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봉오동 전투 이후 일본이 훈춘 사건을 구실로 일본군을 만주에 투입했다.
O
2
1920년, 청산리 전투 이후 일제가 독립군 근거지 소탕을 명분으로 간도 참변을 일으켰다.
O
3
3부 통합 운동은 이념과 정파의 차이를 존중해 3부의 독립을 주장한 운동이다.
X
4
의열단은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을 행동 지침으로 작성했다.
X
5
한인애국단의 대표적 인물은 이봉창, 윤봉길이다.
O
6
일제는 문화 통치의 일환으로 헌병경찰제를 시행했다.
X
7
일본은 조선을 일본의 쌀 공급 기지로 만들기 위해 산미 증식 계획을 시행하였다.
O
8
일제는 민족주의자를 탄압하기 위해 치안유지법을 만들었다.
X
9
1920년대 이후 민족주의 세력 일부는 정치적 실력 양성을 위해 자치론을 주장하였다.
O
10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은 일제가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자 불만이 무마되었다.
O
11
1926년 사회주의 진영이 정우회 선언을 통해 민족주의와의 연대를 주장하였다.
O
12
신간회는 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연합하여 결성하였다.
X
13
소수의 지주에게 토지가 집중되자 농민들은 애국반을 결성하여 저항하였다.
X
14
노동 운동의 대표적 운동에는 원산 총파업이 있다.
O
15
천도교, 조선 공산당, 학생 대표들은 순종의 인산일인 6월 10일에 만세 운동을 기획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었다.
X
16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학우회의 후원을 받았다.
X
17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 지속되자 조선형평사를 조직하였다.
O
18
신간회가 결성되자 여성들은 이념을 초월한 전국적 여성 조직의 필요성을 느껴 근우회를 조직하였다.
O
19
일제는 중일 전쟁 이후에 만주 사변을 일으켜 만주국을 수립하였다.
X
20
중일전쟁 이후 일제는 한국을 군수 문자를 생산하는 병참기지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O
21
일제는 애국반을 만들어 한국인의 일상을 감시하였다.
O
22
일제는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여 노동력을 동원하고 착취하였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