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해부학6(조직학2 + 발생학-2021 + 2019 빠진문제)
  • Алексей

  • 問題数 43 • 9/13/2023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다음은 위샘 모식도에서 조혈에 필요한 비타민의 흡수에 필수적인 인자를 분비하는 부위는?

    B

  • 2

    이자의 내분비 세포 중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세포는?

    베타세포

  • 3

    원발성 섬모 운동 이상증은 코곁굴염, 상, 하기도의 반복되는 감염증, 남성 불임을 유발 할 수 있다. 이 중 만성부비강염, 기관지 확장염, 내장역위를 주요 증상으로 하는 증후군을 카르티게너증후군이라고 한다. 섬모의 운동에 관여하는 세보내단백질 중 이러한 장애의 주원인이 되는 것은?

    디네인

  • 4

    65세 여자가 피부의 가려움증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포 때문에 병원에 왔다. 증상은 6개월동안 지속되었다고 하며, 완화되었다가 악화되기를 반복했다고 한다. 검사 결과 세포연접에 대한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되었다. 이 질환과 관련된 세포연접 구조는?

    반부착반점

  • 5

    난자발생에서 이차감수분열이 완료되고 성숙한 난자와 이차극체로 나뉘는 시기는?

    수정 직후

  • 6

    다음 신경아교세포와 설명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별아교세포보다 크기가 크며 균일한 핵을 가진다.

  • 7

    전체 백혈구 중 50~80%를 차지하며 5개의 엽으로 된 핵을 볼 수 있는 세포로 급성 감염에서 병원균을 포식하는 역할을 하며, 세균의 독성이 높은 경우 대량으로 죽어서 세균과 함께 고름을 생상하는 백혈구는?

    호중성백혈구

  • 8

    다음 편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편도는 들림프관, 날림프관 모두를 가지고 있어 주위 림프계와 순환한다.

  • 9

    다음 콩팥단위와 그것을 구성하는 구조물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들토리세동맥이 날토리세동맥보다 지름이 작다.

  • 10

    다음과 같은 구조의 상피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장기는?

    방광

  • 11

    자궁관팽대에서 수정이 이뤄진 후 수정란은 자궁안으로 이동아여 자궁속막에 착상하게 된다. 자궁속막 버팀질을 파고 들어가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는?

    융합영양막(syncytiotrophoblast)

  • 12

    가임기 여자의 난소는 주기적으로 배란을 하며, 배란 직후 난자는 정자와 수정하여 수정란을 형성하게 된다. 배란주기와 수정에 따라, 난자의 세포주기가 적절하게 조절되며 진행된다. 수정직전 난자의 세포분열 단계는?

    2차 감수분열 중기

  • 13

    모든 배아조직을 만드는 창자배형성(gastrulation)의 신호로 작용을 하며, 발생 4주 초까지 활발하게 중배엽을 만들고, 잔유물이 남았을 때 엉치꼬리기형증을 유발하는 구조물은?

    B

  • 14

    세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세포분열 시 유사분열방추를 형성하는 세포소기관은?

    E

  • 15

    5세 남자아이가 어지러움으로 병원에 왔다. 청색증과 지라비대가 관찰된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초혈액펴바른검사 사진(그림 1)에서 특이한 적혈구(화살표)가 관찰된다. 지라 조직사진(그림 2)에서 관련 깊은 부분은?

    B

  • 16

    13세 여아가 운동 후 호흡곤란, 피로감, 두근거림으로 병원에 왔다. 심장초음파에서 왼심방의 혈액이 오름심방으로 흐르는 것과 오른심방비대를 확인하였다. 결손이 의심되는 구조물은?

    타원오목

  • 17

    여자의 질에 도착한 정자는 자궁안과 자궁관 속을 이동하여 자궁관팽대에 도달한다. 도달할 때가지 정자 세포막의 당단백막이나 정액단백질 등이 사라지게 되어 수정이 가능해진다. 이 과정은?

    수정능획득

  • 18

    23세 여자가 3개월 이상 월경이 없어서 병원에 왔다. 얼굴과 배에 굵고 뻣뻣하며 색깔이 진한 털이 많이 나고, 여드름도 많이 생겼다고 한다.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은 아니며, 난소에서 2~9mm 크기의 난포가 15개 관찰된다. 혈액 검사에서 안드로겐 농도가 정상에 비해 증가되어 있다. 난소에서 정상적으로 에스트로겐의 전구물질로서 안드로겐을 생산하는 세포는?

    속난포막세포

  • 19

    발생 2주에 주머니배는 자궁속막 버팀질에 완전히 묻힌다. 이 시기에 관찰할 수 있는 구조물은?

    양막공간(amniotic cavity)

  • 20

    갓 태어난 아기가 심한 호흡곤란으로 사망하였다. 부검 결과 가로막 발생 결함이 원인이었다. 발생 과정에서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가장 큰 구조물은?

    가슴막복막

  • 21

    정자세포에서 정자로 바뀌는 정자형성 과정 중 중간부분을 만드는 세포소기관은?

    사립체(mitochondria)

  • 22

    수정의 과정 중 한 단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은?

    부챗살세포

  • 23

    사람의 정자발생 중 일차감수분열 후 이차감수분열 전의 세포는?

    이차정모세포

  • 24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여성의 분비샘과 같은 운기에서 발생하는 남성의 분비샘은?

    D

  • 25

    성숙태반의 현미경 사진이다. 모체로부터 온 것은?

    A

  • 26

    난포의 발달단꼐에서 일차감수분열이 끝난 이차난모세포가 보이는 난포는?

    E

  • 27

    꼬리쪽발생장애는 배아의 가장 꼬리쪽 부분에 중배엽 형성이 부족하여 생기는 증후군이다. 아래 사진의 발생 2주 두층배아원반에서 이러한 발생이상과 관련이 깊은 구조물은?

    A

  • 28

    다음은 백색증 환자의 손 사진이다. 아래의 발생 3주 배아 단면에서 병변과 관련된 세포의 기원은?

    B

  • 29

    융모막의 구성에서 올바른 조합은?

    가, 나, 다

  • 30

    신경배형성과정이다(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구조물이 상피중간엽이행을 거쳐 형성하는 것은?

    머리와 목의 결합조직

  • 31

    수정란이 주머니배(Blastocyst)로 분화하여 자궁 내막에 착상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일주일

  • 32

    태반의 융모사이공간에서 태아와 모체 사이에 물질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모체혈액

  • 33

    남자 태아의 해면체요도는 발생 중 양쪽 요도주름이 융합되면서 형성된다. 비뇨생식주름이 융합하지 않는 여자 태아는 어떤 구조로 발생되는가?

    소음순

  • 34

    인체발생과정에서 배아나 태아의 발달시기에 작용하여 구조나 기능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기형유발물질)에 가장 민감한 시기는?

    수정된 이후 3~8주

  • 35

    한 남자아이가 한쪽 입술갈림증을 가지고 태어났는데 이것이 콧바닥까지 뻗어있었고 윗턱뼈의 이특돌기까지 갈라져 있었다. 이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생 7~10주 사이에 medial nasal prominence가 좌우 어느 한 쪽의 maxillary prominence와 융합하지 못해서 발생한다.

  • 36

    다음 중 인체발생 2주에 나타나는 구조물로 이것 위의 공간이 양막공간을 이루며 배아 종자층 세계를 모두 만드는 구조물은?

    위판

  • 37

    다음 중 telencephalon에 속하지 않는 것은?

    시상

  • 38

    태반, 양악, 융모막은 접합자에서 유래한다. 융모막의 공간을 공유하지만 양막공간은 분리되어 있는 쌍둥이의 사진이다. 이러한 형태의 융모막과 양막을 가질 수 있는 경우는?

    초기 속세포덩이에서 분리된 일란성 쌍둥이

  • 39

    몸 분절(somite)이 분화하여 형성하는 것은?

    피부 진피

  • 40

    수정란 분할에서 8세포기(사진) 이후 오디배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밀집

  • 41

    생식세포는 일차와 이차 감수분열을 거쳐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감수분열 과정에서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는 비분리 현상으로 염색체 수의 이상이 일어날 수 있는 세포는?

    일차난모세포

  • 42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미세아교세포는 가장 작은 신경아교세포로, 정상 CNS에서도 활성화 상태로 존재하며 포식작용을 한다.

  • 43

    몸에서 젖꼭지나 배꼽 등은 뚜렷하여 표지점으로 유용하다. 칼돌기(xiphoid process)부위 피부에 해당하는 피부분절(dermatome)은?

    T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