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행정경찰장정(1894)이 담당(규정)한 업무?
장정이 소위영감 담당
2
경부로 승격된 시기?
목(경부)에 힘이 빵빵(00)
3
경부체제(1900) 당시의 경찰 체제는?
경부 승격 기념, 경무 감독소에서 감 한 개(씩), 총순에 돌림
4
한국경찰권 상실 과정
취한 사경
5
통감부(1906) 설치 후 실시된 사실상 헌병경찰제에서 헌병이 담당한 업무는?
헌병이 군행사 담당
6
3•1운동 이후 형식적으로는 보통경찰제로 전환한 일제가, 우리나라에서 제정 또는 일본에서 제정 후 우리나라에 적용한 법률은?
정치예
7
일제강점기 경찰의 특징
총제
8
임시정부의 경찰 조직
국대과대, 연통사과
9
임시정부경찰 주요인물 중 나석주
섞은주
10
임시정부경찰 주요인물 중 김석
석포트
11
임시정부경찰 주요인물 중 김용원
이용원
12
임시정부경찰 주요인물 중 김철
철저히 심판
13
미군정 경찰 주요 내용(비경찰화 관련)?
비위생 경고폐지
14
미군정 경찰 주요 내용(조직 관련)?
미국은 여자정보 중시
15
미군정 경찰 주요 내용(악법 폐지 관련)?
정치예보 순으로 폐지
16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안종삼"
종 세번 치고 종례 후 학생들 방면
17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노종해"
부하들 No종해
18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김해수"
김혜수-화력
19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라희봉"
쌍봉
20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최천"
함 안에 최고 품질의 천
21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권영도"
지리산 0°c
22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다부동 전투"
군인은 다 부산으로 이동, 경찰은 다 부동하고 전투
23
정부 수립 후 경찰 중 "장진호 전투"
멀리(함경남도) 간 화랑
24
제2공화국 이후 연도별 주요내용(1969)
69하는 경찰공무원, 'ㅈ'으로 끝나는 계급 신설
25
제2공화국 이후 연도별 주요내용(1974)
영부인 치사 후 격상
26
제2공화국 이후 연도별 주요내용(1991)
경찰 구한 경찰법
27
경찰의 표상 (최규식 경무관, 정종수 경사)
구식 종로, 종-종
28
경찰의 표상 (차일혁 경무관)
헉헉대며 지리산 등반
29
경찰의 표상 (안병하 치안감)
화염병
30
경찰의 표상 (이준규 총경)
목포 주꾸미
31
경찰의 표상 (안맥결 총경)
안맥걸(girl)
32
경찰의 표상 (문형순 경감)
허니문 제주에서 형을 순화시킴
33
경찰의 표상 (최중락 총경)
가운데에서 공정 수사
34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894)
다양하게 구사한 갑오경장
35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895)
내부 구워
36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00)
경부가 빵빵
37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02)
공리는 전국 배우
38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05)
오호 통재라 한성부로 축소
39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06)
육감부부
40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46)
미국처럼 강력한 경무부
41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74)
영부인 치사사건으로 치안본부로 개편
42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1991)
경찰 구한 경찰법
43
갑오개혁 이후 연도별 조직 개편(경찰 본청의 변화 과정)
청부청부 국부국부
44
주요법률 제정 등(1894)
직장 조직, 장정 쓰는법
45
주요법률 제정 등(1907)
공치는 보집 출신법
46
주요법률 제정 등(1919~41)
일구 정치예
47
주요법률 제정 등(1945)
정치예 폐지
48
주요법률 제정 등(1946)
샤방샤방한 여경 채용
49
주요법률 제정 등(1947)
미군정시기 6인 경찰위 설치
50
주요법률 제정 등(1948)
정치예 보 순으로 폐지
51
주요법률 제정 등(1953)
해경직으로 오삼
52
주요법률 제정 등(1969)
69하는 경찰공무원
53
주요법률 제정 등(1996)
꾸룩꾸룩 갈매기 우는 바다로 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