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제시된 것들이 공통점은?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항국의상징
2
태극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태극 문양이 중앙에 있고, 주변에 검정색의 4과가 있다
3
한국의 국화와 국가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가 문장은 무궁화와 태극기 모양을 기초로 만들어졌다.
4
다음은 한국의 국가인 애국가의 일부이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은?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무궁화
5
다음 중 아래 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대한민국 고유 문자인 한글은 1443년 조선의 세종대왕이 만들었다. 한글의 자음은 혀, 목, 입술 등 발음기관의 모양을 모음은 하늘( .), 땅(_),사람(|)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자음(14개)과 모음(10개) 모두 24개의 문자를 조합하여 모든 글자를 만들 수 있다. 세종대왕이 학자들과 함께 만든 책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을 만든 목적이 글을 읽을 줄 모르는 백성이 쉽제 배워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드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만들어진 날을 기념하여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도 이 책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였고 세계 곳곳에서 문맹을 없에는 데 공이 큰 사람이나 단체에게 '세종대왕상' 이라는 이름의 상을 주고 있다.
훈민중음 해례분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6
한국의 국경일 중 국가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 분들을 기리는 날은?
현충일
7
다음 중 아래 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과거에는 결혼 후에도 부모와 같이 사는 자녀가 많아 조부모, 부모, 자녀 등 여리 세대의 가족이 같이모여 사는 [ 가 ] 형태가 일반적이였다. 그러나 산업화가 되고, 결혼한 자녀가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크게 줄면서, 부모와 미혼 자녀가 함께 사는 [ 나 ]의 모습을 주로볼수 있다.
확대가족, 핵가족
8
한국 가족 형태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결혼한 자녀들이 부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크게 줄었다.
9
한국 가족 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효 사상과 유교의 영향을 받았다
1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한국에서는 가족관계에서 서로를 부르는[ ]이 있다. 부부 간에는 주로 '여보', '당신'이라고 부르거나 아이가 있을 경우 아이의 이름을 사용하여 'OO 아빠, 'O0엄마' 라고 부르기도 한다.
호칭
11
다음 중 아래 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배우자의 부모님은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는데 다른 사람 앞에서 배우자의 부모님을 지칭할 때는 아내는 남편의 부모님을 '시아버지', '시어머니'라고 하고 남편은 아내의 부모님을 '장인어른', 장모님'이라고 부른다. 시부모는 아직 아이를 낳지 않은 며느리를 보통 '(새)아가' 라고 부른다. 아이를 낳고 나면 며느리를 '어멈아', 아들을 '애비야'라고도 부른다. 아내의 부모는 사위를 부를 때 사위의 성을 앞에 붙여서 '○서방' 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사위가박 씨이면, '박서방'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양성평등의 정신을 더옥 잘 실현하기 위해 아내의 가족과 남편의 가죽에 대한 호칭 구분을 없애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아내의 가족과 남편 가족의 호칭을 구분하지 말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12
나의 여동생의 자녀와 내 자녀는 몇 촌인가?
4촌
13
한국에서 사람들이 직업을 갖고 일을 하는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학 진학을 위해
14
한국의일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근무 기간이나 근무 함경이 안정적 인일터를 선호하는 편이다.
15
<보기>의 (가), (나)에 들어갈 용어로 적절한 것은? 대부분의 한국 직장에서는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일하는 [ ]가 적용되지만 일터의 특성상 주말에 일을 해야 하는 경우는 평일에 쉬기도 한다. 경찰서, 소방서, 병원, 공항 등 서비스가 24시간 요지 되어야 하는 곳에서는 직원 들이 번갈아 가며 근무하는 [ ]를한다.
주5일제, 교대 근무
16
한국 여성의 경제 활동 관련 설명으로 옳은 것은?
출산과 양육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지행되고있다.
17
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칼 말은? 한국에서는 근무를 마친 후에 종종 회사 직원들끼리 식사하는 [ ]을/를 한다. 회사 직원들끼리 진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또는 축하나 위로를 받아야 할 직장 동료가 있을때 [ ]을/를 주로하는 편이다.
회식
1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회식 하는 날에는 직원들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하며 이야기하느라 회식이 밤늦게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일과 삶의 균형을 추간하는 문화, 개인의 의사를 존중하는 문화가 확사되면서 [ ]. 회식을 하더라도 술이나 식사 대신 직장 동료들과 함께 영화나 공연, 스포츠를 즐기는 등 모두가 참여해서 즐길 수 있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다.
회식의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19
한국 주거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인 가구, 2인 가구가 늘면서 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2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단독 주택은 보통 한 가구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집을 한 채씩 각각 지은 형태를 말한다. 단독 주택에는 여러 가구가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을 차지하며 살 수 있도록 지은 [ ]도 포함된다.
다가구 주택
21
고속도로나 시내 도로에서 버스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정해 버스가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버스전용차로제
22
다음 중 아래 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피 싱(Phishing)이란 개인정보(Private Data)를 낚는대 (Fishing)라는 의미를 가진 말로 전화, 문자, 메신저, 가짜사이트 등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알아낸 후 현금을 빼 가는 것을 말한다.이 중 전화를 이용한 것은 보이스 피싱(Voicephishing)이라고 하며, 문자 메시지(sms)를 통해 악성 앱을 설치하여 현금을 빼 가는 것은 스미싱(Smishing)이라고 한다. 악성 앱 설치가 의심되면 먼저 모바일 백신으로 악성 앱을 삭제하고 이동통신사에 모바일 결제 내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KISA 개인정보칩해 신고센터 (국번없이 118)에 신고한다.
피싱 피해가 발생하면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에 신고한다.
23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체증,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 ]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는 무인대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자전거
24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는 제도로 보기 어려운 것은?,
주5일 근무제도
25
한국의 교통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종교통 요금은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지봉한다.
26
다음에 제시된 것들의 공통점은? •우편 •전화 •인터넷
통신 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