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식물생리학
  • ­이정민 / 학생 / 생물교육과

  • 問題数 40 • 6/20/2024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자가수정 방지

    자웅이숙 자웅이주 꽃의 단성현상( 꽃이 암술이나 수술만 보유) 자가불화합성

  • 2

    열매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가

    우선 씨방벽이 과피가 됨. 주피가 종피가 되고. 밑씨가 종자가 됨

  • 3

    코르크 형성층

    코르크형성층은 뿌리의 경우 내초에서 줄기는 피층에서 유래한다. 수피는 2기체관부까지 주피는 코르크층까지

  • 4

    상배축 중배축 하배축

    유아 위 잎을 상배축 유아부터 떡잎까지 중배축 떡잎 밑이 하배축. 뿌리부는 원근층이라고함

  • 5

    줄기 경단 분열조직

    중앙대라고 하는 액포화된 세포덩어리 밑 수상분열조직에서 분열 발생. 엽원기에 옥신 투여시 관다발이 생긴다

  • 6

    물의 수송

    내피에 카스파리대있어 일단 내피까지 아포플라스트(세포벽과 세포 사이의 공극) 심플라스트 막횡단 경로 있다. 이후 수베린 있는 카스파리대 통과 참고로 물 흡수 원동력은 무기 이온을 물관부로 계속 능동 수송 하기 때문이다. 근압이 형성되는데 유리하려면 일단 물이 많아야해서 증산 작용이 적거나 토양의 수분 퍼텐셜이 높으면 잘 형성

  • 7

    물 흡수 수송중 퍼텐셜

    압력퍼텐셜은 토양 뿌리 잎 순으로 점차 낮아지고 삼투 퍼텐셜도 마찬가지임. 삼투퍼텐셜이 낮아지는 이유는 뿌리에서 물관쪽으로 이온을 능동수송 하기 때문이겠지요

  • 8

    체관 세포와 동반세포 왜 있어야해

    체관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활면소포체를 제외한 세포소기관이 없어서

  • 9

    표피

    표피는 잎에서는 큐티클 기공있고 엽록체 없다 뿌리에서는 큐티클 기공 모두없다 참고로 표피는 원래 광합성 못하는데 기공세포만가능하다

  • 10

    기공열림 파트 헷갈리는거 정리

    1. trans가 cis가 되어서 제아크산틴이 활성화된다. 2. 수소랑 cl이 2차능동수송된다 이후 칼륨이 따라들어옴 수동수송 마그네슘이온이 염소 유입 후 탈출함 3. 말산이랑 설탕이 생성되는데 모두 녹말로부터이다. 말산은 전하를 맞추려고 생성되며 액포에 저장된다.

  • 11

    푸지콕신 바나드산염 dtt

    1. 수소펌프 활성 2. 수소펌프 억제 3. 제아크산틴 억제

  • 12

    2기 생장을 주도하는 것은?

    코르크형성층과 관다발형성층에 해당되는 측재분열조직이다. 1기생장은 정단분열조직에서 유래한 전형성층 기본분열조직 원표피이다

  • 13

    옥신

    옥신은 당연하게도 정단부에서생성되어 밑으로 내려간다. 단 이건 중력에 의한 극성수송이 아니다. pin에 의한것 옥신은 엽원기의 생성과 초기 관다발 형성을 촉진한다. 또한 열매의 종자외에 다른부분에서도 나와서 열매의 성숙을 매개한다.

  • 14

    옥신의 비극성 수송

    옥신은 체관부를 통해 비극성으로 수송된다. 주로 줄기정단에서 뿌리로 수송될 때 aux1에 의해 수소이온과 공동수송되거나 p당단백질에 의해 옥신을 세포 밖으로 능동수송한다.

  • 15

    옥신은 뿌리로 수송될때 체관을 통해 소송된 후 피층으로 올라가는데 이때는 미세섬유를 이용한다. 참고로 pin도 미세섬유를 타고 던시되므로 시토칼라신d에 의해 옥신 수송이 저해될 수 있다

    .

  • 16

    사이토키닌

    사이토키닌은 아데닌 유도체로써 물관을 통해서만 수송된다. 일단 세포분열 촉진의 대표 주자이다. 두번째로 줄기분화와 곁눈 생장을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사이토키닌은 양분을 수용조직으로 이동하도록 촉진한다

  • 17

    Aba

    얘는 물관 체관 다 이동가능 수분스트레스시 기공 닫힘과 종자휴면에 관여. 또 뿌리생장을 촉진 줄기생장은 억제 aba는 건조스트레스시 에틸렌 억제

  • 18

    에틸렌

    메싸이오닌 유래 휘발성 기체 1. 삼중반응 : 생장억제 하배축의 비대 정단훅 2. 호흡급등현상 3. 기관탈리 및 상편생장 4. 침수스트레스시 줄기를 신장시키고 aba억제 aba는 반대로 건조시 뿌리 신장 줄기억제 에틸렌은 엽록소를 파괴해서 노화를 촉진

  • 19

    휴면타파시 피토크롬

    피토크롬은 활성화되면 에틸렌 생성을 억제하여 정단훅을 펴게된다. 또한 종자가 물에 적셔지게 되면 배에서 지베렐린이 생성되어 휴면을 타파한다

  • 20

    피토크롬

    피토크롬응 색소체에서 합성된다. 색소체에서 만들어진 색소포에 단백질이 붙은 형태로 이량체이다. 종류는 abcde 이거는 이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a의 경우 주변 광량이 그정도 많지 않을 때 나머지는 광량이 많을때 쓰인다 피토크롬은 음지회피반응에 관여한다. 이때 옥신과 br의 합성을 줄여 줄기신장을 줄여서 양지에 머무르게한다

  • 21

    화성소

    동반세포에서 co ft모두생성 이후 ft는 체관을 통해 정단분열조직에 도착. 여기서 꽃분열 조직형성 ap1 leafy발현 이때 flc는 이과정을 저해하는데 춘화처리시 문제 없음. 지베렐린은 leafy촉진

  • 22

    익스팬신

    셀룰로오스 사이의 수소결합을 끊어주는 역할

  • 23

    음지회피반응에서 줄기 성장을 일으키는 건 뭐야

    pif에의해 전사된 유전자들이라고는 하나 옥신과 브라시노스테로이드가 포함된다

  • 24

    피토크롬과 발아

    발아시 피토크롬이 pfr이 되면 얘가 지베렐린의 생합성을 촉진한다. 이후는 뭐 ga가 가서 della 분해 gamyb a amilase

  • 25

    리소좀

    1차리소좀은 엔도좀 또는 자가포식소체와 만나서 2차리소좀이 된다. 리소좀관련병 1. i세포병 만노오스 6인산 표지이상 2. 폼페병 글리코젠 분해효소 없어서 리소좀 파괴 3. 테이삭스병 헥소사미니데이즈a없어서 강들리오시드 축적에 의한 파괴

  • 26

    미토콘드리아

    막사이공간 있고 이중막 구조 크리스타보유 핵양체 있고 원형 디엔에이 보유 70리보솜 보유 rtm rna모두 생성 가능

  • 27

    Abc

    a랑 c는 서로를 억제하는 관계다

  • 28

    하배축

    떡잎 밑 하배축 떡잎과 자엽초 사이 중배축 하배축 밑에 원근층은 근단분열조직을 구성한다

  • 29

    피토크롬과 발아

    피토크롬이 활성화되면 aba와 ga의 농도이 따라 민감도가 달라져서ㅜ발아가 된다. 발아 후 에틸렌을 저해하여 정단훅을 편가

  • 30

    벼과의 표피

    일부 벼과표피세포가 특이하게 리그닌화되어있다. 뿌리의 표피는 기공이나 큐티클이 없어서 영양분 흡수와 수분 손실으루막는다

  • 31

    체관요소

    체관요소는 핵과 엽록체, 조면소포체 없으므로 동반세포에 의존한다. p단백질과 칼로스에 의해 개폐가 조절된다 물관세포는 유세포가 분화한것이다.

  • 32

    줄기

    중앙대와 주변대로 구성. 중앙대 밑의 수상분열조직을 통해 분열이 일어난다. 줄기는 피층에서 코르크형성층이 만들어진다. 수피는 2기체관부부터 바깥쪽임

  • 33

    에틸렌과 옥신

    에틸렌과 옥신은 상호저해 관계이다. 에틸렌은 옥신을 저해해 성장을 저해하는데 이로 인해 정단후크가 유지된다. 탈리시에는 옥신이 에틸렌을 저해하여 탈리가 억제된다. 열매 성숙시 셀룰레이스는 에틸렌에 의해 만들어진다

  • 34

    노화촉진 호르몬

    에틸렌 br aba br은 잎의탈리는 저해시키지만 노화는 촉진한다.

  • 35

    피토크롬의 구조

    폴리펩타이드에 색소포가 결합. 색소포는 활성형이 되면 떨어져나가면서 펩타이드의 nls서열이 노출되어 핵으로 들어가 활성된다. 피토크롬은 색소체에서 합성되어 세포질에 존재한다

  • 36

    자귀나무속

    안쪽 세포는 크립토크롬에 의해 바깥쪽 세포는 피토크롬에 의해 안쪽은 낮에 수소펌프 활성 따라서 kcl유입으로 팽창 바깥쪽은 밤에수소펌프활성 따라서 kcl유입으로 팽창. 이 경우 식물의 잎이 닫힌다

  • 37

    높은열에소 엽록체는 아이소프렌구조의 지질을 합성하여 견딘다. 침수시 산소고갈이슈로 ,에틸렌에 의한 줄기생장과 통기조직 발달 수분스트레스시 aba에 의해 기공닫힘및 뿌리 발달 또 잎을 탈리시키거나 경계층저항을 높이고 엽모가 발달한다

    .

  • 38

    피토크롬의 자세한 구조

    색소포는 엽록체에서 헴기로부터 생성된다. 단백질은 세포질에서 합성되고 이후 두개가 세포질에서 합쳐진다. 색소포가 빛을 받으면 단완을 들게 하고 nls가 노출된다

  • 39

    자귀나무속의 수면운동

    걍쉬운거네. 낮에는 적색광많지 pfr많지 그러면 안쪽 운동세포ht atpase가 활성화됨. 밤에는 근적외광 많지 그러면 바깥쪽 h atpase활성화됨 끝.

  • 40

    작동자는 prr을 무력화하고 avr gene으로 작용한다. 얘는 r ptn에 결합해서 핵으로 이동시켜 여러 유전자를 발현한다. 그 결과 전신획득저항과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Pr단백질 후천성 항진균제 피토알렉신 선천성 항생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