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종자 정선 방법으로 풍선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수종은?
밤나무
2
덩굴식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글라신액제는 2~3월 또는 10~11월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어린나무 가꾸기의 1차 작업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풀베기가 끝난 3~5년 후
4
임목 간 식재 밀도를 조절하기 위한 벌채 방법에 속하는 것은?
간벌작업
5
대목의 수피에 T자형으로 칼자국을 내고 그 안에 접아를 넣어 접목하는 방법은?
눈접
6
일정한 면적에 직사각형 식재를 할 때 소요묘목수 계산식은?
조림지면적 / (묘간거리X줄 사이의 거리)
7
용재 생산목적 수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느티나무
8
지력이 좋고 수분이 많아 잡초가 무성하고 기후가 온난하며, 주로 소나무 조림지에 적합한 풀베기 방법은?
모두베기
9
종자의 발아력 조사에 쓰이는 약제는?
테트라졸륨
10
늦은 가을철 묘목가식을 할 때 묘목의 끝 방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남쪽
11
묘포 상에서 해가림이 필요없는 수종은?
사시나무
12
파종상에서 2년, 그 뒤 판갈이 상에서 1년을 지낸 3년생 묘목의 표시 방법은?
2 - 1 묘
13
다음 중 조림목의 보육을 위한 풀베기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골라베기
14
파종상을 만든 후 모판에 롤러로 흙의 입자와 입자가 밀착되도록 다짐작업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땅속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15
다음 중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줄기의 껍질을 환상으로 박피한다.
16
다음 중 산벌작업의 주된 목적은?
천연갱신
17
예비벌 - 하종벌 - 후벌의 순서로 시행되는 작업종은?
산벌작업
18
다음 중 임지의 보호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지 표면의 낙엽과 가지를 모두 제거한다.
19
다음 중 콩과식물의 비료목이 아닌 것은?
붉나무, 누리장나무
20
묘포설계 구획 시에 시설부지, 주•부도 및 보도를 제외한 묘목을 양성하는 포지는 전체면적의 몇%가 적합한가?
60~70
21
택벌림에서 가장 많은 본수의 경급은?
소경급
22
풀베기 작업을 1년에 2회 실시하려 할 때 가장 알맞은 시기는?
6월과 8월
23
어린나무가꾸기 작업 시 맹아력이 왕성한 활엽수종에 가장 적합한 작업방법은?
수간을 지상 1m정도 높이에서 절단한다.
24
다음 중 인공조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그곳의 환경에 적응 되어 견디어 내는 힘이 강하다.
25
10ha의 산림에 묘목을 2m 간격으로 정방형 식재하려면 최소 몇 주의 묘목이 필요한가?
25000주
26
해충 중 소나무의 새순에 기생하여 양분을 빨아먹음으로써 수세를 약화시켜 새로운 순을 말라 죽이는 것은?
소나무가루깍지벌레
27
다음 중 25%의 살균제 100cc를 0.05%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cc)은? (단 농약의 비중은 1이다.)
49900
28
산불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3~5월
29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식해하는 해충은?
오리나무잎벌레
30
칡과 같은 만경류를 제거하는 방법이 잘못된 것은?
글라신액제 처리 시기는 칡의 경우 농번기를 피하며 겨울 또는 봄에 실시한다.
31
다음 중 보르도액의 조절절차가 틀린 것은?
보르도액의 조제 시 황산구리는 양철통을 사용한다.
32
도시의 공원이나 가로수에서 나타나는 수목피해의 원인으로 틀린것은?
자연유기물비료 과다공급
33
해충의 직접적인 구제방법 중 기계적방제법에 속하지 않은 것은?
냉각법
34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이 수목에 기생한 후 그 분비물 위에 번식하여 나무의 잎, 가지, 줄기가 검게 보이는 병은?
그을음병
35
다음 중 비생물적 병원인 것은?
공장폐수
36
묘포장에서 많이 발생하는 모작록병의 방제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질수질비료를 많이 준다.
37
유아등으로 등화유살 할 수 있는 해충은?
어스렝이나방
38
다음 해충 중 수피 틈이나 지피물 밑에서 제 5령 유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솔나방
39
다음 중 살충제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천적류는 접촉제보다 소화중독제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는다.
40
농약의 형태에 대한 영어표기 중 EC가 뜻하는 것은?
유제
41
노동강도의 경중은 에너지대사율로 표시하는데 다음 중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RMR
42
벌목작업 시 안전작업 방법으로 설명이 올바른 것은?
벌목구역은 벌채목이 넘어가는 구역이다.
43
기계톱 기화기의 벤트리관으로 유입된 연료량은 무엇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가?
고속조정나사와 공전조정나사
44
산림작업도구인 각식재용 양날괭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도끼날 부분은 나무를 자르는 것으로만 사용한다.
45
가선집재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른 집재방법보다 작업원에 대한 기술적 요구도가 낮다.
46
46번문제 그림
그림
47
실린더 속에서 가스가 압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압축비의 공식으로 적합한 것은?
압축비 = (연료실용적 + 행정용적) / 연소실용적
48
기계톱의 엔진 과열현상이 일어나 수 있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클러치의 측면마모
49
내연기관에서 연접봉의 역할은?
크랭크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50
2행정 기관은 크랭크축이 1회전할 때마다 몇회 폭발하는가?
1회
51
라이싱거 듀랄은 무엇에 사용되는 도구인가?
원형 기계톱 사용 시 기계톱이 목재사이에 끼었을 때 사용하는 쐐기의 일종이다.
52
다음 중 반끌형 톱날의 연마각도로 맞는 것은?
창날각 : 35º
53
예불기 작업 시 작업자 상호간의 최소 안전거리는 몇 m 이상이 적합한가?
10m
54
산림작업으로 인한 피로의 회복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수영, 축구, 격투기 등의 운동을 할 것
55
다음 중 도끼자루로 가장 적합한 나무는?
물푸레나무
56
다음 중 체인톱의 안전장치에 속하지 않은 것은?
카브레이터
57
2행정 내연기관에서 외부의 공기가 크랭크실로 유입되는 원리는?
크랭크실과 외부와의 기압차
58
다음 중 산림작업이 어려운 이유가 아닌 것은?
비, 바람 등과 가은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는다.
59
체인톱의 주간정비사항으로만 조합된 것은?
스파크플러그 청소 및 간극 조정
60
예불기 사용 시 올바른 자세와 작업방법이 아닌 것은?
항상 오른쪽 발을 앞으로 하고 전진할 때는 왼쪽 발을 먼저 앞으로 이동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