물의 아토까지는 못없앰)
11
제 1금감염병
생물테러 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즉시 신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 격리 필요 두창 페스트 탄저 메르스 살스 신종인플루엔자
12
제 2급감염병
유행시 24시간 내 신고, 격리필요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A형간염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수막구균감염증 페렴구균감염증 한센병
13
제 3금감염병
감염병발생을 계속감시 신고, 유행시 24시간 이내 신고 파상풍 B형간염 일본뇌염 C형간염 말라리아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공수병 에이즈 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
14
제 4급감염병
표본감시활동 매독 임질 연성하감 첨규콘딜롬 수족구병 성기단순포진 헤르페스
15
생물테러감염병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두창
16
성매개감염병
매독 임질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성기단순포진 첨규콘딜롬 사람유두종바이러스
17
인수공통감염병
일본뇌염 브루셀라증 공수병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변종크로이츠펠트-야콥병 결핵
18
장티푸스 병원체 생성장소 전파경로 증상 환자관리
발생률이 가장 높고 고열 salmonella typhi 담낭 장의 임파조직, 담낭, 신장 pyer's paches 궤양 물품소독
19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병원소 및 감염원
소, 가금류
20
A형 감염
급성이 대부분
21
디프테리아 증상
인후나 코등의 상피조직에 염증, 신경조직등에 장애, 법적감염병 위막형성
22
홍역
전신발진 전구기: 구강내 병변(koplik's spot) 발진기: 비수포성 발진이 목뒤, 귀아래에서 시작하여 몸통,팔다리 순서대로 퍼지고 손바닥과 발바닥에서도 발생
23
풍진
임산부가 임신초기 이환시 기형유발
24
성홍열 병원체 증상
발적독(Dick's toxin) 연구개및 목젖의 출혈반, 딸기혀
25
인플루엔자 면역성 증상
감염된 사람이라도 그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은 없음 38도 이상의발열, 두통, 근육통, 인후통
26
한센병 검사
lephromin 반응검사
27
고온환경 직업성질환
열경련: 탈수, 염분손실, 유통성경련,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생리식염수정맥주사 열허탈: 대외피질혈류부족이 원인, 전신권태, 탈력감, 현기증, 실신, 허탈, 최저혈압하강, 시원한곳으로 이동 후 휴식, 염분,수분 섭취 열사병(울열증): 고온다습, 육체노동, 실외에서 두부에 태양열, 땀배출x, 체온이 41~43도 까지 급격히 상승, 피부건조, 얼음물에 담가서 체온을 39도까지 급격히 내리고 사지마찰, 항진대사제투여
28
저온환경 직업병
전신체온하강(저체온증): 장시간 한랭, 급성중증장애 급격한 혈관확장, 전신냉각, 진정제복용과 음주는 더욱 가중시킬위험 참호족: 한랭에 장기간 폭로, 지속적우로 습기와 물에 잠기면 발생, 국소의 산소결핍이 원인, 혈액농축, 적혈구,순환기관 정체, 부종, 작열통, 통증, 수포, 궤양이나 괴저 동상: 피부빙점은 영하 10도, 1도: 발적과 부종(빨갛고 간지러움) 2도: 수포 3도: 괴사 4도: 괴사및 조직의 손실
29
납(연)의 4대증상
피부창백, 구강치은부에 lead line 생성, 호염기성 과립 백혈구 증가, 코프로포르피린 증가
30
기후와 질병
풍토병: 기후 또는 기후로 인한 조건으로 말라리아, 수면병, 콜레라 계정병: 계절에 따라 발생(봄 여름 가을 겨울) 기상병: 기후상태(오늘날씨) 류마티스, 심근경색, 협심증, 기관지염, 천식
31
자외선
1000~2800Å원자외선 2800~3200Å중자외선 3150~4000Å근자외선
32
자외선이 끼치는 피부에 대한 작용
3200~3800Å 피부상피층에서 흡수 2000~3800Å 강한 홍반 작용, 색소침착, 부종, 수포형성, 피부발진 2800~3200Å 장기간 폭로시 피부암
33
자외선이 끼치는 눈에 대한 작용
2950Å 이하의 자외선은 눈물이 흐르고 눈이 부시며 동통과 이물감을 동반한 결막염
34
자외선이 끼치는 전신작용
대사항진,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증가, 2800Å 체내에 비타민D형성, 2540~2800Å자외선 살균작용, 과량 조사시 두통, 흥분, 피로, 불면
35
co-Hb포화도와 신체증상
청색증이 없음 30~40%: 심한 두통, 구토 50~60%: 혼수및 경련 70%이상: 사망 80%이상: 즉사
36
하수시험
BOD,DO가 높으면 물이 더러움 COD가 높으면 물이 깨끗함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미생물애 의해 분해, 산화하며 소비한 산소량, 이수치가 높으면 유기물이 많다는것을 의미 DO(용존산소량):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량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산소요구량
37
군집독
밀폐된 작은방에 다수가 장시간 불쾌감, 권태감, 두통, 구토, 현기증, 실신 취기, 온도, 습도, 기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악취, 산소감소, 분진등이 원인 환기가 중요
38
산소농도와 신체증상
산소농도 4프로 이하: 1뷴이내 사망 저산소증: 11~12프로 이하 7000미터 이상: 고선병(근육통, 관절염, 이명) 5기압이하의 산소 10프로: 산소중독증의 원인(폐기종, 충혈, 동통, 근육경련)
39
모기매개질병
말라리아 사상충병: 임파조직에 기생, 발열 임파선염 농양→ 장기간 중족 감염시 임파액 분비장애로 하지 고환등에 비대증 황열병: 이집트 숲모기 뎅기열: 심한 두통, 구토 일본뇌염: 작은 빨간집 모기, 급성으로 신경계증상
40
물리적 소독방법
검열멸균법, 습열멸균법(고압증기멸균법)
41
런던스모그의 주범, 자동차배기가스의 주요배출원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42
진동의 영향
교감신경 영향(혈압상승 맥박증가 말초혈관 수축 생리불순 성기능저하), 위하수증, 장내압증가, 시력저하, 정신 및 신경상피해, 작업능률장애 Raynaud's henomenon: 손가락의 말초혈관 운동장애로 인한 창백, 동통, 청색증 골관절 기능장애 및 내분비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