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별무반 구성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 삼별초 :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2
식년시(정기시험) = ( )년 마다
3
3
장수왕 평양 천도 -> 불안감을 느낀 백제는
웅진 천도 (문주왕) 고구려 전성기때 백제는 비개문동, 신라는 내물눌지소지
4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칠정산 (세종)
5
러시아가 압록강 유역의 산림 채벌권을 획득하였다.
1896 이후 (아관파천 이후)
6
토지가옥증명규칙
1906 (토지조사령과 상관x)
7
화룡 용두산 고분군
= 중경 = 정효공주묘
8
문산계를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성종 (고려)
9
중앙 문반에게 ( )를 부여하였다. 중앙 무반에게 ( )를 부여하였다.
문산계 문산계
10
현화사 창건
현종
11
미곡수집제 실시
1946 (미군정기 초기 정책) --- 1946.10 반발이 거세져 토지개혁 실시주장/미곡수집제 폐지운동 전개
12
우주자연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서경덕 (주기론 선구자)
13
압인문
신석기 (= 눌러찍기무늬토기) --- 비교) 무늬 기무 띠는 덧~ 에만 해당 (덧‘무늬’토기 - 덧띠새‘김무’늬토기 - 덧‘띠’토기)
14
서울-평양 직통 전화 가설
1972 (7.4 남북공동선언)
15
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의천 (+ 화엄종 중심 승려)
16
남경 건설 추진
고려 숙종, 김위제 (남경개창도감) --- 남경 승격 = 문종
17
조선인 본위 교육제 주장
신간회
18
매일신문
1898 ~ 1899 --- 매일신보 (1910 ~ 1945)
19
답험의 폐단 방지
공법 (비옥도 or 풍흉에 따라 차등지급 - 전분6 연분9)
20
정부는 다음에 의하여 농지를 취득한다. 1. 다음의 농지는 정부에 귀속한다. (가) 법령 및 조약에 의하여 몰수 또는 국유로 된 토지 (나) 소유권의 명의가 분명하지 않은 농지
농지개혁법 (1949.6) 1. 농지국(농림부 산하)에서 담당 2. 1년에 30%씩 5년간 갚기 (총 150%) 3. 3정보 초과 불과 4. 소작지 감소, 자작지 증가 = 농민 안정
21
상피제 서경제 포폄제
[조선 전기]에 이르러 합리적인 인사 행정 제도가 갖추어졌다. - 친족이 같은 관청에서 근무하거나 연고지에서 근무하는 것을 막음. - * 인사 이동이나 법률 제정 등에서 대간의 서명을 받음. -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함.
22
중국 연호 사용 폐지, 독자 연호 사용
1차 갑오 (’개국‘ 연호 사용)
23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1954
24
신등화차
47 69 --- 전신(1884), 전등(1887), 전화(1896), 전차(1899)
25
정읍발언
1차 미소공동위(1946.3) - 정읍발언(1946.6) - 좌우합작위(1946.7)
26
한성 전기회사
1898
27
사립학교령
1908 (학교 설립시 학부대신 인가를 반드시 받아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부대신이 폐교 명령까지도 가능) --- 국민학교령(1941)과 혼동금지
28
시모노세키 조약
1895 (청 - 일) (청은 조선을 자주독립국으로 인정한다, 청은 일본에 배상한다 등등)
29
사섬서
태종 (저화 발행)
30
신유박해 : ( ) 사형 기해박해 : ( ) 사형 병오박해 : ( ) 사형
* 이승훈 정하상 (+ 프랑스 신부들) 김대건 --- 신유박해 : 정씨 형제 유배, 황사영 백서 기해박해 : 척사윤음 반포 병오박해 : 병인박해 : 프랑스 선교사 대거 처형 (병인양요 명분)
31
벽파 / 시파 분화 이유
영조 시기 벽파 : 사도세자 죽음은 당연한 것 시파 : 사도세자 불쌍해 (시파ㄹ 불쌍해 ㅠ)
32
청천강 ~ 영흥만 영토 확장
태조
33
창조파 개조파
신채호, 박용만 : 기존 임시 정부를 해체하고 연해주로 옮기자. * 여운형, 안창호 : 기존 임시정부를 개조하자.
34
조선 전기 미술 조선 후기 미술
전기 : *몽유도원도, *고사관수도, (초충도, 월매도, 풍죽도, 묵포도도) 후기 : *진경산수화, (풍속화, 민화, 문인화)
35
부산(동래성) 함락 - 충주전투(신립, 패배) - 의주 피난 - *한양 함락 옥포해전 - 사량진왜변 - 당항포해전 - *평양 함락 - *한산도 대첩 - 진주대첩1(김시민, 승리) *평양성 탈환(조명연합군, 유성룡-이여송) - 벽제관전투 - 행주대첩 - 선조 *한양 복귀 - 진주대첩2(카토쿠로다, 패배) --- 비변사 핵심 기구화, 훈련도감 설치, 속오군 개편 --- 정유재란 - 칠천량해전 - 직산전투 - 명량대첩 - 노량해전 --- 왜관 설치(일본인이 조선인과 통상을 하던 곳) ---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