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006. 수목병과 진단방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호두나무 탄저병 - DAPI염색법
2
007. 수목병의 병원체 잠복기로 옳지 않은 것은?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2~3개월
3
024. 뿌리썩이선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Meloidogyne속 선충으로 고착성 내부 기생성 선충이다.
4
022. 다음 특징과 관련된 병원균이 일으키는 수목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ㆍ포자를 형성하고 격벽이 없는 다핵균사를 가진다. ㆍ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와 글루칸이고, 키틴을 함유하지 않는다. ㆍ유주포자는 편모를 가진다.
Rhizoctonia solani는 묘목에 피해를 준다.
5
021. 소나무 가지끝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병원균은 Septobasidium bogoriense이다.
6
015. 한국의 참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피해가 심해지면 자낭반이 수피틈을 뚫고 나온다.
7
009. 새로운 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코흐(Koch)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복합감염된 병에는 적용할 수 없다.
8
020. 자주날개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ㄱ. 다범성 병해 ㄴ. 뿌리꼴균사다발 형성 ㄷ. 심재가 먼저 썩고 나중에 변재가 썩음 ㄹ. 균사망이 발달하여 자갈색의 헝겊같은 피막 형성 ㅁ. 6, 7월경에 균사층의 자낭포자가 많이 형성되어 흰가루처럼 보임
ㄱ, ㄹ
9
016. 지의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피에 서식하면서 수목으로부터 양분을 얻는다.
10
018. 곰팡이 병원균의 분류군이 같은 수목병으로 나열한 것은? ㄱ. 소나무 혹병 ㄴ. 편백 가지마름병 ㄷ. 철쭉류 떡병 ㄹ. 배롱나무 흰가루병
ㄱ, ㄷ
11
017. Fusarium속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으로만 나열한 것은? ㄱ. 칠엽수 얼룩무늬병 ㄴ.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 ㄷ. 소나무류 수지궤양병 ㄹ. 소나무류 모잘록병 ㅁ.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ㅂ. 밤나무 가지마름병
ㄷ, ㄹ
12
023. 병 발생에 관여하는 환경 조건 개선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동나무 줄기마름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간벌을 강하게 한다.
13
012. 수목병과 병원균의 구조물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 자낭구
14
001. 표징으로 육안진달할 수 없는 병은?
붉나무 빗자루병
15
002. 산불로 고사한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백색부후균으로 옳은 것은?
한입버섯
16
003. 인공배양이 쉬우며 본래는 부생적으로 생활하는 것이지만, 조건에 따라서는 기생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임의기생체
17
004.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의 표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낭포자
18
005. 세균에 의한 수목병으로 옳은 것은?
감귤 궤양병
19
008. 병원체의 침입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바이러스는 상처나 매개생물 없이 식물체를 직접 침입할 수 있다.
20
010. 파이토플라스마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크기는 바이러스보다 작다.
21
011. 수목 바이러스의 특징과 감염으로 인한 수목의 피해가 옳게 나열된 것은? ㄱ. 절대기생성 a. 물관부 폐쇄 ㄴ. 기주특이성 b. 균핵 형성 ㄷ. DNA로만 구성 c. 잎의 기형 ㄹ. 세포로 구성 d. 모자이크 증상
ㄱ, ㄴ - c, d
22
013. 수목에 발생하는 녹병과 중간 기준의 연결이 옳은 것은?
ㄱ - e
23
014. 수목 바이러스병의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S rDNA 분석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진단
24
019. 수목병의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를 위해 병원균의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다.
25
025. 리지나뿌리썩음병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