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삼모사
장자
2
호접몽 뜻이 뭔가? 누가만듦?
나비의꿈, 장자
3
무용의 용
장자
4
가난한 것이지 고달픈 것이 아니다
장자
5
군자의 사귐은 물처럼 담담하고 소인의 사귐은 술처럼 달콤하다
장자
6
시비를 따지는 것은 그냥 밝게 비추어주는 것만 못하다
장자
7
자연에 비추어보면 이것도 저것이고, 저것도 이것이다
장자
8
바다에 * 이라는 아주 큰 물고기가 살았다. 이 물고기가 *이라는 새가 되었다.
곤,붕, 대붕도남 (붕이가 대자로 = 커져서, 남쪽으로 당도한다)
9
장자는 ** 사상이라고도 함.
노장사상
10
빈칸에들어갈단어
물화
11
사마천 아버지 이름
사마담
12
*** = 사마천의 아버지가 못 간 축제 이름
봉선제. 봉건제 아니고 봉선제!!!
13
사기> 세가지로 구성됨. 말해봐
본기(본내용+사기의 뒷글자 따서) 세가(세들어 사는 + 가족!) = 제후(왕의가족들)의 역사 열전 (열사들의+전설!)=영웅호걸들. 민중들의 영웅
14
***=역사의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한 역사서
기전체(역사의 사건=기세.) 기세를 전달하듯이 쓴 체
15
보통 사람들은 자기보다 열배 부자에 대해서는 헐뜯고, 백배가 되면 두려워하며, 천배가 되면 그사람의 일을 해주고, 만배가 되면 그의 **가 된다. 이것이 사물의 이치다.
노예
16
관포지교
사기
17
와신상담
사기 와=누워서 담=쓸개즙을 먹는다. 이런 느낌 아무리 어렵고 고난이어도 그냥 참고 있음
18
다다익선
사기
19
토사구팽
사기 토끼가 죽으니 사냥개를 삶아먹더라 아무리 소중한 것이라도 쓸모가 없으면 버려버림
20
배수일전
사기
21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는가?
사기
22
제비와 참새 따위가 어찌 봉황의 뜻을 알겠는가?
사기
23
기속불욕시어인(자신이하기 싫은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어라)
논어
24
학이시습지 불역열호의 뜻은? 어디에 포함?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논어.
25
아는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것, 이것이 진정한 앎이다.
논어
26
옛것을 익히면서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방법은 **으로 삼을만 하다
스승
27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음이 **답지 아니한가
군자
28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며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고 아버지는 아버지 다워야 하며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 라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는? 그리고 어디에 포함되나?
군군신신부부자자, 논어.
29
무위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자연 그 자체. 뭘 따르는게 아니라 그냥 자연 그 자체임
30
무위자연의 의미가 무엇임?
도의 존재를 인정하고 도의 작용과 일체화 되는 것이다. 즉, 자연 이라는게 일체화 라는 의미임. 근데 이때 “도” 와 일체화를 한다. 이거지. 이때, 나는 무위(아무런 의미도 없음) 이기 때문에.. 도의 존재를 인정할 수가 있었다.
31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1. 도덕경에 해당. 2. 의미는, 도라 할수 있는 것은 항상된 도가 아니고(즉, 항상 도가 아니다. 그말인거 같은데. “도”라는 것은 계속 바뀌게 된다. 라는 것!) 이름 부를 수 있는 이름은 항상된 이름이 아니다. (명=이름. 내가 너를 ~로 명한다. 라고 하잖음.)
32
대도가 없어지니 ** 가 있고, 지혜가 나타나니 큰 **도 있게 되었다. 육친이 화목하지 못하므로 효성과 자애가 있게 되고, 국가가 혼란하므로 **이 있게 되었다. > **에 들어갈 단어를 각각 쓰세요. 어디에 해당됨?
인의, 거짓, 충신/도덕경
33
“가장 선한 것은 물과 같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는? 그리고 어디에 포함?
상선약수(가장 “상위”에 있는 “선한것”은 “수”이다.), 도덕경. 도덕경에서는 자연스러운 것을 추구함. 그렇기에 물과 같이 자연스러운 것이 가장 상위에 있는 것이게 됨.
34
낳되 소유하지 않고, 하되 의지하지 않는다. >어디것?
도덕경
35
천리지행 시어족하 = 천리길도 한걸음 부터 시작한다. > 어디것?
도덕경
36
큰 그릇은 느즈막히 이루어진다 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와, 어디의 것인지 말하여라.
대기만성.도덕경
37
노자의 사상은 ** 에게로 이어졌다. **은?
장자. 이것 외에도, 공맹 사상도 존재함
38
한나라 시기때 **로 종교화 되었음 . **은 무엇이며, 무엇이 **으로 종교화 된 것인가? 어떤 시기에 종교화 되었나?
도교. 노자사상이 도교로 종교화 된 것이다. 한나라 시기때 종교화 됨. (하은주+진한 *한나라가 마지막이다.)
39
중국의 본토(토착) 종교의 이름은?
도교
40
인위의 뜻이 무엇인가?
인위적인 행위.
41
도의 존재를 인정하고 도의 작용과 일체화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는?
무위자연. 자연스럽게 일체화 된다. 나는 아무것도 아니므로=무위 이므로. 도의 존재를 인정해서 도와 하나가 된다.
42
중국은 *을 기준으로 글 또는 책의 길이를 판단함. *은?
글자수
43
1973년 후난성 창사에서 한나라 시기의 무덤인 *에서 백서의 도덕경이 출토되었는데, 그 내용은 유사하나 덕경과 도경의 순서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왕퇴.
44
노자의 원래 직업이 뭐였음?
주나라(하.은.주)의 수장실의 관리(역사서 같은거 관리하는 곳)
45
진리의 상대성이란 상황에 따라 진리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
46
노자는 왕실의 서적을 관리하는 수장실의 관리였다.
예
47
삶을 뭔가 의미있게 살기 위해서는 “이해할 수 있는 인간” 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능력을 가진 사람이 되려면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 샤를 드 부엘 역시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이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도구는 * 이라고 하였다.
고전
48
인류의 정신적 발전의 핵심이 되는 종교와 사상이 형성된 시대는 무엇인가?
축의 시대(인류에게 하나의 거대한 “축”이 만들어진 시대이다.)
49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모든 것이 빠른 속도로 소통되고 교환되는 변화의 시대임. 우리는 local 한 차원에서 살아가지만, 우리의 삶은 글로벌한 차원과 연결됨 . 로컬한 현상과 글로벌한 현상이 서로 섞이고 소통되는 현상을 *이라고 한다.
글로컬 현상! (글로벌+로컬)
50
인문학이 왜 필요한가? *을 길러준다
내면의 힘
51
인문학은 *이다.
내면의 힘
52
사회의 격변 속에서도 그 중심은 *이라는 것을 일깨워줌
사람
53
중국의 축의 시대는 춘추전국시대이다. 춘추전국시대에는 많은 제후국들이 서로 쟁탈전을 벌이는 매우 혼란한 시기였다. 이러한 혼란한 상황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회복하고자 많은 사상가와 학파가 형성되었는데 이를 *이라 한다
제자백가
54
*는 중국 주나라 시대 사회질서제도 중 하나로써 하늘이 하늘의 아들인 주왕에게 봉토를 준 것처럼 주왕이 제후에게 영토를 나눠어주고 제후를 세워 통치
봉건제(봉을. 여러명 건설한다. 봉건제!)
55
*는 중국 주나라 시대 사회 질서 제도의 하나로써. 적장자만이 가족, 가문 혈통을 대표할 수 있게 함!
종법제(같은 “종자”=부모 자식 간의 관계 + “법”으로 엮인 관계.)
56
춘추전국시대에는 패권국이 등장하였으나, 패권국의 권위는 인정하였음! 이를 일컫는 말은 *이다.
존왕양이
57
전국시대의 7개 제후국이 패권국이 되기 위해서 쟁탈전 벌임. 이시기 논리는 강자만이 살아남는다는 식의 *엿다
약육강식(약한자 잡아먹히고 강자만 식사할수잇음>강자만살어)
58
*은 깨달음을 구하기위해 참선하는 수행자에게 해결되야 할 과제로 제가되는 부처나조사의 파격적인 문답 또는언행을 의미한다.
공안,화두
59
17-18세기에 중국의 고전이 유럽에 많이 전해짐. 황제 개종시키면>백성들도 믿겟쥐? 라고 생각한거임
탑다운 방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