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대한독립선언서
1919 (조소앙)
2
매일신문
1898 ~ 1899 --- 매일신보 (1910 ~ 1945)
3
조선인 본위 교육제 주장
신간회
4
최초의 한문 단편 소설집
금오신화 (김시습, 세조)
5
어우야담
광해군 (우리나라 최초의 야담집)
6
문산계를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성종 (고려)
7
몽골 1차
귀주성 전투 (박서, 살리타 침입) 충주 전투 (우종주 도망, 노군/잡류 항쟁) 강화 천도
8
조선 전기 미술 조선 후기 미술
전기 : *몽유도원도, *고사관수도, (초충도, 월매도, 풍죽도, 묵포도도) 후기 : *진경산수화, (풍속화, 민화, 문인화)
9
남경 건설 추진
고려 숙종, 김위제 (남경개창도감) --- 남경 승격 = 문종
10
벽파 / 시파 분화 이유
영조 시기 벽파 : 사도세자 죽음은 당연한 것 시파 : 사도세자 불쌍해 (시파ㄹ 불쌍해 ㅠ)
11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1954
12
중대 범죄를 공판하되, 피고의 인권을 존중한다.
헌의6조
13
예산과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한다.
헌의6조
14
답험의 폐단 방지
공법 (비옥도 or 풍흉에 따라 차등지급 - 전분6 연분9)
15
일성록
* 정조 (동탁일연) (유네스코 등재, 조선 후기 왕의일기) --- 표해록 (성종, 최부 기행문)
16
문묘 건립
충렬왕 (공자를 모시는 사당)
17
사립학교령
1908 (학교 설립시 학부대신 인가를 반드시 받아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부대신이 폐교 명령까지도 가능) --- 국민학교령(1941)과 혼동금지
18
정읍발언
1차 미소공동위(1946.3) - 정읍발언(1946.6) - 좌우합작위(1946.7)
19
러시아가 압록강 유역의 산림 채벌권을 획득하였다.
1896 이후 (아관파천 이후)
20
압인문
신석기 (= 눌러찍기무늬토기) --- 비교) 무늬 기무 띠는 덧~ 에만 해당 (덧‘무늬’토기 - 덧띠새‘김무’늬토기 - 덧‘띠’토기)
21
진관 체제 제승방략 체제
세조, 지역 방어 명종, 적이 침입하면 영/진의 군사가 모임.
22
부산(동래성) 함락 - 충주전투(신립, 패배) - 의주 피난 - *한양 함락 옥포해전 - 사량진왜변 - 당항포해전 - *평양 함락 - *한산도 대첩 - 진주대첩1(김시민, 승리) *평양성 탈환(조명연합군, 유성룡-이여송) - 벽제관전투 - 행주대첩 - 선조 *한양 복귀 - 진주대첩2(카토쿠로다, 패배) --- 비변사 핵심 기구화, 훈련도감 설치, 속오군 개편 --- 정유재란 - 칠천량해전 - 직산전투 - 명량대첩 - 노량해전 --- 왜관 설치(일본인이 조선인과 통상을 하던 곳) ---
ㅇㅇ
23
월인천강지곡
세종 --- 만천명월주인옹자서(정조)
24
유교문명 이외에도 유럽 · 회교 · 불교 문명권을 소개하여 시야를 넓혀 주었다.
지봉유설 (이수광)
25
존언
정제두
26
조선 민중아 우리의 철천지원수는 자본 제국주의 일본이다. 이천만 동포야 죽음을 각고하고 싸우자! 만세 만세 조선 독립 만세
6.10 만세운동
27
신유박해 : ( ) 사형 기해박해 : ( ) 사형 병오박해 : ( ) 사형
* 이승훈 정하상 (+ 프랑스 신부들) 김대건 --- 신유박해 : 정씨 형제 유배, 황사영 백서 기해박해 : 척사윤음 반포 병오박해 : 병인박해 : 프랑스 선교사 대거 처형 (병인양요 명분)
28
중국 연호 사용 폐지, 독자 연호 사용
1차 갑오 (’개국‘ 연호 사용)
29
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의천 (+ 화엄종 중심 승려)
30
사섬서
태종 (저화 발행)
31
경기체가, 가전체
고려 후기
32
카이로 선언의 내용을 재확인
포츠담 선언 (1945.7)
33
시모노세키 조약
1895 (청 - 일) (청은 조선을 자주독립국으로 인정한다, 청은 일본에 배상한다 등등)
34
상피제 서경제 포폄제
[조선 전기]에 이르러 합리적인 인사 행정 제도가 갖추어졌다. - 친족이 같은 관청에서 근무하거나 연고지에서 근무하는 것을 막음. - * 인사 이동이나 법률 제정 등에서 대간의 서명을 받음. -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함.
35
우주자연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서경덕 (주기론 선구자)
36
영농 방법의 혁신, 상업적 농업의 장려, 농기구의 개량 등을 강조하였다.
과농소초 (박지원)
37
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 최우 :
김보당, 조위총, *교종 승려 망이/망소이 (= 공주 명학소) 전주 관노 김사미/효심 만적, 이비패좌(신라), 최광수(고구려) 이연년 형제(백제)
38
창조파 개조파
신채호, 박용만 : 기존 임시 정부를 해체하고 연해주로 옮기자. * 여운형, 안창호 : 기존 임시정부를 개조하자.
39
현화사 창건
현종
40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중국사와 대등하게 우리 역사를 파악했다.
제왕운기 (이승휴, 5언시체) (* 중국사와 대등하게 우리 역사를 파악했다. = 단군부터 역사서술 = 삼국유사도 해당하는 말.)
41
청천강 ~ 영흥만 영토 확장
태조
42
서울-평양 직통 전화 가설
1972 (7.4 남북공동선언)
43
미곡수집제 실시
1946 (미군정기 초기 정책) --- 1946.10 반발이 거세져 토지개혁 실시주장/미곡수집제 폐지운동 전개
44
중앙 문반에게 ( )를 부여하였다. 중앙 무반에게 ( )를 부여하였다.
문산계 문산계
45
박지원 박제가 둘 중 스승
박지원
46
일본 공사관 신축 (공사비 부담)
한성조약
47
화룡 용두산 고분군
= 중경 = 정효공주묘
48
운율시 (5언시체)
제왕운기, 동명왕편 - 운율시 (= 5언시체)
49
신등화차
47 69 --- 전신(1884), 전등(1887), 전화(1896), 전차(1899)
50
장수왕 평양 천도 -> 불안감을 느낀 백제는
웅진 천도 (문주왕) 고구려 전성기때 백제는 비개문동, 신라는 내물눌지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