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교원의 적극적 의무 중에서 국가 공무원 중에서도 교육 공무원에만 해당되는 의무를 쓰시오.
교육 및 연구활동의 의무
2
다음의 내용은 교원의 적극적 의무 중 어떤 의무를 위반하고 있는가? * 김 교사는 실험수업 중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 학생들이 화상을 입었다. * 최 교사는 수업 중 수업내용과 무관하게 개인적인 일로 통화를 하였다. * 박 교사는 중간고사에서 과반수 이상을 작년 기출문제와 동일하게 다시 출제하였다.
성실의 의무
3
적극적 의무 4가지를 적으시오.
성실의 의무, 비밀엄수의 의무, 품위유지의 의무, 청렴의 의무
4
공무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해야 한다.
비밀엄수의 의무
5
공무원은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가 손상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품위유지의 의무
6
공무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사례*증여 또는 항응을 주거나 받을 수 없다.
청렴의 의무
7
현대사회에서 교사에게 주어진 권위 3가지 쓰시오.
전문적 권위, 합법적 권위, 방법적 권위
8
현대사회에서 교사에게 주어진 권위이다. 다음의 권위는 어떤 권위인가? * 특정분야에 전문적 지식을 갖는데서 인정되는 권위
전문적 권위
9
현대사회에서 교사에게 주어지는 권리 중 다음은 어떤 권위인가? * 합법적으로 주어지는 권리
합법적 권위
10
현대사회에서 교사에게 주어지는 권위 중 다음의 권리는 무엇인가? * 뛰어난 교육 방법에 능한 것으로 인정되는 권위
방법적 권위
11
교원의 임용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해당되는 것을 쓰시오. A : 교육공무원의 임용은 교원의 인사와 관련하여 ( ),( ),( ) 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신분발생, 신분변경, 신분소멸
12
소극적 의무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
직장이탈 금지 의무, 외국 정부로부터 영예받을 금지 의무, 영리업무 및 겸직 금지 의무, 정치운동 금지 의무, 집단행동 금지 의무
13
승진의 기준 4가지를 쓰시오.
경력평정, 근무성적평정, 연수성적평정, 가산점
14
현행 ‘교육공무원 승진 규정’에 근거할 때, 공립학교 교사의 근무성적 평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에 해당되는 것을 쓰시오. * 근무성적 평정은 ( )과 ( )를(을) 합산한다. * 평정자는 ( ), 확인자는 ( )이다. * 근무성적평정 사항은 ( ),( )으로 구성된다. * ( )의 평정요소 중 가장 큰 점수 배점은 ( )이다.
근무성적평정(60점), 다면평가(40점), 원감(교감), 원장(교장), 근무 수행 태도, 근무 실적 및 수행 능력, 근무 실적 및 수행 능력, 학습지도
15
근무성적평정 특징
학습지도(40), 생활지도(30), 담당업무(15), 전문성신장(5)
16
동일한 직위와 자격 안에서 근무 기관이나 부서를 달리 하는 임용
전보
17
교육공무원의 종류와 자격을 달리하는 임용/직렬을 달리하는 임용
전직
18
전보의 개념을 적으시오.
동일한 직위와 자격 안에서 근무 기관이나 부서를 달리하는 임용
19
전직의 개념을 적으시오.
교육공무원의 종류와 자격을 달리하는 임용 / 직렬을 달리하는 임용
20
교육청 중등교육과정(장학관)이 A 중학교의 교장으로 부임하였다. 이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전직
21
이전 교장은 인근 고등학교로 이동하였다. 이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전보
22
관내 초등학교 교사가 A 중학교 국어교사로 부임하였다. 이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전직
23
이전 국어교사는 교육청 장학사로 이동하였다. 이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전직
24
교육청 중등교육과장(장학관)에는 교육 연수원에 근무하던 교육연구관이 임용되었다.
전직
25
휴직 중 봉급이 지급되는 3가지를 적으시오
질병휴직, 노조전임자 휴직, 유학휴직
26
청원휴직 중 본인이 원하면 휴직을 명해야 하는 경우를 적으시오.
육아휴직, 입양휴직, 불임*난임치료 휴직
27
다음은 어떤 휴직에 해당하는지 쓰시오. * 신체적*정신상의 장애로 장기요양이 필요할 때 * 병역법에 따른 병역 복무를 위하여 징집되거나 소집된 경우 * 천재지변이나 전시*사변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생사나 소재를 알 수 없게 된 경우 * 그 밖에 법률에 따른 의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직무를 이탈하게 된 경우 * 노동조합 전임자로 종사하게 된 경우
질병휴직, 병역휴직, 생사불명 휴직, 법정 의무 수행 휴직, 노조전임자 휴직
28
월급 지급하는 휴직 2가지를 쓰시오.
유학휴직, 질병휴직
29
휴가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
30
연가일수_재직기간에 따른 일수
근속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1개월~1년 미만 : 11일, 1년~2년 미만 : 12일, 2년~3년 미만 : 14일, 3년~4년 미만 : 15일, 4년~5년 미만 : 17일, 5년~6년 미만 : 20일, 6년 이상 : 21일
31
다음 중 빈칸을 채우시오. * 일반 병가 : ( )일 * 공무상 병가 : ( )일 * 의사의 진단서 첨부되는 경우 : ( )
연 누계 60, 연 누계 180, 계속해서 7일 이상
32
특별휴가 일수 1가지를 쓰시오.
출산휴가
33
본인 출산 시 출산 전 후 ( )일, 출산 후 ( )일 이상 배우자 출산 ( )일
90, 45, 10
34
권력의 개념을 적으시오.
말, 지시, 명령을 내려서 자신에게 따르게 하는 힘
35
권위의 개념을 적으시오.
합법적이고 정당한 권력을 행사하는 것
36
복직의 종류 3가지를 적으시오.
휴직, 직위해제, 정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