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북한군 공격 시 임무는 과감한 전투행동으로 적의( )를 소멸하는 것이다.
유생역량과 화력기재
2
북한군 중부대에 편성된 ( )과 ( )에 의하여 중대 전반사항이 통제되며 ( )은 중대의 전투근무지원 분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중대장, 정치지도원, 중대사관장
3
북한군 중대부에는 ( )가 편성되어 있지 않으며 소대부에는 ( )이 편성되어 있지 않다.
박격포, 기관총
4
북한군 분대는 ( )명의 편제로 되어있고 한국군과 다르게 ( )과 ( )가 편성되어 있다.
12, 발사관, 저격수
5
북한군 분대는 AK-58 자동보총의 유효사거리는 ( )이며 73년형 기관총의 유효사거리는 ( )이고 분대급 대전차 화기는 (. )이다.
400m, 1000m, 7호발사관 또는 RPG-7
6
북한군 공격작정의 목적은 한국군을 완전히 소멸하고 지대를 점령하는 것이며 소대의 공격정면은 200~250m고 분대의 공격정면은 ( )이다.
60~80m
7
적과 직접 대치한 상황에서 공격 시 야간을 이용하여 은밀하게 점령하고 공격 개시 명령과 함께 최초 기동을 실시하는 부대가 차지하는 진지 ( )이다.
공격출발진지
8
( )란 전투환경에서 시급히 요구되는 임무수행과 적의 기습공격을 격퇴시키기 위해 대기상태에 있는 화기이다.
직일화력기재
9
북한군 소대의 직일화력기재는 ( )이며 분대의 직일화력기재는 자동보총이다.
기관총
10
( )은 공격개시전 적 방어체계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적의 유생역량과 화력기재를 진압 및 소멸하는 전투행동이다.
공격준비타격
11
( )은 다양한 타격수단으로 적의 화점을 파괴 시키거나 진압 및 봉쇄하여 무력화 시키는 전투행동이다.
반화점 투쟁
12
( )는 적의 정면과 익측 또는 배후에서 행동하는 관하부대가 직접적인 화력 연계하에 적을 소멸하는 전투행동이다.
포초
13
( )은 중대장이 선정하고 한국군 방어전단 200~300m 전방에 선정한다
돌격선
14
북한군의 공격진행 절차는 ( ) ( ) ( )이다.
공격출발진지 점령, 포병준비 사격 시 행동, 적 방어전연 돌격
15
북한군 방어작전의 중점은 전술적으로 ( )에 대한 완강한 고수와 ( )을 통해 상실한 ( )를 회복하는 것이다.
유리한 지형, 반돌격, 진지
16
중,소대장의 별도의 사격 지시나 구령이 없어도 모든 화기가 자체적으로 사격이 가능한 중대급 이하 화력체계는 ( )이다.
전면적화력권
17
공격하는 적이 한 곳에 집결하거나 집중적으로 공격할 장소를 고려하여 선정하는 중대급 이하 화력체계는 ( )이다.
집중사격구역
18
( )은 적의 기동을 분산 또는 지연시키고 불리한 지역으로 유도하여 적의 유생역량 및 전투 기재를 파괴시키시 위하여 화력체계와 밀접한 연관하에 운용된다.
차단물
19
북한군의 방어진행 절차는 ( ) ( ) ( ) ( )이다.
적 공격기도 파탄 , 적 공격준비타격 시 행동, 방어전연 접근 및 돌격하는 적 소멸, 방어구역에 침입한 적 소멸 전투
20
( )은 제 1제대 보병이 적 장어진지의 제 ( )에 돌입하는 시간으로 ( ) 이상의 지휘관이 결정한다
<시>시간, 1참호, 사단장
21
다음 그림에 있는 지뢰의 명칭을 작성하시오.
목함지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