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우리가 어떻게 다른 사람에 대해 생각하고 영향을 미치며 관계를 맺는지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는?
사회심리학
2
____학은 동일한 사람이 상이한 상황에서 상이하게 행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사회적 영향을 연구한다.
사회심리
3
타인의 행동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하고 싶어한다는 이론은?
귀인 이론
4
귀인 이론의 종류 두 가지는?
성향 귀인, 상황 귀인
5
귀인 이론의 종류 중 행동을 개인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특질에 귀인하는 것은?
성향 귀인
6
귀인 이론의 종류 중 행동을 상황에 귀인하는 것은?
상황귀인
7
타인의 행동을 설명할 때 상황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개인의 성향을 과대평가하는 관찰자의 경향성은?
근본적 귀인 오류
8
학생들에게 실험협조자의 행동이 실험적 처치였다고 알려주었을 때 조차도, 실험협조자의 행동을 성향에 귀인하였다는 연구는?
나폴리탄 등의 연구
9
__의 문제를 __ __에 귀인할지 아니면 __ __에 귀인할지는 __적 입장에 영향을 미치고 그 입장을 반영하기도 하는것은 __의 문제이다.
빈곤, 사회 환경, 개인 성향, 정치, 귀인
10
대상과 사람 그리고 사건에 대해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만드는 감정으로 신념의 영향을 받는 것은?
태도
11
__는 __에 영향을 미치고, __은 __에 영향을 미친다.
태도, 행동, 행동, 태도
12
태도를 변화시켜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는?
설득
13
설득의 종류 두 가지는?
주변경로 설득, 중심경로 설득
14
주변적 단서에 반응하여 즉각적으로 판단함에 따라 신속한 결과를 보이는 설득은?
주변 경로 설득
15
설득 메시지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는?
매력도, 신뢰도, 친밀감, 유명인사의 추천
16
주장에 주의를 기울이고 호의적인 생각으로 반응을 보임으로써 이루어지는 설득은?
중심 경로 설득
17
설득 메시지의 질과 주장의 근거와 관련있는 것은?
중심 경로 설득
18
처음에 작은 요청에 동의하였던 사람이 나중에 더 어려운 요청에도 동의하는 경향성은?
문 안에 발 들여놓기 현상
19
_ __ _ ____ 현상은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 모두에 효과를 나타낸다.
문 안에 발 들여놓기
20
기대되는 행동에 대한 규정들을 따름으로써 사회적 부분을 시범 보이는 것은?
역할놀이
21
한국 전쟁 시 중국 공산당 포로 수용소 사례로,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우리가 불편함(부조화)을 느끼고, 이 불편함을 감소시키려고 한다는 이론은?
인지 부조화 이론
22
__ ___를 감소시키기 위해 태도를 변화시켜 행동에 맞춘다.
인지 부조화
23
인지 부조화 이론은 __와 __이 일치하지 않을 때 불편함(___)을 느끼고, 이 불편함을 감소시키려 한다는 이론이다.
태도, 행동, 부조화
24
___ __ __는 우리가 공감하도록, 즉 다른 사람이 느끼고 있는 것을 느끼도록 도와준다.
자동적 흉내 내기
25
__낼 수록, 더 공감하게 되고 상대방이 우리를 더 좋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흉내
26
동조할 만한 상황은 1. __이 없거나 불확실하다고 느끼도록 만들었을 때, 2.집단에 최소한 _ 명이 존재할 때, 3.집단이 ____일 때(단 한 명의 이단자라도 사회적 용기를 상당히 증가시킴), 4.집단의 __과 __을 존중할 때, 5.미리 어떤 반응을 할 것인지를 정하지 않았을 때, 6.집단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__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때, 7.__가 사회적 기준을 존중하도록 강력하게 요구할 때이다.
능력, 세, 만장일치, 위상, 매력, 관찰, 문화
27
인정을 획득하고 불안정을 피하려는 개인 욕구로 인해서 초래되는 영향은?
규범적 사회영향
28
현실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받아들이려는 의지에서 초래되는 영향은?
정보적 사회영향
29
참가자들이 자신의 행동이 타인을 해친다고 생각할 때조차 명령에 복종한 실험은?
스탠리 밀그램의 실험
30
___ ___의 실험은 강력한 사회적 영향이 평범한 사람들을 거짓에 동조하고 잔인한 행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스탠리 밀그램
31
스탠리 밀그램 실험과 같이, 어느 사회에서든 엄청난 악행은 보다 (작은/큰) 악행에 복종하는 것에서부터 자라난다.
작은
32
복종이 잘 일어나는 상황은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가까이/멀리) 존재하며 합법적인 ___로 지각될 때, 저명한 기관이 권위자를 지지할 때, 희생자가 ___화 되거나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또는 (같은/다른) 방에 있을 때, __하는 역할 모델이 없을 때이다.
가까이, 권위자, 몰개성, 다른, 저항
33
타인이 존재할 때 단순하거나 잘 학습된 과제를 잘 수행하는 현상은?
사회 촉진
34
타인이 우리를 관찰할 때, 잘 학습된 과제는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현상은?
사회 촉진
35
__ __은 타인이 우리를 관찰할 때, 잘 학습된 과제는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반면 새롭고 어려운 과제는 느리고 부정확하게 반응한다.
사회 촉진
36
사회 촉진의 예시 두 가지는?
홈경기 이점, 군중 효과
37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합해야 할 때, 적은 노력을 들이는 경향성은?
사회 태만
38
사회 태만의 원인은 집단의 일원으로 행동하는 사람은 책임감을 (더/덜) 느끼기 때문에 타인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덜 걱정하고, 자신의 ___가 그렇게 크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고, 얼마나 공헌하였느냐에 관계없이 돌아오는 이득이 모든 구성원에게 동일할 때 누군가 __해질 수 있다는 것이 있다.
덜, 기여도, 태만
39
흥분과 익명성을 조장하는 집단 상황에서 자의식과 자기억제가 상실되는 현상은?
몰개인화
40
___화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몰개인
41
타인이 존재할 때의 행동 여섯 가지 현상은?
사회 촉진, 사회 태만, 몰개인화, 집단 극화, 집단 사고, 개인의 위력
42
‘이것’은 관찰되는 개인이 각성이 증가되어 쉬운 과제에서 더 잘하고, 어려운 과제에서 잘 못하는 것과 같이, 주도적 행동의 증폭을 나타낸다. ‘이것’은?
사회 촉진
43
‘이것’은 그룹 프로젝트에서 책임감 저하로 인해 노력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 태만
44
‘이것’은 각성과 익명성을 조장하는 집단 상황에서 자기자각의 감소로 인해 자기억제가 저하되는 것이다. ‘이것’은?
몰개인화
45
유사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간의 집단 토의가 구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과 태도를 강화하는 것은?
집단 극화
46
__ __는 인터넷이 이 효과를 더 좋게도 더 나쁜 쪽으로도 증폭시켰다.
집단 극화
47
의사결정 집단 내에서 조화를 추구하고자 할 때, 대안에 대한 현실성 있는 평가를 간과하는 집단 행동은?
집단 사고
48
__의 위력과 __의 위력은 상호작용한다.
개인, 상황
49
__의 위력은 일관적인 태도를 피력하는 소수가 다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
50
우리가 어떤 상황이나 행동의 결과가 나타났을 때, 그 원인을 탐색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귀인
51
정치인들의 설문조사는 우리의 __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태도
52
태도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설득
53
행동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세 가지는?
문 안에 발 들여놓기 현상, 역할놀이, 인지 부조화 이론
54
자동적 흉내내기는 어떠한 효과인가?
카멜레온 효과
55
카멜레온 효과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약해/심해)진다.
심해
56
흉내낼수록, 더 공감하게 되고 상대방이 우리를 더 좋아하개 되는 경향이 있다는 효과는?
카멜레온 효과
57
집단의 압력을 보여주는 실험은?
애쉬의 동조 실험
58
소수가 사회를 변화, 발전시키는 것은?
개인의 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