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대중문화 기말
  • 이현아

  • 問題数 29 • 12/8/2023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2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1970년대 중반 대중음악을 강타한 ‘디스코 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디스코는 미국 사회의 주류층인 백인의 향락적인 정서를 반영한 음악 장르이다.

  • 2

    히피문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제 1차 세계대전 이후에 등장한 청년세대들을 가르키는 용어다.

  • 3

    1960년대 흑인인권운동의 전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마틴 루터 킹 목사는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을 표현하기에 검은 표범이 가장 알맞다”는 전제 하에 ‘흑표당(Black Panther Party)’을 조직했다.

  • 4

    전기기타와 드럼을 사용하면서 포크 스타일을 활용한 일명 ‘포크룩’은 밥 딜런(Bob Dylan)에 대해 포크 추종자들은 ‘포크의 배신자’라고 비난했다.

    O

  • 5

    대중음악을 통해 저항음악의 역사를 새로 쓴 밥 딜런(Bob Dylan)은 2016년 대중가수로서 최초의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X

  • 6

    제 2차 대전 이후 승전국인 영국이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경이로운 고도경제성장을 이룬 데 반해, 전쟁 직후 미국의 경제는 10%의 높은 인플레이션과 찾은 노사갈등으로 인해 경제사정이 전시기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X

  • 7

    다음의 ‘힙스터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스콧 메킨지(Scott McKenzie)가 부른 <샌프란시스코>는 힙스터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곡이다.

  • 8

    레게는 1970년대 뉴옥의 빈민촌인 사우스 브롱크스(South Bronx)에서 탄생한 음악 장르로서,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변두리로 내몰린 하층민들의 삶이 어떻게 저항적 하위문화를 만들어냈는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X

  • 9

    1960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미일안보조약’은 일본 국민들의 바람에 의해 성사된 것이었다.

    X

  • 10

    레게 모자를 구성하고 있는 색깔 중 초록은 에티오피아를, 빨강은 아프리카 흑인의 피와 형제애를, 노랑은 태양을, 검정은 흑인의 피부 색깔을 상징한다.

    O

  • 11

    1950년대 영국의 비행청소년들을 일컫는 용어인 ‘테디 보이(tedy boy)’는 미국의 서부영화 스타일의 패션을 모방하면서 악당처럼 행동했던 영국 10대들의 아메리칸 드림을 표현한 용어이다.

    O

  • 12

    ‘힙합’은 그래피티, 비보잉, 디제잉, 랩으로 구성된다.

    O

  • 13

    한국에서 컬러티비의 전국적인 보급과 전국방송이 시작된 1980년대는 ‘티비의 시대’로의 전환을 알림으로써 쇼 프로그램 피디들이 대중음악계를 좌우하는 막강한 파워를 형성했던 때였다.

    O

  • 14

    흔히 ‘레게 머리’로 불리는 ‘드레드 룩(Dreadlock)’은 과거 아프리카 노예선에 묶인 채 수 개월을 짐승처럼 학대당한 흑인들의 덥수룩한 머리를 보고, 백인들이 ‘끔직하다(dreadful)’이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O

  • 15

    1979년에 집권한 영국의 대처 수상은 대폭적인 정부재정지출 삭감, 공기업 민영화, 규제 완화와 경쟁촉진을 통해 과감한 정책을 펼쳐 ‘철의 여인’이라고 불렸다.

    O

  • 16

    2000년도에 스티븐 달드리(Stephen Daldry) 감독이 제작한 영화 <빌리 엘리어트(Billy Elliot)>는 경제 활성화를 통해 ‘파워에 의한 위대한 미국’의 재건을 목적으로 한 작품이다.

    X

  • 17

    1970년대 영국 펑크문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펑크문화는 비주류의 실패한 삶을 극복하고 백인 중산층의 문화로 편입하기 위한 욕망을 표현하는 데 치중한다.

  • 18

    레게음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레게의 소박하고 원시적인 비트는 여름의 서핑 뮤직이나 댄스뮤직이 되기에 적절한 특징이 되었다.

  • 19

    일본의 ‘전공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일본 국민은 ‘전공투’의 대중운동을 처음부터 끝까지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 20

    동경대 전공투 운동이 ‘대학 해체’를 주장했던 이유는, 동경대가 일본 지성의 중심이 아니라 모순이 가득한 일본 근대사회를 건설한 참모본부였고, 또 베트남과 제3세계를 침략하는 미국 제국주의의 하위 관료 양성소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O

  • 21

    1960년대 일본 ‘전공투’운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972년 ‘아사마 신장 사건’은 전공투 세력의 강인함을 일본 전역에 알림으로써 폭넓은 대중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 22

    일본 포크가수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현재까지 ‘일본 포크의 신’으로 불리고 있는 사람은 ‘오카바야시 노부야스’이다.

    O

  • 23

    1980년대 영국의 ‘대처리즘(Thatcherism)’과 미국의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국가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국민의 복지에 최선을 다한다는 경제 이념이다.

  • 24

    현재 대중소비사회의 유행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고유한 패션과 문화를 추구하는 부류들을 일컫는 ‘힙스터족’은 1960년대 서부 유럽과 미국의 대중문화운동이 광범위한 영향력을 떨치면서 탄생했다.

    O

  • 25

    다음은 ‘비틀즈(The Beatle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비틀즈는 <I Have a Dream>으로 시작하는 연설을 통해 흑인민권운동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인종차별철폐운동에 백인 지식인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 26

    1964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2세는 비틀즈가 제 2차 대전에 영국 군인의 참전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는 공적을 높이 사 ‘대영제국 5등 훈장’을 수여했다.

    X

  • 27

    ‘전공투’란 1960년대 반정부투쟁 시기에 일본의 여러 대학교들이 모여 구성한 학생운동조직을 일컫는다.

    O

  • 28

    제 2차 대전 이후에 탄생한 청년세대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제 2차 대전 직후 새롭게 탄생한 10대(teenager)들은 전후 복구를 위해 성실하고 모범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사회의 주요 주제로 자리 매김했다.

  • 29

    말콤X가 비폭력저항운동을 통해 흑백분리주의에 저항했다면, 보다 과격하고 급진적인 방식으로 흑인민권운동을 주도했던 사람은 마틴루터 킹 목사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