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병든 식물체 조직의 면적 또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발병도
2
그람음성세균에 해당하는 것은?
벼 흰잎마름병균
3
오이 세균성점무늬병균이 증식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체내 부위는?
유조직의 세포간극
4
사과나무 부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과나무의 가지에 감염되면 사마귀가 형성된다.
5
식물바이러스의 분류 기준이 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세포벽의 구조
6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나무 인근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발병하기 쉽다.
7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병해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경엽처리제 사용
8
국내에서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균핵이 땅 속에 묻혀있다가 25°C 이상의 고온이 되면 발아한다.
9
일반적으로 세균의 플라스미드에 의해 지배되는 형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편모의 구조 결정
10
다음 중 인삼 또는 당근의 뿌리에 혹과 같은 병징을 일으키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뿌리혹선충
11
다음 중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
이상 비후
12
식물병 진단 중 해부학적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유출검사법
13
채소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잎과 줄기를 시들게 만든다.
14
병원균이 기생체 침입 시 균사가 밀집해서 감염욕을 만들어 침입하는 것은?
뽕나무자주날개무늬병
15
수박덩굴쪼김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토양
16
소나무 잎마름병의 병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잎에 띠 모양의 황색 반점이 생기다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반점들은 합쳐진다.
17
자낭균이며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벼 깨씨무늬병
18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궤양
19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은?
바이러스
20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병원균은 주로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
21
병원균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보이는 식물병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22
병원체가 주로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 것은?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23
사과나무 뿌리혹병의 주요 발생 원인은?
세균 감염
24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다.
25
식물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충 중 구침전염형(Stylet-borne) 바이러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진딧물
26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의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약제살포
27
벼 흰잎마름병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조건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뭄
28
하우스 내의 습도가 높을 때 채소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공기전염성 식물병은?
잿빛곰팡이병
29
다음 중 벼 키다리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종자소독
30
다음 중 인삼 또는 당근의 뿌리에 혹과 같은 병징을 일으키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뿌리혹선충
31
다음 중 감자 역병 발병의 최적 환경으로 가장 옳은 것은?
기온이 20°C 내외이고 습기가 많은 곳
32
병원균의 중간기주가 향나무인 병은?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33
식물병 진단 중 해부학적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유출검사법
34
다음 중 소나무 혹병균의 중간기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굴피나무
35
채소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잎과 줄기를 시들게 만든다.
36
진딧물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염되어 발생하는 병은?
오이•배추•순무 모자이크병
37
모과나무 잎에 갈색 별무늬 모양의 원형반점이 나타나고 잎 뒷면 병반에 실같은 털이 나오는 병은?
모과나무 녹병
38
국내 파이토플라스마의 전염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곤충에 의해 전염된다.
39
종자전염성 병원균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오이 흰비단병균
40
감자 잎말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적절한 것은?
바이러스
41
잣나무 잎떨림병균의 월동 장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뭇가지에 붙어있는 병든 잎
42
다음 중 기주체에 침입할 때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Cutinase
43
다음 중 접합균류에 속하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고구마 무름병
44
알코올 냄새로 진단할 수 있는 식물병은?
사과나무 부란병
45
소나무 혹병의 하포자와 동포자의 월동장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졸참나무
46
다음 중 목재를 썩히는 대부분의 목재부후균은 어디에 속하는가?
버섯
47
감자 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마토에도 발생한다.
48
균의 종류에 따른 세포벽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감자 역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갖고 있다.
49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는 식물병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리 북지모자이크병
50
식물병에 걸린 식물에서 보이는 독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병원균이 독소를 분비한다,
51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뽕나무 오갈병
52
난균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균사는 격벽이 있다.
53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자외선 차단 비닐을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은?
잿빛곰팡이병
54
토양 습도가 작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상태보다 건조할 때 잘 발생하는 병은?
오이 덩굴쪼김병
55
TMV로 인하여 발병하는 고추 모자이크병의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살충제로 매개곤충을 제거한다.
56
종자전염성 병원균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오이 흰비단병균
57
ds - RNA의 존재에 따른 저병원성 균주를 이용한 방제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병은?
밤나무 줄기마름병
58
다음 중 병원성이 다른 레이스(race)가 가장 많이 알려진 병원균은?
Puccinia graminis
59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과 관련 있는 용어는?
RFLP
60
곤충의 발육과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발육은 생식의 경우보다 낮은 허용온도 범위를 나타낸다.
61
시든 줄기를 칼로 잘라 깨끗한 물에 담갔을 때 절편에서 흘러나오는 희뿌연 물질을 보고 진단할 수 있는 병은?
토마토 풋마름병
62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의 주요 병징은?
위축
63
수박 탄저병균이 월동하는 장소로 옳지 않은 것은?
곤충의 알
64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하여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로 수간주사를 하려고 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 10L에 약제 200g을 정량한 후 잘 녹여 사용한다.
65
어느 식물이 본질적으로 병에 걸리지 않는 질적인 차이가 있을 때에는 그 병원체에 대하여 ( )이 없다고 한다.
친화성
66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디티아논 수화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67
채소류의 잿빛곰팡이병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물을 밀식하여 웃자람을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