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
구라철사금자보 - 율명차용보 (양금의 줄을 의미하는 문자. 율명을 빌림)
2
.
.
3
.
율자보
4
합자보 부호
.
5
.
악장요람의 율자보 , 격도지법과 병용
6
간격보
정간이나 대강의 표시가 없이 음고를 나타내는 문자의 배열 위치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통해 시가 해석을 하는 기보밥
7
약자보(속자보)
공척보에 사용한 10개의 음이름을 간략하게 약자로 나타낸 악보
8
.
협률대성의 시구차용보
9
.
.
10
숫자보
.
11
차용보
기존의 기보 방법이나 문학작품의 일부를 빌려와 새로운 음고 표기의 수단으로 삼은 기보법
12
.
.
13
.
양금신보 육보 합자보 궁상자보 대강보
14
.
가곡원류 편락- 연음표
15
.
.
16
합자보 장단점
장점: 합자보는 혼자서 악보를 보면서 학습하기에 적합(금합자보 서문) 단점: 합자보의 해석이 어렵다, 잔가락을 자세히 나타내기 어렵다, 미세한 연주법의 표현이 어렵다
17
정간보
우물 정자의 간을 질러놓은 다음 그 속에 율저보, 육보, 오음약보등의 기보법을 병용하여 음악의 시가를 분명하게 알 수 있게 만든 기보법이다
18
.
악학궤범 율자보
19
.
졸장만록(졸옹가야금보)-가야금 합자보, 한글 육보
20
.
구라철사금자보의 율명차용보
21
.
융안지악=승안지악, 악학궤범 율자보 단독기보
22
육보
각 악기의 소리를 모방하여 만든 구음 기보법
23
.
이보형소장 양금보의 양금육보- 여민락
24
기타 주법을 나타내는 기보법
.
25
.
금보정선의 공척차용보
26
.
세조실록악보 아악보- 궁상자보
27
.
.
28
육보 장단점
장점: 악기를 배우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음높이와 음색까지도 자연스럽게 습득 가능 단점: 하나의 구음에 두개의 음이 해당될 수 있어서 음높이가 불분명하다 가락이 많은 관악기에는 실제 활용이 쉽지않다
29
궁상자보
7성음계를 사용하여 음의 높낮이를 표시한 기보법이다
30
.
.
31
삼조표
여러가지 부호를 통해 음길이를 표현하는 기보법
32
공척보
12율 4청성을 쉽게 읽을 수 있는 10개의 문자로 줄여서 음의 높낮이를 표시한 기보법
33
궁상자보 장단점
장점: 시작음과 종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상대적인 음의 높이를 알 수 있다 단점: 궁의 음높이를 제시하지 않거나 음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표기가 어렵다
34
기타 주법을 나타내는 기보법3- 격도지법
.
35
율자보 장단점
장점:음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문묘제례악등의 음악에서 손쉽게 12조로 조옮김 할 수 있다. 음길이가 일정한 음악을 기보하는데 편리하다 단점: 곡 전체의 빠르기나 음가를 알 수 없다
36
오음약보
궁을 중심으로 위 아래에 5음을 적어 음높이를 표시하는 기보법
37
.
.
38
기타 주법을 나타내는 기보법4- 수파형악보, 선율선이 나타난 악보
.
39
오음약보 장단점
.
40
공척보 장단점
장점: 기보해야하는 악기나 음악에 따라 한 옥타브 안에 8음만을 사용하는 음악을 기보해야 될 경우에는 율자보에 비해 간편하게 기보가 가능하다 단점: 한 글자에 두 세개의 율이 해당되므로 음높이가 불분명하다 율자보를 알아야 공척보를 알 수 있다
41
부호보
부호로 시가를 나타내는 악보, 점의 형태에 따라 시가가 달라지도록 표기함
42
장단보
악곡의 모든 음에 장구장단 부호를 표기하여 비교적 시가의 해석이 정확함, 아금고보,향률율보등에서 나타남
43
정간보 장단점
장점: 리듬, 음가를 기록할 수 있다 단점: 정간 안에 많은 음을 기보하기 어렵다(->부호를 사용하여 극복)
44
연음표
노래의 사설 옆에 붙어 음높이, 음진행, 요성등의 표현법을 일정한 기호로 표시하는 기보법
45
.
.
46
합자보
거문고의 왼손 짚는 법인 안현법과 오른손의 연주법인 탄법, 또 줄이름, 괘의 순서등을 나타낸 부호나 약자를 모아 만든 기보법
47
대강보
정간보의 기보법형태와 비슷하지만 정간보가 1정간을 1단위로 해석하는 것에 비해 3정간 혹은 2정간을 1대강으로 크게 구분하여 해석하는 기보법
48
합사일상구척공범육오
.
49
.
신제아악보 율자보 공척보
50
.
금합자보
51
기타 주법을 나타내는 기보법2
.
52
연음표 장단점
장점: 노래를 배운사람은 구체적인 악보없이도 가락을 되살려서 노래할 수 있다 단점: 노래를 모르는 사람은 악보만 보고 노래할 수 없다, 정확한 음높이와 시가를 알 수 없다
53
.
동국대소장 가야금보의 가야금 육보
54
.
대악후보 신제아악보- 율자보, 공척보
55
.
역양아운 거문고보- 합자보의 약자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