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구원열차 기관사 조치
관제사에게 운전명령과 고장열차 정차지점 운전방법을 통보받고 차장에게 안내방송 요청 최근역에 승객 하차 의뢰 전령자 전호로 고장차량 3미터 앞에 정차 연결기 공기마개 4개제거 단속단으로 고장차량에 연결 살짝 후진하여 연결상태 확인 RSOS해당 위치로 절환 ats act 차단 관제보고후 25이하로 운전
2
고장열차 기관사 조치
제동핸들 취거하여 후부운전실로 이동 rsos해당위치로 절환 배전반내 Dilpn차단 12점퍼선 준비 mr코크 제거 필요시 103인통선 연결 구원열차 연결 후 전부 ats차단
3
구원/고장 공통사항
제동핸들 취거 엠알코크 개방 제동핸들 7단 유지 12점퍼선 연결 버저 통화 제동 시험 후 운전취급에 관한 협의 축전지 전압 저하시 103인통선 연결
4
12점퍼선 종류
10선 회생제동 지령선 100선 접지선 27 28 29 상용제동선 31 32 비상제동 루프 선 33 보안제동선 145 출입문등선 164 승무원 연락 통화선 175 176 차내 방송선 12점퍼선 연결하면 rsos와 관계없이 연결되는 선은 145 175 176선 구원운전 스위치는 마주보는 운전실에 맞게 절환 구원운전시 열차 속도는 25 같은 차종일시 45 회송시 승강장 통과속도는 45 코레일구간은 60
5
완전부동 취급시기
판 파손 및 집전 장치 고장시 주 휴즈 용손시 피뢰기 동작시 디젤 기관차에게 구원 받을시 egs 용착시 기타 필요시 mcb투입 차단 불능시 직류구간 L1차단되어 복귀 불능시 전차선 없는구간 잘못 진입시
6
완전 부동 취급 방법
관제사 차장 통보 후 전편성 mcb차단 판 하강 Adan Addn 먼저 차단후 panvn차단 이후 연장급전 후 판상승 mcb투입
7
전 편성 판내리지 않고 완전부동 취급 방법
해당차량 Adan addn먼저 차단후 panvn차단 이후 해당차량 연장급전
8
완전부동취급 후 연장급전 시 현상
해당 유닛 판 하강으로 mcb양소등 동력 및 제동시 power등 점등 불능 객실등과 냉난방은 반감되나 고장유닛 cm은 정상구동
9
연장 급전 시기
siv중고장시 완전부동취급시 m’차 주변환기 고장시
10
vcos취급시기와 방법
시기는 주변환기 고장으로 cifr여자시 송풍기 고장으로 bmfr여자시 주변압기 계통 고장으로 Mtar여자시 방법은 동력핸들 off위치에서 mcbos vcos rs 3초후 mcbcs 취급
11
vcos취급 후 현상 및 조치
vcos 취급시 cifr bmfr 여자차량은 폴트등 차측등 소등 vco등 점등 mtar 여자차량은 uco등 점등 폴트등 차측등 소등 cifr bmfr 은 L1 L2 L3 K AK 투입 불능 고장 없이 정차 한 차량은 mcb 재투입 되나 mtar은 mcb 투입불능 m`차가 개방된 경우나 mtar여자차량은 연장급전이 필요
12
연장급전 취급 방법
sivfr여자시는 esps취급하며 기타는 수동으로 ivcn차단하여 mcbos rs 3초 후 mcbcs취급하여 모니터에 송풍기 정지 현시 복구 연장급전시 t1차는 상황에 따라 ess를 1또는 2위치로 전환
13
연장급전 관련 출제 가능한 문제
연장급전 확인방법은 모니터에 차량상태 화면 객실등 반감 상태로 확인 ivcn 차단시 모니터에 나타나는 화면은 siv통신이상 현시 ivcn을 차단하는 이유는 연장급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함
14
전체 판상승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으로는 모니터에 판 하강으로 표시 및 ac등 dc등 소등 전차선 급전 상태 확인 mcb차단 여부 확인 전부 운전실 mcn hcrn차단 여부 확인 전후부 운전실 epands egcs 작동 여부 확인 축전지 전압 74 이상 확인 acm 충기 확인 후부에서 취급
15
판상승 시간 및 하강 시간
상승 시간은 12 +_ 2초 하강 시간은 5+_1초
16
1개 유닛 판 상승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은 mcb양소등 모니터에 판 하강으로 표시 조치는 해당 차량 panvn 차단여부 확인 의자 밑 판 공기관 코크 4개확인 직류구간인 경우 mcbn2 확인 pan V 이전 코크 차단시는 mcb 양소등 pan V와 pan ps 이후 코크 차단 시는 mcb 정상투입
17
전체 mcb 투입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으로는 mcb off등 점등 siv등 소등 판상승 상태 확인 ads정위치 확인 mcbos mcbcs 취급하여 mcbhr작동 음 확인 전부 운전실 hcrn mcn 차단 여부 확인 전 후부 운전실 epands test 스위치 작동 여부 확인 acm 및 주공기 압력 충기 확인 후부에서 취급
18
mcb란? mcb사고차단의 경우
mcb란 교류구간에서 특고압회로에 이상이 발생했을때 신속히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하며 평소에는 개폐기 역할을 함 직류구간에서는 특고압 회로의 개폐기 역할을 함. 사고차단의 경우는 교류 모진으로 arrocr여자시 주변압기 1차측 과전류로 acocr 여자시 주변환장치 중고장으로 mcbor소자시
19
1개 유닛 mcb투입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mcb양소등 모니터에 해당차량 mcb차단 조치로는 adan addn mcbn1 mcbn2 mtbmn mtomn 차단여부 확인 해당차량 cin 차단여부 확인 의자 밑 panV 이전 코크 확인 차체 밑 mcb공기관 코크 확인
20
동력운전 불능 시 조치
급전 및 mcb투입 상태확인 전후진 핸들 전후진위치 확인 주차제동 스위치 및 주공기압력 확인 출입문등 점등상태 및 소등시 후부 dilpn차단 여부 확인 ats atc 관련 회로차단기 확인 관제 승인 후 ats atc 차단 제동핸들 완해 위치에서 2~3초간 동력취급 그래도 안될 시 후부에서 취급
21
1칸 동력 운전 불능시 조치
해당 m`차 cn1 cn3 확인 cn1 전후진 제어 회로차단기 cn2 제동제어 회로차단기 cn3 동력운전제어 회로차단기 파워등, mcb 온오프 등 모두 소등시 후부 plpn 확인
22
비상제동 작동 되는 경우
제동핸들 비상제동 위치시 전후부 운전실 ebs1,2 작동시 bvn1 bvn2 hcrn atcn atcpsn atsn1 차단시 주공기 압력 저하시 atc ats에 의한 비상제동시 dsd작동 시 rsos오조작시 열차 분리시
23
비상제동과 관련있는 회로차단기와 스위치
회로차단기로는 bvn1 bvn2 hcrn atcn atcpsn atsn1 스위치로는 ebs1,2 rsos, 주공기압력 스위치
24
bvn1, bvn2 회로차단기 차단기 복귀 불능 시 조치
관제사 지시로 후부에서 추진 운전
25
bvn1 회로차단기 복귀불능시 조치
ebcos취급하면 비상제동은 완해되나, br여자 불능으로 동력운전 불능, 출입문 취급 불능 제동제어 차단으로 상용제동 불능임
26
비상제동 완해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모니터에 비상제동 동작 현시되고 동력운전 불능 조치로는 원인을 찾아 조치하고 조치 불능시 관제사 보고후 ebcos 취급하고 차장에게 통보 하고 운전
27
ebcos 취급하면 비상제동 완해 되는 경우
전 후부 운전실 ebs1,2 복귀 불능시 전 후부 운전실 rsos 오조작시 dsd불량시 주공기 압력저하시 ebcos 취급시 보안장치나 열차 분리시 제동이 취급되지 않으니 주의해야한다.
28
주공기 압력 상승 불능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비상제동 체결 되고 동력운전 불능 조치로는 모니터로 siv와 cm구동상태확인과 공기누설여부 확인 공기 누설시는 누설되는 공기관을 차단하거나 차사이의 mr코크를 차단 cm 구동 불능시에는 cmcn cmgn을 확인하고 정상일시 판 하강 제동핸들 취거후 10초 후 재기동 계속 복귀불능시 구원을 요구
29
차량간 공기 누설시 조치
누설차간 엠알 코크 2개씩 4개 차단 cm1개 있는 곳 cmcn을 정지하여 동기구동 회로 차단 출입문 쇄정 필요시 dirs투입 차량교환역까지 운행
30
cm 계속 구동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cm이 계속 구동하여 주공기 압력이 9.7이상으로 올라가고 안전변이 분출 조치로는 모니터로 cm구동상태확인하여 cm계속 구동되는 차 cmcn,cmgn을 차단 전체 cm이 구동되면 순차적으로 cmgn을 차단하여 cm이 정지하면 해당 차 cmgn을 차단하고 운전
31
tc차 전면 2지변 이후 주 공기압력 누설 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비상제동 체결 되고 동력운전 불능이며, 조치로는 tc차와 인접 차 사이의 주공기관 코크 차단 전부 tc차 주차제동 강제 완해 승객을 다른차량으로 이동 후 출입문 쇄정 cmcn cmgn차단 cm정지 후부 운전실 ebcos dirs 취급후 추진운전하여 회송조치 pbps mrps 작동 압력은 6~7
32
주차제동 수동완해 방법
주차제동 스위치를 주차위치로 하고 bc전체 완해 코크 차단 전부 대차 2,3위 주차제동 완해고리를 당겨 주차제동 강제완해 bc전체 완해 코크와 주차제동 스위치를 복귀
33
bc전체 완해 코크를 차단하는 이유
공기제동을 완해한 상태에서 주차제동 완해가 가능하고 주차제동 완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때문
34
제동 불완해 시 조치
cprs취급하여 모니터로 해당 차량 제동 완해 확인후 cprs 복귀하고 운전 cprs 취급으로 완해 불능 시 즉시 정차하여 bc전체 완해 코크 차단 제동축 비율에 따라 제한 속도 이하로 운전
35
제동 불완해 관련 문제
bc전체 코크를 차단해도 완해 불능이면 대차 코크를 차단하여 완해하고 그래도 완해 불능이면 관제사에게 차량 상태 통보후 관제 지시를 받고 조치 bc전체 완해코크는 bc전체 완해 코크 1개 대차 코크 전,후부 각각 1개씩 cprs취급시 제동 취급 상태는 상용공기제동 및 비상제동은 작용 불능이고 보안제동은 가능 제동축 비율이란 연결 차량 축수에 대한 제동축 수의 비율
36
보안제동 완해 불능 시 조치
전,후부 보안제동 스위치 작동여부 확인 전 후부 운전실 scbn차단 그래도 완해불능시 각차 bou함 뒤 sbu코크 차단
37
보안제동 체결불능 시 조치
운전실 내 scbn차단 여부 확인 1량일 경우 해당 차량 배전반내 scbn1차단 여부 확인
38
폴트등 및 차측등이 점등되는 경우
cm고장으로 eocr여자시 siv고장으로 sivfr여자시 주변환기 고장으로 cifr여자시 주변압기 계통 고장으로 mtar여자시 교류모진으로 arrocr 여자시 주변압기 1차측 과전류로 acocr여자시 직류구간 L1차단으로 L1fr여자시
39
siv고장시 원인과 현상 조치
원인으로는 siv중고장으로 sivfr 여자시, tc차 t1차 ivcn차단시 m`차 amcn차단시 교류구간에서 주변환기 주변압기 고장으로 siv전원공급 불능시 현상으로는 교류구간에서 ci정지로 송풍기정지 폴트등 차측등 점등 조치로는 차측등 및 모니터로 해당차량 확인후 리셋 취급 복귀불능시 판하강 제동핸들 취거후 10초 후 재기동 그래도 복귀불능시 ivcn차단하고 연장급전 후 리셋 취급
40
siv전원 공급처
교류440:cm,냉난방 cibm flbm mtbm mtom 교류220:객실등,운전실등,행선등,열차번호등 교류100:전조등,제상기,레벨링벨브,각종장치히터 직류100:전조등,객실등,축전지충전,저압제어전원
41
정지위치 지나서 조치 및 폐색 구간 점유 기준
정위치 지나 정차시 차장과 협의하여 정위치 재조정 후 관제사에게 즉시 보고 승강장을 완전히 벗어난 경우 관제사의 퇴행 승인을 받아 차장과 협의하여 정위치 재조정 페색 구간 점유기준은 atc구간은 출발경계표지 ats구간은 출발신호기를 기준으로 한다.
42
ats구간 출발신호기 정지 시 조치
차장에게 안내방송 요청, 출발정지 신호를 관제사에게 통보하여 운전명령번호 수신 제동핸들 4단 이상에서 asos취급 선로 전환기를 확인하면서 열차 후부가 맨 바깥쪽 선로전환기 통과시까지 25이하로 운전 맨바깥쪽 선로전환기부터 다음 신호기 위치까지 열차없음이 확인될 경우 45 이하로 운전하고 그밖에는 25이하루 운전 열차 후부가 맨 바깥쪽 선로전환기를 통과 후 상선 산본역 발차시는 45이하에서 제동 감도 시험 하선 금정열 발차시는 40이하로 운전
43
장시간 단전시 조치
관제사에게 급전시기 및 단전여부 확인하고 차장에게 안내방송요청 구름방지 조치를 하고 tc차 배전반내 eocn 투입 판하강 및 제동핸들 취거 축전지 전압 수시로 확인 필요시 승객 편의를 위해 각 차량 출입문 1개씩 열고 대기
44
단전관련사항
판하강 제동핸들 취거하고 eocn 투입시 현상 객실방공등 4개 점등 열차 무선전화 사용가능 실내 방송및 차내 전화 사용가능 단전후 급전시 os-cs취급이유는 7,8선을 끊어 mcbr2자기 여자 회로를 차단하기 위함 운헝 중 단전시 기관사의 조치 관제사에게 단전여부 및 급전 시기확인, 차장에게 안내방송 요청 무동력으로 최근정거장까지 운행하면서 급전시 os-cs취급하여 mcb투입 회생제동중 단전이 되면 리셋 취급하여 ci인버터 정지를 복귀
45
asos취급 시기
출발신호기 장내신호기 정지신호로 수신호에 따라 운전할 경우 입환신호기 구내 폐색신호기 정지로 정지신호 현시 구간을 넘어서 운전할 경우 r0자동폐색신호기를 넘어서 운전하거나 넘어서 정지한 경우 ats지상자가 고장일 경우 상치신호기 지상자가 설치된 입환신호기나 입환표지의 개통구간을 운전할 경우
46
진료개통표시기 불량시 조치
차내 신호기가 진행을 현시해도 진로개통표시기를 지나 진행 할 수 없고, 진행 수신호 생략승인에 의해 운전
47
직류 전환시 mcb양소등 시 조치
즉시 epands취급, 절연 구간을 40 이하로 통과 최근역 도착해 모니터로 mcb차단 불능 차량 확인후 epands복귀하고 판 상승 판 상승 불능차 mcbn1차단 되었으면 복귀시키고 정상일시 기계적 고착으로 판단 해당차량 완전부동 취급후 연장급전하고 운전
48
교류 전환시 mcb양소등 발생 시 조치
즉시 epands취급 최근 역 정차하여 해당차량 완전부동취급후 연장급전하고 운전
49
교류 모진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dcarr방전하여 전차선단전으로 ac등 소등 모니터에 ac과전류1차 현시 mcb off등 폴트등 차측등 점등 조치로는 즉시 epands취급하여 최근정거장 도착하여 epands복귀 해당 차 완전부동취급하고 연장급전 리셋 취급후 폴트등과 차측등을 소등하고 운전 교류모진 확인 방법으로는 모니터 또는 폴트등 차측등이 점등되나 승객 제보(굉음)에 의해서 확인
50
교직 절환시 mcb on등 계속 점등시 조치
2선단선, hcr(b)접점 불량, mcbhr 트립 코일 불량으로 7,8선이 계속 가압되어 ads를 전환해도 mcb차단이 불능 즉시 epands취급하여 직류전환시에는 40 이하로 교류전환시에는 그대로 운전하여 절연구간 통과 최근 정거장 도착하여 epands복귀하고 판상승 mcb투입하여 전도운전 종착역 도착하여 운전실교환 후에는 후부 운전실 mcn차단하여 전도운전하여 입고조치
51
교직 전환시 조치 관련
절연 구간에서 mcb양소등 되는 경우는 mcb기계적 고착이나 mcbn1차단차량이 있으면 mcb양소등됨. 직류모진이란 직류의 대전류가 주변압기 1차측으로 들어와 주휴즈가 용손되는것을 말함. 직류모진시 작동 기기와 현상 및 조치는 주휴즈 용손으로 60초 후 mcb차단되므로, 최근정거장 도착하여 완전부동 취급후 연장급전하고 운전 주 휴즈 용손 시 현상은 빨간색 단추가 30미리 튀어나와 mtom정지로 60초후 mtoftr이 작동하여 mtar여자 mcb차단됨.
52
epands고착 또는 복귀불능시 조치
전부 운전실 pandn차다하고 관제사 지시로 후부운전실에서 추진운전
53
egcs 고착 또는 복귀 불능 시 조치
전부운전실 pandn차단하고 관제사가 지시하는 역까지 운전
54
임시 신호기 종류
서행예고신호기, 서행신호기, 서행해제신호기
55
임시 신호기 지나 동력운전 시점
atc구간은 전부가 서행해제 신호기에 도달했을때 atc외 구간은 후부가 서행해제 신호기를 지난후 동력운전함.
56
서행예고 신호기 설치지점
지상구간은 서행신호기 전방 400미터 이상 지점에 지하 구간은 서행신호기 전방 200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
57
비상전호 요령
주간에는 두팔을 높이 들거나 녹색기외 것을 급히 휘두르고 야간에는 두팔을 높이 들거나 녹색등외 것을 급히 휘두름.
58
dsd동작되지 않는경우
dsd누르고 있을경우 절연구간에서 dssrr여자시 제동 취급중 elbr여자시 정차중 zvr여자시
59
dsd작동시 현상
5초동안 경고음이 울리고 복귀되지 않을시 emr2를 소자시켜 비상제동이 체결
60
ebcos취급중 dsd동작시 현상
경고음은 계속 울리나 비상제동은 취급되지 않음
61
안산, 과천선 최고 속도
안산선 과천선 최고 속도는 110킬로 이나 adu최고 80모드 현시되므로 80이하로 운전
62
지하 구간 화재 발생 시 조치
관제사에게 화재상황 급보 및 119출동요청 차장에게 안내방송 및 승객 분산조치 최근정거장까지 운행하여 승객 대피후 119와 함께 소화조치
63
출입문 고장에 따른 열차 회송시
마지막 열차 외에는 관제 지시로 회송조치 회송시 승강장 통과 속도는 45이하 한국철도공사 구간은 60이하
64
전체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경우
전부 tc차 crsn확인 atcn,atpsn,bvn1 차단 여부 확인 전부 tc차에서 dos취급해 볼것 관제사 보고 후 후부 운전실 제어대 lsbs on 취급하고 dos취급
65
출입문 양 소등 현상
출입문등과 출입문 차측등이 모두 소등돼 있는 상태
66
전 후부 운전실 dilpn 차단 후 복귀 불능시 현상과 조치
현상으로는 출입문등과 계기등이 소등되고 조치로는 전부 운전실 dilpn복귀 불능 시는 동력 운전이 가능하므로 관제사 지시에 따라 주의운전 후부 운전실 dilpn 복귀 불능 시 및 ds 접점 불량 시는 동력 운전 불능이므로 관제사 승인을 받고 dirs 투입하고 관제사가 지시하는 역까지 주의운전
67
1개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 때 조치
해당 출입문 전자밸브 및 공기관 코크 이물질확인 관제사에게 보고 후 역무원 등 안내원 승차와 dirs 취급 승인을 받고, 승객 분산 조치 출입문 수동 잠금 및 고장 안내문 부착 후 차량 교체 역까지 운전 출입문 수동 잠금 불능 시 회송 조치
68
1개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 때 조치
해당 출입문 전자밸브 및 공기관 코크 확인 관제사에게 보고 및 승객 분산조치 출입문 수동잠금 및 고장 안내문 부착 후 차량 교체 역까지 운전 편성 중 2개 이상 출입문 고장 시 회송
69
전체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 때 조치
dos수회 취급 crsn off 후 on 취급
70
출입문 스위치 기계적 접점
dilp:출입문 7.5미리 이하 닫혔을 때 접촉, 도어등 점등, 동력운전회로 구성 dlp: 출입문 12.5미리 이상 열렸을 때 접촉, 출입문 차측등 점등, 모니터 출입문 열림 표시 dro: 출입문 12.5미리 이상 열렸을 때 접촉, 해당 출입문 재개폐 회로 구성 출입문 제어 공기압력은 5키로 이고, 출입문 코크는 개별 수동 코크 8개 내부 1개 외부2개 총 11개 현재 안전문 오작동으로 dros취급 회로 단선함
71
bvn1 bvn2 hcrn 차단시 조치
ebcos 취급하여도 비상제동 완해 불능이므로 관제사 지시로 추진 운전
72
atc차상 장치 고장 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adu에 스탑신호 현시,경고음이 울리고 비상제동 체결되며, 제동핸들 1~7단 위치에서 경고음 정지 조치로는 과제사에게 보고, 지시를 받아 atccos차단하고 지령운전
73
atc장치 고장시 취급
즉시 정차하여 고장내용을 역장 또는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음 차상장치 고장을 통보받은 관제사는 가장 가까운 정거장까지 지령 운전 지시 지시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차상 장치 고장시는 통신가능 지점까지 확인 운전하고, 지상장치 고장 시는 해당 구간을 확인 운전
74
atc차단하는 경우와 운전 방법
atccos 차단 취급을 하는 경우 atc 차상장치 고장시 대용폐색 방식 시행시 구원운전시 atcn atcpsn 차단되어 복귀 불능시 운전방법 adu에 15모드 현시되고, 8초 알람 경보 울림 관제사가 지정한 정거장까지 지령운전
75
atc구간 지시 속도 초과 시 운전 취급
경고음이 울리고 adu에 지령속도가 깜박이며, 자동으로 atc에 의한 상용 7스텝 제동이 체결 제도핸들을 1~7스텝 위치로 하여 확인 제동 취급하면 경고음이 멈추지만, 지령속도가 이하가 될때까지 adu깜박임은 계속됨. 이때 동력 운전중이면 동력핸들을 off위치 실제 속도가 지시 속도 이하로 되면 제동 핸들을 완해 위치
76
adu 차내 신호기에 정지 신호 현시될 수 있는 경우와 조치
앞서가는 열차에 접금한 경우, 또는 atc지상 장치 고장 등으로 레일에 신호 주파수가 없으면 adu에 스탑 현시되고, atc속도 초과 제동 작용으로 자동 정차된 후 adu에 15모드가 현시 신호 현시를 기다리거나 관제사 승인후, 확인운전
77
vz고장 시 현상
atc정지신호에 의해 정차하면, adu에 15모드 현시 되지 않음 원인으로는 bvn1 atcn atcpsn 차단시 차축에 설치된 속도 발전기 고장시 vz란 열차 정지 상태를 검지하는 계전기로 실제속도 5키로 이하시 여자 되고 atc비상제동으로 정차되면 복귀 역할을 하고 정차 시 출입문 열림 조건이 됨.
78
atc구간 대용 폐색 방식 시행 종류
복선운전시는 지령식 통신식 단선운전시는 지령식 지도통신식
79
ats구간에서 페색힌호기 정지신호일 경우의 운전
신호기 바깥쪽에 일단 정차 후 정지신호 구간을 15키로 이하로 운전 관제사 승인이 있으면 특수 스위치를 취급하고 45키로 이하로 운전
80
ats구간에서 15키로 스위치를 취급하는 경우
r1자동폐색신호기 정지신호를 넘어서 운전하거나, 넘어서 정지한 경우 폐색신호기가 소등된 구간을 운전할 경우
81
atscos 차단 취급을 하는 경우
대용폐색 방식 시행시 구원운전시 ats차상 장치 고장시 ats에 의한 비상제동 완해 불능시
82
과천선 3vf 정동차 panps 압력
4.2~4.4키로로 판 상승 작용
83
bcn과 vn 차단 시 현상
bcn:편성 모두 차단 시 축전지 충전 불능 vn:103선 가압되었으나 축전지 전압계 현시 불능
84
atc차상장치 구성 요소
픽업코일, 속도 발전기, atc rack, adu
85
추가 구성요소 세부
픽업코일: 궤도회로로부터 지령속도 수신 속도 발전기:차축의 회전수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로 실제 운행속도 검지 atc rack: 지령속도와 실제속도를 비교하여 운전 상태 감시 adu: 지령속도와 실제속도 현시
86
열차 화재로 정거장 외에서 승객 대피 시 조치
관제사에게 상황을 급보 교량 또는 터널 내일 때 그바깥까지 운전, 지하 구간은 최근 열 또는 지하 구간 밖으로 운전 열차 정차후 신속한 소화 조치 및 여객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 유도 또는 화재 차량을 격리 조치
87
ats 알람벨이 계속 작동시
atscos 취급 후 비상제동은 완해되나, 알람벨이 계속 작동할 경우 ats함 내 atsn2를 차단 ats 알람벨이 계속 울리고 비상제동이 작동 할 경우 조치 ats함 내 atsn1을 확인하여 복귀 취급
88
전차선 장애로 판파손 시 현상 및 조치
현상으로는 해당 차량 mcb차단으로 mcb양소등, siv점등, 파워등 점등 불능 조치로는 관제사에게 관계 직원 출동 요청하여 파손된 판을 결박조치 해당 차량 완전 부동취급후 연장급전
89
전동 열차 편성 중 5개 차량 제동 불능 시 조치
제동축 비율에 따라 70이하의 속도로 운전
90
축전지 전압이 낮을 경우 acm구동 방법
m`차 한칸만 선택하여 acm을 구동하기 위하여 나머지 차량의 acmn acmkn을 차단 후 acmcs를 취급 acm 구동된 1개 차량의 판상승, mcb투입으로 siv및 cm구동하여 충기된 mr압력으로 나머지 차량을 기동 acm구동 불능 시 현상 및 조치 전체 acm구동 불능 시에는 운전시렝서 acmcs 취급할 때 acm 표시등이 점등되지 않으며, 운전실 hcrn차단 여부를 확인
91
대용 폐색 방식이란
폐색장치의 고장 또는 기타 사유로 상용페색 방식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대용으로 사용하는 폐색 방식 도시철도운전규칙에서는 복선 운전시 지령식 또는 통신식, 단선운전 시 지도통신식 철도 차량운전규칙에서는 통신식, 지도통신식, 지도식, 지령식
92
기관사가 우전실 이석 시 조치
역장 또는 관제사에게 사유 보고 주차제동 체결, 구름방지 조치후 mc키를 휴대하고 운전실 문 쇄정
93
사고시 열차 방호의 종류와 방법
종류로는 열차무선 방호장치 방호 무선전화기방호 열차표지방호 정지수신호방호 방호스위치방호 역구내 신호기 일괄제어 방호 방법으로는 열차의 방호는 지장선로의 앞 뒤 양 쪽에 시행함을 원칙으로하고 열차가 진행하여 오지 않음이 확실한 방향과 무선전화기 방호에 따라 관계 열차에 지장사실을 확실히 통보하 경우에는 정지수신호 방호 또는 열차표지 방호를 생략할 수 있다. 무선전화기 방호 방법은 열차 무선전화 채널을 비상 통화 위치로 이동하고 ㅇ열차 ㅇㅇ~ㅇㅇ역 간 상,하선 무선방호 3~5회 반복 통보
94
임시 신호기 설치 위치
서행예고 신호기: 서행신호기 이전 200미터 지상구간은 400미터 이상에 설치 서행 신호기:지장개소 50미터 이전에 설치 서행 해제 신호기: 지하구간은 50미터+전동차길이 이상에 설치 지상구간은 지장개소 50미터 지난 지점에 설치
95
전부운전실 atcn 트립시 현상
비상제동작동 동력운전 불능 adu무현시 출입문 취급 불능 정차중 dsd누르지 않을 경우 운전자 경계 장치 동작
96
dsd작동하지 않는 경우
정차중 zvr여자 되는 경우 제동 취급으로 elbr여자 되는 경우 절연구간에서 dssrr여자 되는 경우 동력제어기 누르고 있는 경우
97
bvn1,bvn2차단시 현상
비상제동 체결 동력운전 불능 출입문 취급불능 ats, atc 작동 불능
98
dos의 dcs 접점 불량시 조치
dcs접점 불량 방향의 출입문을 연후 dcs 취급하여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 경우 crsn off 후 on 취급 dcs접점 불량 방향으로 승강장이있을 경우 dos취급하여 출입문을 연후 crsn off후 on 취급하여 출입문을 닫을것 관제사 보고 후 지시하는 역까지 운행하고 회송 조치
99
위 표지에 대하여 답하시오
차막이표지-본선 또는 주요한 측선의 끝 지점에 있는 차막이에 설치하며 차량은 이 지점을 넘을 수 없다.
100
위 표지에 대하여 답하시오
차량정지표지-정거장에서 구내 운전 도는 입환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운전 구간의 끝 지점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지점에 설치 차량은 설치 지점 전방에 정차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