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정처기 실기 이론
  • 제제

  • 問題数 50 • 10/18/2024

    記憶度

    完璧

    7

    覚えた

    19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정보 보안 3대 요소를 쓰시오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 2

    AAA(Triple-A)에 대해 쓰시오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계정관리(Accounting)

  • 3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을 변환하는 함수는?

    해시함수

  • 4

    양방형 암호화 방식에서 비대칭키/공개키의 종류

    RSA, Rabin, Diffie-Hellman, DSA, ECC

  • 5

    대량의 데이터를 한 곳의 서버에 집중적으로 전송하여 표적이 되는 서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서비스 공격 유형은?

    서비스 거부 공격(DOS)

  • 6

    여러 대의 장비에서 한 곳의 서버에 분산 서비스 공격을 수행하는 것은?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 7

    ping 명령을 전송할 때 허용범위 이상의 ICMP 패킷을 전송하여 대상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것은?

    Ping of Death

  • 8

    과도한 ICMP 메시지에 의한 응답 과다로 시스템 에러를 유발하는 것은?

    Ping Flooding

  • 9

    SYN 패킷 신호만 전송하여 각 서버의 가용 사용자 수를 우선점 후 다른 사용자의 서버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SYN Flooding

  • 10

    다량의 UDP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은?

    UDP Flooding

  • 11

    IP/ICMP 특성을 악용하여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한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보내 네트워크를 불능 상태로 만드는 것은?

    Smurf Attack

  • 12

    Fragment number 값을 변형하여 수신 측에서 패킷 조립 시 오류로 인한 과부하로 시스템 다운을 유도하는 것은?

    TearDrop

  • 13

    송/수신 IP 주소를 모두 타겟 IP 주소로 같게 하여 자기 자신에게 무한히 응답하게 하는 공격은?

    LAND Attack

  • 14

    악의적 사용자가 지인/유명인 사칭하여 로그온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신용 정보를 탈취하는 것은?

    Evil twin Attack

  • 15

    위조된 매체 접근 제어(MAC)주소를 지속적으로 보내 스위치 MAC 주소를 혼란시켜 더미 허브처럼 작동하는 것은?

    Switching Jamming

  • 16

    내부->외부로 나가는 패킷은 그대로 통과, 외부->내부로 유입되는 패킷은 인증된 패킷만 통과하는 정보 보안 솔루션은?

    방화벽

  • 17

    웹 기반 공격을 방어하는 목적으로 웹 서버에 특화된 방화벽은?

    웹 방화벽

  • 18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오용/남용 등을 실시간 탐지하는 것은?

    침입 탐지 시스템(IDS)

  • 19

    비정상적 트래픽/패킷을 능동적으로 탐지 및 차단하고 격리하는 것은?

    침입 방지 시스템(IPS)

  • 20

    내부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 사내 직원이 사용하는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탐지/통제하는 것은?

    데이터 유출 방지(DLP)

  • 21

    공중 네크워크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것처럼 하게 하는 것은?

    VPN

  • 22

    상기 보안 솔루션에서 발생한 로그 기록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은?

    ESM

  • 23

    보안 경고의 실시간 분석을 제공하고, 로그 및 이벤트 통합 관리, 빅데이트 기반인 보안 솔루션은?

    SIEM

  • 24

    블랙 클라우드라 불림. GIG 네트워크 우선권에 따라 DISA에서 수행한 작업에서 발전함

    SDP

  • 25

    금융 거래의 이상 거래 탐지 및 차단하는 보안 솔루션은?

    FDS

  • 26

    SW의 위•변조 시 SW 오작동시켜 악용 방지 해시함수, 핑거프린트, 워터마킹 등 보안 요소 생성 후 보호하는 것은?

    템퍼 프루핑

  • 27

    독립적 보안 구역을 따로 두어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은?

    Trust Zone

  • 28

    클라이언트를 대신해서 접속하는 정보 보안 솔루션은?

    Proxy Server

  • 29

    침입 탐지 시스템의 종류를 쓰시오

    HIDS, NIDS

  • 30

    SSH의 포트 번호는?

    22

  • 31

    SSL의 포트 번호는?

    443

  • 32

    IP 네트워크 계층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은?

    IPSec

  • 33

    웹상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하는 것은? 기존 HYTP의 보안을 확장함

    S-HTTP

  • 34

    임시 키 무결성 프로토콜로, WEP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햐 암호 알고리즘의 입력 키 길이를 128비트로 늘린 것은?

    TKIP

  • 35

    정보 보안 프로토콜로 vpn을 구현하는 것은?

    L2TP

  • 36

    정보 보안 프로토콜로 Radius를 사용하는 것은?

    RadSec

  • 37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호 절차와 대책 확보, 조직에 맞는 정보 보호 정책을 수립하고 위험에 상시 대응 가능한 보안 대책 통합 관리는?

    ISMS

  • 38

    유럽의 인증 제도는?

    ITSec

  • 39

    미국의 인증제도는?

    TCSec

  • 40

    인증제도에서 평가 기준 통합은?

    CC

  • 41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Iass

  • 42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플랫폼 제공하는 클라우느 서비스

    Pass

  • 43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Sass

  • 44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Bass

  • 45

    보안 서비스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Secass

  • 46

    스마트폰 없으면 불안함

    노모포비아

  • 47

    금융 기관의 도메인 주소를 중간에 가로채 사용자가 금융기관 사이트에 접속한 듯 착각하게 하여 개인정보 탈취

    파밍

  • 48

    서로 연결된 컴퓨터 간 원격 명령 실행 및 셀 서비스 수행 키를 통한 인증은 클라이언트의 공개키를 서버에 등록해야 함 전송 데이터는 암호화되며, 기본적으로 22번 포트 사용

    SSH

  • 49

    웹 브라우저 <-> 서버 간 안전한 데이터 전송 목적 443번 포트 사용

    SSL

  • 50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개인 정보와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는 보안 프로토콜

    T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