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고구려의 영토 확장 측면에서 태조왕의 업적?
옥저 정복,랴오둥 지역 진출
2
고구려의 영토 확장 측면에서 고국천왕의 업적?(무엇을? 언제?)
진대법(농민 몰락 방지,2세기) 시행=왕권 높음(을파소(평민)제안 수용)
3
고구려의 영토확장 측면에서 미천왕의 업적?
낙랑군 축출(313년),고구려 커짐
4
고구려의 율령반포 제도 정비 측면에서 소수림왕의 업적?(2가지 설립)
태학 설립(수도)-유교-충효사상-왕권 높아짐+경당 설립(지방)-유교,무술
5
율령반포 제도 정비의 측면에서 광개토 대왕의 업적?
백제 공격,신라지원-왜 격퇴(호우명그릇이 그 증거)
6
율령반포 제도 정비 측면에서 장수왕의 업적?
남진정책(평양=수도),백제 공격-한성x,개로왕-웅진 천도
7
백제의 영토 확장 측면에서 고이왕의 업적?
마한소국 공격(목지국)-한강 유역 장악(3세기)
8
백제의 영토 확장의 측면에서 근초고왕의 업적?(4개)
부자 상속(왕권 안정),마한 복속,고구려의 평양성 공격(고국원왕x),"동진왜"와 교류(중국,일본 교류=칠지도)
9
율령 반포와 제도 정비 측면 고이왕?
관료체제의 기틀 마련,법령 정비(3세기)
10
율령 반포와 제도 측면에서 백제 근초고왕의 업적은?
최고의 전성기(4세기)
11
율령 반포와 제도 측면에서 백제의 개로왕의 업적?
고구려의 공격-한강x,웅진 천도
12
율령 반포와 제도 측면에서 백제의 무령왕 업적?
중흥의 발판(6세기,22담로 설치-친족 지방에 파견)
13
율령 반포와 제도 측면에서 백제의 성왕의 업적?
사비(부여) 천도,중앙 22부(행정 부서22개-왕권 높아짐)
14
신라의 영토 확장(2가지,누굴 복속?(몇세기?),내물왕의 업적?)
1.진한 소국들 복속(4세기) 2.김씨 왕위계승,마립간 칭호(내물왕)
15
신라의 율령반포 제도 정비 측면에서 지증왕의 업적?(3가지)
‘왕’,‘신라’ 사용,우산국 복속
16
신라의 율령반포 제도 정비 측면에서 법흥왕의 업적?
율령반포,병부(국방부)설치=왕의 군사력=왕권 올라감,상대등 설치,금관가야 병합
17
신라의 율령반포 제도 정비 측면에서 진흥왕의 업적?
화랑도(국가적 조직 개편,인제 양성,등용),한강유역 장악,대가야 병합,함흥평야 진출
18
진흥왕의 한강유역 장악 스토리(매우 중요)
신라+백제vs고구려(나제동맹)- 신라=상류,백제=하류-신라 할거 없음-나제동맹x-관산성 전투
19
왕위계승 안정
정복활동을 주도한 왕의 권력 간화로 다른 주와의-세력차이 발생=일원적 왕위계승 확립
20
함흥평야 진출 증거 순수비(2개)
황초령 순수비,마운령 순수비
21
북한산 정벌 기념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22
단양 정벌 기념 비석
단양 신라 적성비
23
가야 정벌 기념 비석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24
나라이름? 몇세기?
신라 6세기
25
고구려의 관등제(고국천왕이 한일?,1st?,몇 관등?)
1.고국천왕-5부연맹 해체-행정적 5부연맹으로 변화 2.1st:대대로 3.1-14관등
26
백제의 관등제(1st?,몇 관등?)
1st:6좌평(6명 장관=고이왕),16관등
27
신라의 관등제(1st?,몇 관등?)
1st:이벌찬 2.17관등(법흥왕)
28
각 국가별 회의기구?(1.고구려 2.백제 3.신라)
1.제가회의 2.정사암 회의 3.화백회의
29
이 세 회의 이름을 차례대로 쓰고 초기국가-고대국가 변천 설명
제가회의,정사암회의,화백회의 왕과 부의 대표들이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는 회의에서 귀족회의로 성격 변함(귀족회의 결정사항은 왕의 재가를 받은 후 발표)
30
지방 통치 체제 정비(3가지)
1.중앙 집권적 고대국가로 발전 2.정복전쟁으로 영토를 넓힘 3.전국을 행정구역으로 편제,지방관 파견
31
지방 통치 체제 정비(고구려,백제,신라 순)
고구려=성 중심 백제=22담로 파견(무령왕),5방으로 나눔(성왕) 신라=주,군,촌으로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