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AIP(보존용 패키지)의 4가지 요소는?
AIP의 구성요소 ┌────────────────────────────────────────────┐ │ 패킹정보 (PI) │ │ ┌──────────────┐ ┌────────────────────┐ │ │ │ 콘텐츠 정보 (CI) │ │ 보존설명정보 (PDI) │ │ │ │ │ │ │ │ │ │ ┌────────────│ │ ┌────┐ ┌────┐ ┌────┐ ┌────┐ │ │ │ │ 콘텐츠 ││ 참조 │ │ 변경 │ │ 문맥 │ │ 인증 │ │ │ │ 데이터 객체 └────┘ └────┘ └────┘ │ │ └────────────┘ │ └────────────────────┘ │ │ ┌────────────┐ │ │ │ │ 재현정보 │ │ └────────────┘ │ │ └──────────────┘ └────────────────────┘ └────────────────────────────────────────────┘ ▲ 서지정보 (DI) 콘텐트정보(CI) – 보존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객체와 관련 재현 정보 진짜 원본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제대로 보여주기 위한 정보들(폰트, 뷰어 등) 보존설명정보(PDI) - OAIS의 보존과정들 (preservation processes)을 지원하는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참조정보, 문맥정보, 변경 정보, 인증정보의 4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 URL, 이 데이터가 만들어진 이유, 전자서명, 변경이력 등 패킹정보(PI) : 콘텐트정보와 보존설명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논리적 패키지로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AIP의 모든 정보요소들을 결합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단위로서 인식하고 처리한다. 어떻게 이 콘텐츠 묶음이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설명서이다. 서지정보(DI) : 공동체가 검색도구를 사용하여 정보콘텐트 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정보 제목, 저자, 키워드 등 외부에 공개하거나 검색할 때 사용하는 서지 메타데이터 AIP는 단순히 '파일 보관'이 아니라, 해당 콘텐츠를 오랜 시간 동안 열람 가능하게 하는 모든 정보를 세트로 묶은 것이다.
2
IFLA LRM의 메타데이터 기능
IFLA LRM에서 제시한 기능: 찾식선획항 찾기 (find): 관련된 기준으로 탐색하여 해당하는 여러 자원에 대한 정보를 집중시키는 것. 식별 (identify): 찾은 자원의 본질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유사한 여러 자원을 구별하는 것. 선택 (select): 찾은 자원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각각의 특정 자원을 수용하거나 제외할 수 있는 것. 획득 (obtain): 자원의 내용에 접근하는 것. 항해 (explore): 자원 간의 관계를 이용해 자원을 발견하여, 맥락에 맞는 자원을 찾는 것.
3
FRBR 모델에서 제시한 메타데이터의 기능:
검색 (Find): 이용자가 제시한 검색 기준에 부합하는 것들을 검색함. 식별 (Identify): 정보 자원 개체를 식별함, 이용자가 원하는 객체임을 확인. 선택 (Select):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개체를 선택함. 획득 (Acquire or Obtain): 선택한 개체에 대한 접근을 획득함.
4
도서관에 인공지능이 얼마나 어떻게 도움될 수 있을지 생각해보기(서술형)
저는 중학교 고등학교 학창시절 내내 도서관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도서관을 줄기차게 찾아가 시간을 보내곤 했었는데, 그때보다 훨씬 시간적으로 여유로운 지금은 도서관을 책을 빌릴 때 말고는 거의 찾아가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예쁜 공간을 좋아해서 인스타에서 유명한 감성 카페나 레트로컨셉의 맛집을 자주 찾아가곤합니다. 크리스마스 느낌이 나는 동네의 작은 북카페도 자주 방문했습니다. 하지만 독서를 하러 갈 때 도서관으로는 향하지 않습니다. 영상 속 대학교 3학년 친구가 경직되지 않은 분위기를 찾아 카페로 갔다는 말이 공감됩니다. 책은 경직되어 읽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읽어야하는데, 독서실 같은 분위기의 도서관에서는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책장을 자주 넘기는 소리가 민폐가 될 것 같아 책을 읽지 못하는 주객전도의 상황이 된 것입니다. 중앙도서관이 아닌 새벽벌도서관 1층이 늘 북새통을 이루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 대학교 사서를 꿈꾸고 있는 저로서는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상이었습니다. 누구를 위한 도서관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수요에 맞는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도서관계가 역동적으로 발전해야한다는 생각이 드는 영상이었습니다.
5
기술맹신론자들이 주장하는 전통적 도서관이 없어지는 사례를 현재의 디지털도서관과 전통적도서관의 의미를 서술하시오.
디지털도서관은 전통적인 도서관과 별개가 아니다. 디지털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여 발전한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이라 할지라도 도서관의 본질적인 역할에는 커다란 변화는 없다. 단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이나 내용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디지털 도서관은 전통적인 도서관에서 제공하던 자원보다 콘텐트의 범위가 넓고 다양하다. 양질의 문헌정보를 디지털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사명이 있다.
6
‘우수한 디지털 장서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장서 개체에 대한 7가지 기본원칙이 있다. 말해보시오.
장탐지이저이장 <장서 원칙 1. 장서개발정책>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대상 자료의 디지털화 작업 전 에 생성 기관의 협정에 의해 결정하고 문서화된 명시적인 ‘장서개발정책’에 따라서 생성된다 <장서 원칙 2. 탐색성>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규모와 형식, 접근의 제약, 소유권, 그리고 장서의 진본성, 무결성 및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 등과 같은 장서의 특성을 이용자가 탐색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장서 원칙 3. 지속성> 우수한 디지털 장서는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내외부의 재원이 투자되어 구축된 디지털 장서는 투자기간이 지난 이후에도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 <장서 원칙 4. 이용성> 우수한 장서는 폭넓게 이용가능하며, 이용에 불필요한 방해가 없어야 한다. 장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기술 들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장서 원칙 5. 저작권> 우수한 장서는 지적재산권을 존중한다. 장서 관리자는 모든 자료에 부가된 저작권자와 이용허락사항에 대한 레코드를 보유해야 한다. <장서 원칙 6. 이용도 데이터> 우수한 장서는 유용성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값이 기록되도록 한다. 이용도 데이터나 다른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어야 한다. <장서 원칙 7. 장서개발 프로젝트> 우수한 장서는 국가 및 국제적인 규모의 디지털 도서관 프로젝트들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과학, 수학, 공학 교육에 유용한 콘텐트의 장서들은 NSF가 후원하는 NSDL(the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에서도 사용 가능해야만 한다
7
디지털 장서 구축을 위한 프레임’(A Frame of Guidance for Building Good Digital Collections)을 만들었다. 원칙 4가지가 있는데 간단하게 말해봐라.
"계획 - 평가 - 보고서 - 수명주기"로 생각하면 편하다. 프로젝트 원칙 1. 우수한 장서구축 프로젝트는 실체가 있는 설계와 계획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프로젝트 원칙 2. 우수한 프로젝트는 평가 계획을 갖추어야 한다. 프로젝트 원칙 3. 우수한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보고서를 생산하고, 프로젝트의 과정과 성 과에 대한 정보를 널리 배포하여야 한다. 프로젝트 원칙 4. 우수한 프로젝트는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디지털 장서와 관련된 서비스들의 전체적인 수명주기를 고려해야 한다.
8
디지털 객체를 위한 6가지 기본원칙(NISO 2004)
상영독식인메 • 우수한 디지털 객체 는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 과 재사용성 (reusability)을 위한 품질 수준을 유지하면서, 장서의 우선순위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 우수한 객체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 우수한 객체는 플랫폼에 대하여 독립적이어야 하고, 어떤 환경에서도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 우수한 객체는 영구적이고 고유한 식별자로 명명되어야 한다. • 우수한 객체는 출처, 구조, 이력, 용도, 품질 등이 인증될 수 있어야 한다. • 우수한 객체는 관련 메타데이터를 가진다
9
도서관 전산화, 자동화, 정보화를 각각 설명해보시오.
도서관 전산화: 컴퓨터 기반의 도서관 시스템 도입 도서관 자동화: 도서관 업무의 자동화와 문헌정보 네트워크 구축 도서관 정보화: 디지털 환경 조성과 디지털 콘텐츠의 확충
10
도서관 전산화의 배경을 말해보시오.
1960년 초기, 북미와 영국의 몇몇 도서관에서 정보처리를 위한 컴퓨터 이용 시도 1960년 말기, 도서관의 업무절차를 조직화하기 위한 도구로 컴퓨터를 이용 1970년,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도서관 간의 협동과 자원의 공동이용이 증가 ⇒ 도서관 네트워크 확립
11
도서관 자동화의 시작을 설명해보시오.
MARC 개발을 중핵으로 하여 목록의 데이터베이스화 등 서지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 이는 목록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졌다. KORMARC의 개발 목적은 지적정보를 컴퓨터 기법으로 처리하여 국내 학술의 진흥과 사회개발을 위한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다.
12
도서관 정보화의 배경을 말해보시오.
『도서관정보화추진 종합계획』의 수립이 배경이 되었다. 2000년 도서관정보화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하도록 대통령이 지시하여 문화관광부를 중심으로 수립된 계획이다. (정부가 바뀌면 이런 정책들이 휙휙 바뀜) 도서관정보화추진 종합계획에는 381개 공공도서관에 디지털 자료실 설치, 사서자격제도 개 선을 통한 정보화 능력을 갖춘 전문사서 양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13
도서관 자동화의 발전과정을 설명하시오.
~1970년대 이전: 펀치카드로 대출업무 자동화 시작 (1936~) 범용 컴퓨터(에니악)로 오프라인 자동화 시스템 등장 MARC 형식(미국 국회도서관)이 보급되며 데이터 표준화 시작 1970년대: 온라인 실시간 시스템 개발 시작 (MEDLINE: 최초 온라인 정보 서비스) 도서관 통합 전산 시스템 출현 DBMS 보편화, 정보검색 가능 1980년대: 도서관 네트워크 확대, 상호대차 가능 미니/마이크로컴퓨터로 데이터 접근 확대 OPAC 확산 (1985년엔 수백 도서관 사용) CD-ROM 도입: 참고·서지 정보 검색에 활용 1990년대: 인터넷, LAN, WAN 등 네트워크 발전 Z39.50 정보검색 프로토콜 등장 GUI 기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멀티미디어 DB(텍스트+이미지+영상 등) 도입 2000년 이후 2009~2013: 유비쿼터스 열풍 → u-library 2014~2018: 생애주기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2019~2023: 스마트도서관으로 용어 변화, 창조경제 트렌드 반영 2024~2028: 제4차 발전계획 진행 중 → ‘세대공감’, ‘프로그램 개발 확대’가 핵심 키워드
14
디지털도서관이란 용어는 언제 등장했는가?
1994년 NSF(과학연구재단)/DARPA/NASA의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Digital Libraries Initiative)에서 등장했다.
15
디지털도서관에 관한 정의를 말해보시오.
디지털도서관은 이용자의 정보 리터러시 활동에 유용한 디지털 자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과 책임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적 장치이다 어떤 경우의 정의라도 디지털도서관은 ‘정보자원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으며, 관련된 표준과 프로토콜의 적용을 주 요건으로 하고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16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말 해보시오.
(대충 디지털, 도서관 2개로 나뉜다 생각하면 될 듯) 정보공학적 관점: 디지털 콘텐트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 문헌정보학적 관점: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
17
디지털도서관의 세대를 3단계로 구분하시오.
1세대 도서관: 이미지, 동영상, 원문 등의 전자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더블린 코어 등 메타데이터 표준 등장) 터 디지털도서관보다는 전자도서관으로 많이 불렸으며,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의 부가/확장 기능이었다. 1세대 디지털도서관은 기본적인 검색과 열람은 가능하지만 지금처럼 스마트하거나 직관적이지는 않았음 2세대 도서관: 현재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이 이에 해당한다. 다양한 자료를 통합 제공, 개인화하였다.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들의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변환이라는 개념이 나타나게 되었다. 3세대 도서관: 이용자 지향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18
차세대 디지털도서관을 ( ) 도서관이라 부른다. ( ) 도서관을 3가지로 정의해보시오.
스마트 도서관 스마트 기술(Smart Technology)를 이용하는 도서관 스마트 환경(Smart Initiative)을 지원하는 도서관 스마트 공동체(Smart Community)의 형성
19
전통적 도서관과 스마트도서관의 차이를 말해보시오.
전통적 도서관 스마트도서관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언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한 도서관 책상 뒤의 사서 SNS를 통한 사서-이용자의 상시적 대화 커뮤니케이션 서가에 고정된 장서 이동성 있는 장서 한정된 도서관 정보서비스 - 협력/집단을 위한 학습·문화 공간으로 재목적화 - 빅데이터 분석/시각화 기술을 통한 개인화된 서비스
20
차세대 디지털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상황인식기술, 증강현실, 구글글래스, 디스플레이 기술, 입는 책 등
21
디지털 도서관에는 3가지 기본요건이 있다. 무엇이 있는가?
통합성: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도서관을 의미한다. 협업, 상호운용, 네트워크화와 유사한 개념으로, 시스템 운용 측면에서 꼭 필요한 요건이다. 협업 가능, 상호운용 가능한 디지털 도서관을 의미한다. 정보자원, 정보서비스,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개방성: 서비스 측면에서 필요한 요건이며,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개방을 의미한다. Open Access, 소프트웨어 공개 보존성: 디지털도서관은 정보자원의 영구적 보존과 접근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의미다. 교수님은 전자자료 보존이 종이보다 더 어렵다고 생각하신다.
22
디지털도서관의 운영체제란
디지털 도서관 콘텐츠 관리를 위한 이론, 개발, 운영, 평가 등을 위한 협력의 통합체제를 디지털도서관 운영체제라고한다. 디지털도서관은 디지털 환경에서 생산되고 활용되는 사회적지식정보자원의 방대한 장서로 구현된다. 이것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들이 필요하다. 이런 디지털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모델링, 각종 기능적 요소를 설계하고 통합하는 정보 아키텍처, 디지털도서관 연구개발을 하나의 개념에서 접근하는 사고가 필요하다.
23
쉬리의 디지털도서관 주요 범주 8가지 (?)
➢ 아키텍처, 시스템, 도구, 기술 ➢ 디지털 콘텐트와 장서 ➢ 메타데이터 ➢ 상호운용성 ➢ 표준 화 ➢ 지식조직시스템 ➢ 이용자와 사용성 ➢ 법률적, 조직적, 경제적, 사회적 현안들
24
디지털 도서관 운영체제를 2가지로 구분해보시오.
디지털도서관 운영체제는 기능 구성에 관련된 기능적 운영체제와 실제적 운영과 관련된 외부자원 운영체제로 구분된다.
25
디지털 도서관 운영체제의 도식을 그려보시오.
정리 p11 참고
26
장서란 무엇인가?
장서는 수집, 소장품의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이다. 단순하게 보면 장서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으로 구성되는 집합체이다. 즉, 개별적인 정보자원의 집합체라고 간단히 정의된다
27
도서관에서의 장서란?
사회과학 장서, 특수장서, 지정도서, 멀티미디어 자료 등과 같이 이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자료들 을 어떤 제한적인 기준에 따라 장서로 범주화하여 집합체로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28
디지털 장서란?
디지털도서관의 장서를 말한다. 디지털 형태의 자원, 즉 디지털 자원을 어떤 목적이나 기준에 따라 모아놓은 것이다. 디지털 장서는 텍스트, 수치 데이터,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S/W 프로그램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29
디지털 자원 제작법 2가지
디지털자원은 디지털 생산(애초에 디지털로 생산)과 디지털 변환(디지털 화) 두 개의 방법으로 제작 된다
30
디지털 장서는 어디 존재하는가?
장서 내에서 개별 정보자원은 특정 장소에 소장되어있을 수 있고, 지리적으로 분산된 다양한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
31
디지털 장서의 특성 3가지를 말하시오.
첫째, 하나 이상의 유사한 성격의 디지털 자원으로 구성된다. 둘째, 하나의 장서에 포함되는 디지털 자원은 공통의 메타데이터에 의해 기술 된다. 셋째, 해당 디지털 자원은 단일의 인터페이스(또는 URL)에서 검색되고 접근된다
32
디지털 장서의 유형 구분을 해보시오. 크게 4가지로 나옴
디지털 장서는 소유형장서와 접근형 장서로 구분된다. 또한 이들은 목록형과 원문형으로도 구분 된다. 소유형 장서: 디지털도서관이 특정한 목적의 장서제작 프로그램에 따라 구축한 것이다. 접근형 장서: 외부에서 제작하여 소유하는 것에 대한 접근 라이선스를 가신 장서를 의미한다. 소유형 + 목록형 : 자관 OPAC → 도서관이 직접 구축한 책 목록 (원문은 없음) 소유형 + 원문형 : 디지털 아카이브 → 도서관이 만든 고서 원문 디지털 파일 접근형 + 목록형 : 외부 OPAC, 색인 DB → 외부 기관의 색인 DB, 원문은 외부에 있음 접근형 + 원문형 : 전자저널, 전자책 → 도서관이 구독해서 이용 가능한 상업 전자자료
33
DC Collections AP의 데이터 모델을 그려보시오.
DC Collection AP 모델은 에이전트, 장서, 아이템, 서비스 의 개체로 구분하고 있다. 아이템의 집합체인 장서는 장서기술 메타데이터로 정보를 표현하며 다양한 서비스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장서를 수집하고 소유하는 에이전트가 있다.
34
디지털 장서 구축의 원칙: NISO란?
NISO(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는 출판, 도서목록과 도서관에 적용되는 표준 기술을 개발, 유지하고 공표하는 미국의 비영리 표준화 단체이다.
35
NISO가 발표한 ‘우수한 디지털 장서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4가지 핵심개체는 무엇인가?
장서(collecttions) 객체(objects) 메타데이터(metadata) 프로젝트(projects)
36
디지털 자료는 여러 기준으로 구분 된다. VS로 예시를 3가지 들어보시오.
디지털 생산(born digital) vs. 디지털 변환(reborn digital) 유형의 자료(DVD, CD-ROM 등) vs. 무형의 자료(전자저널, 전자책, 인터넷 자료,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등) 주제로 구분 등
37
디지털 장서의 대표 유형은 크게 4가지가 있다. 뭐가 있는지 예시를 말해보시오.
① 전자책(Electronic Book)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해 전자 기록매체, 저장장치에 수록된 뒤,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나 휴대 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서다. * 전자책을 최초로 상용화한 건 일본 NEC의 디지털 북 플레이어 DP-P1이다. ② 웹DB(Web 기반의 DB) 논문이나 기사의 원문(full-text)이나 서지사항을 웹 형식의 사용자 환경에서 검색 하고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서비스가 유료이며, 보급을 위해 시범 식별자(Trial ID)를 배포하거나 서지사항 무료 검색 등을 실시하고 있다. ③ 전자저널(Electronic Journal) 전통적인 인쇄잡지의 생산과정과 이용이 모두 전자적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④ VOD(Video on Demand) 및 AOD(Audio on Demand) VOD: 이용자가 요청하는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맞춤영상정보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 조회 시스템이라고도 함. 기존 공중망 방송이나 케이블 TV에서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수 신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 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내용을 이용할 수 있는 쌍방향 서비스다. AOD: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주문형 음악으로 MOD라고도 한다. 옛날엔 MP3로 음악파일을 다운받았지만, 현재는 휴대폰 스트리밍도 가능하다.
38
디지털 장서개발이 뭔지 설명하고, 누가 수행하는지도 말해보시오.
디지털 장서들을 선정하고, 구축하는 역할과 책임을 담당하는 활동이다. 장서개발 담당사서에 의해 수행된다. (외부의 라이선스 자료 수집, 장서 제작 프로그램 운영, 납본규정에 따라 납본 받아 장서 구축, 장서 평가체제를 갖추어 이용평가, 품질평가 등과 같은 평가활동 수행)
39
디지털 장서 개발의 기능은 뭐가 있는가?
계획 기능: 장서를 만들기 전에, 전체적인 전략을 세우는 단계다. 주로 예산할당, 가치 분석 등의 기획활동을 한다. 선정 기능: 계획이 세워졌다면, 이제 실제로 어떤 자료를 고를지 결정하는 단계다. 장서개발의 직접적인 기능이다. 의사결정프로세스에 따라 진행한다.
40
디지털 장서의 개발정책이 필요한 이유는?
디지털 콘텐츠는 기존의 인쇄자료와는 접근, 보존 방식이 다르다. 이에 적합한 개발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적장치가 필요하고, 고가여서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41
디지털 장서 개발정책 수립 시 고려사항은 무엇이 있는가?
소유와 접근의 문제: 디지털 자료는 실물 소유가 아닌 ‘접근 권한’ 형태가 많음. 영구적 보존의 문제 고려: 디지털 자료는 저장 매체, 형식 변화로 인해 장기 보존이 어려움 디지털 장서 운영 정책의 별도 수립: 종이 장서와는 다르기 때문에 디지털 장서의 범주와 내용, 서비스 방법, 보존 문제 등을 디지털도서관 운영의 관점에서 별도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함 품질 평가 기준의 차이: 아날로그와 달리, 기술적 품질과 접근성 등도 품질 기준에 포함됨
42
장서개발정책에는 어떤 요소들이 들어갈까?(Evans 2005)
1. 개요: 우리 기관은 뭐하는 기관인지 비전, 미션, 목표 같은 것들을 반드시 기술해야 한다. 2. 주제범위와 형식: 모든 주제를 국립 중앙도서관처럼 망라적 수집을 하는지, 제한적으로 수집하는지와 같은 장서의 우선순위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장서 수집 수준을 컨스펙터스 모델을 통해 몇 레벨까지 수집할지 정한다.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자료를 고를지 가이드라인을 정한다. 3. 기타 사항: 기증 받은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지, 오래된 자료를 제적(목록에서 삭제)하거나 폐기할 기준, 정기 평가 방법 등을 정한다.
43
장서수집수준을 측정하는 건 무엇이 있는가?
RLG Conspectus와 SunSITE 전자자원 유지수준이 있다.
44
디지털 장서 구축방법은 크게 5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무엇이 있는가?
제구구협납 • 제작형 장서 ➢ 기관이 보관된 아날로그 콘텐트를 디지털화 하여 제작하는 방법 • 구입형 장서 ➢ 외부에서 디지털매체로 제작하여 생산된 콘텐트의 원문을 구입하는 방법 • 구독형 장서 ➢ 원문에 대한 접근 라이선스를 구독하는 방법 • 협력형 장서 ➢ 외부의 디지털 장서를 협력계약을 통해 연계하는 방법 • 납본형 장서 ➢ 기관이나 단체 커뮤니티에서 생산된 디지털 콘텐트를 납본받는 방법
45
디지털 장서를 구입할 때 평가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콘텐트 제공자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 중 라이선스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이 밖에도 내용요소, 서비스요소, 비용요소, 기술적인 요소, 접근요소, 제도적 요소 등의 기준을 가지고 디지털 콘텐트를 선정해야 한다.
46
디지털 장서 구독 시 고려사항은 4가지가 있다. 무엇이 있는가?
시범서비스: 사서들은 구독 전, 시범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독 검토를 위해 DB나 전자저널을 이용해봐야 한다. 컨소시엄: 출판사의 독과점에 대응해 컨소시엄을 형성해야한다. → 빅딜(Big Deal) 라이선스: 도서관과 출판사가 법적 계약을 통해 전자저널 등에 대한 접근 및 이용권을 도서관에 양도해야한다. 평가: 구독계약의 갱신 또는 중단의 결정을 내리는 행위로 인터페이스의 신뢰성, 제공 자원에 대해 영구적인 접근 권한, 아카이빙 권한 등과 같은 라이선스 내용 처리
47
디지털 장서를 구독할 때 선정 기준이 있다.
선정할 땐 당연히 내용을 봐야하며, 바로 구독하지 말고 시험기간도 요구해야한다. 이용자 교육과 매뉴얼을 제공해주는지와 같은 서비스 요소도 봐야한다. 초기 구독비용이나 기타 비용들의 비용 요소도 확인해야 하며, 사이트 접근성이 좋은지도 봐야한다. 가격모델, 접근성, 영구성, 벤더의 지원, 비용 등등
48
디지털 장서는 라이선스 문제가 가장 크다. 왜인가?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공정이용, 최초판매의 원칙, 도서관 상호대 차, 아카이브 등을 위한 모든 저작권 제한은 협상 및 계약을 통해 정해지기 때문이다.
49
컨소시엄의 유형은 3가지가 있다. 무엇이 있는가?
국가주도형: 자금의 출처와 운영 형태에 따라 국가가 주도적으로 운영 → NESLI, KESLI 등 공동관리형: 도서관 간에 자발적으로 구성하여 공동 분배 → COPPUL 등 국제수준형: 기금단체에 의한 재정 지원을 받는 경우 → eIFL, ICOLC 등
50
디지털 장서의 협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디지털 도서관은 소유하고 있는 개별적 콘텐츠를 직접 디지털화 화는 방식으로 하면 비용이 너무 비싸다. 따라서, 외부에서 잘 구축된 디지털 장서를 협력 계약을 통해 들고 오는게 낫다. 협력하는 영역은 아래 3가지와 같다. Self-archiving 자료를 만든 사람이 직접 등록 (ex: 연구자가 논문 업로드) 수확(Harvesting 공개된 디지털 자료를 메타데이터 중심으로 자동 수집 크롤링(Crawling) 웹사이트를 자동 탐색해서 정보 수집 (검색엔진과 비슷)
51
디지털 장서의 납본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국가 수준: 국가대표도서관이 수행 기관 수준: 기관에 소속하는 구성원들이 생산한 각종 디지털 저작물을 대상으로 수집,관리, 배포, 보존 역할을 위해 필요 존 디지털 레파지토리: 국가, 기관, 대학, 학술 커뮤니티 등에서 만든 디지털 저작물을 수집·보관·배포하는 시스템 = 디지털 자료를 모아두는 저장소 또는 도서관 기관이나 커뮤니티의 개인이 자신의 저작물을 디지털 레파지토리에 직접 제출(selfarchiving)하면 조직의 효율성이 향상됨
52
디지털 객체(digital object)의 개념을 말해보시오
주소표현이 가능한 정보자원 또는 디지털 문헌이다 디지털 객체는,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의 한 단위이며, 디지털정보 시스템에서 메타데이터라는 속성으로 정의된다. 용어는 디지털매체, 전자기록물, 디지털자원 등이 있다. 또한 전자저널, 학위논문, 기술보고서, 웹 페이지 등 디지털 문헌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53
디지털문헌과 인쇄형 자료와의 차이점과 보존에 필요한 고려사항(Beagrie 2002)
기계 종속성: 디지털 문헌은 특정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있어야 접근이 가능함. 따라 서, 오래된 디지털 문헌에 접근하려면 해당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환경으로 변환해야 함. 매체의 취약성: 디지털 데이터는 저장 매체(하드 드라이브, CD 등)의 손상으로 쉽게 손실 될 수 있음. 정기적인 백업과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필수적임. 쉬운 변경: 디지털 문헌은 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내용의 일관성과 원본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함. 버전 관리, 디지털 서명 등의 기술이 필요함.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 디지털 보존은 일회성 작업이 아니라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적 해 결책을 요구함. 예산 확보와 전문 인력 양성이 중요함.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협력: 디지털 보존은 새로운 워크플로우, 기술, 전문가들의 협력 체 제를 필요로 함. 도서관, 기록관, IT 전문가 등의 협력이 중요함. 이해관계자의 불확실성: 디지털 문헌의 생명 주기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의 참여와 책임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함. 역할 분담과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함. 산학 협력: 기록 및 보존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 해 산학 협력이 필요함. 정보 생산 및 활용 증가: 앞으로 디지털 정보의 생산과 활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이 므로, 보존 문제에 대한 대비가 더욱 중요해짐.
54
디지털 객체의 형태(NISO 2004)
NISO의 보고서에서 정의하는 디지털 객체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장서에 속하게 되며, 그 형태는 다음 3가지 중 하나가 된다. 1. 객체는 하나의 파일로 구성된다(예: PDF파일로 발간된 보고서) 2. 객체는 다중 링크된 파일로 구성된다(예: HTML 페이지와 페이지 내의 이미지) HTML 페이지와 이미지, CSS 스타일 시트, JavaScript 파일 등이 함께 작동하여 하나의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경우가 대표적. 3. 다중 파일과 그것을 연결하는 구조적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예: 페이지 단위로 이미지화 된 도서).
55
디지털 객체를 위한 6가지 기본원칙(NISO 2004)
상영독식인메 1. 우수한 디지털 객체는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과 재사용성(reusability)을 위한 품질 수준을 유지하면서, 장서의 우선순위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2. 우수한 객체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3. 우수한 객체는 플랫폼에 대하여 독립적이어야 하고, 어떤 환경에서도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4. 우수한 객체는 영구적이고 고유한 식별자로 명명되어야 한다. (좀 오래 설명하심) 5. 우수한 객체는 출처, 구조, 이력, 용도, 품질 등이 인증될 수 있어야 한다. 6. 우수한 객체는 관련 메타데이터를 가진다.
56
DCMI(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이니셔티브)가 정의하는 디지털 객체의 유형을 말해보시오 대충.
• 장서(Collection) : 아이템의 집합체 • 데이터세트(Dataset) : 정의된 구조에서 부호화된 정보(예: 리스트,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 사건(Event) : 전시회, 회의, 워크샵, 공연, 재판, 큰 화재 • 이미지(Image) / 동영상(Moving Image) • 대화식 자원(Interactive Resource) : 웹페이지, 챗 서비스, VR환경 등 • 물리적 객체(Physical Object) : 3차원의 객체 또는 물질 • 서비스(Service) : 은행 서비스, 인증 서비스, 도서관 상호대차 등 • 소프트웨어(Software) / 사운드(Sound) / 정지화상(Still Image) / 텍스트(Text)
57
디지털 포맷이란?
포맷의 정의: 자원을 물리적 또는 디지털 형식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매체의 유형과 특징을 포함 한다. 쉽게 말해 파일의 종류와 그 파일을 어떻게 읽고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형식이다. 자원을 재현하고, 동작하는데 필요한 S/W, H/W, 다른 장치를 인식하는데 사용하는 정보다.(DCMI)
58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란?
MIME은 원래 이메일 시스템에서 텍스트 외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예: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응용 프로그램)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인터넷 표준이다. Text 파일이면 txt. Html.을 사용할 수 있다
59
디지털 포맷은 보존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디지털포맷은 보존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디지털문헌이 어느 포맷이냐에 따라 원본의 재현이 가능한지 또는 불가능한지 판단한다.
60
디지털 포맷은 왜 중요한가?
디지털 문서는 그냥 글자가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그 형식을 알려주는 게 포맷이다. 포맷은 디지털 문헌의 생산, 처리, 출력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hwp 파일은 한글 프로그램에서만 열 수 있다.
61
디지털 아카이빙에서 파일포맷의 3가지 관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제출포맷, 보존포맷, 배포포맷 디지털 문서를 받고(제출) → 잘 보관하고(보존) → 다시 나눠줄 때(배포) 단계마다 포맷이 다르다.
62
학술문헌에서 가장 이상적인 파일포맷(JISC)의 조건은?
첫째, 생산이 쉽고, 표준 S/W를 사용하여야 한다. 둘째, 모든 콘텐트(수학공식, 그래프, 설계도 등)를 원하는 이용자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셋째, 활용, 제공, 저장, 전송 등의 속도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size)가 작아야 한다. 넷째, 표준 S/W를 선택하여 사용이 쉬워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보존이 가능해야 한다
63
포맷의 뷰어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특징과 확장자 예시도 드시오.
특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프로그램으로 상용으로 제작된 동 영상파일, 이미지파일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별도의 소프트웨어이다. 뷰어의 특징은? 해당 파일에 대한 라이선스가 없는 일반 사용자도 쉽게 이용 가능 . 이 파일의 내용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화면에 출력해주는 데 목표를 두고 개발됨. 편집·수정 등 파일의 내용을 변경할 수는 없음 . 관련된 응용 S/W를 이용하여 파일을 볼 수도 있고 뷰어를 이용하여 볼 수도 있음. 각종 뷰어의 종류 Text: 한글 뷰어(.hwp) Image: ACDSee(ANI, BMP, JPG, GIF, PSD, TIF, PNG) 등
64
OAIS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정보 객체 모델이란?
OAIS 은 아카이브에 보관되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객체 모델을 만들었다. OAIS는 정보객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포장을 한다고 생각했다. 디지털 자료(파일, 이미지, 영상 등)를 어떻게 저장하고,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꺼내줄지를 정했다. 이 패키지 안에 들어 있는 ‘실제 정보’가 바로 정보 객체(Information Object)이고, 그걸 SIP/AIP/DIP 같은 패키지에 담아서 처리한다.
65
정보패키지의 유형 3가지를 말하고, 정보객체와 정보패키지를 설명하시오.
SIP(Submission Information Package): 제출자가 보낸 자료와 그 설명 정보 AIP(Archival Information Package): 보존을 위해 재구성된 패키지 DIP(Dissemination Information Package) 사용자가 보기 쉽게 만든 자료 패키지 정보객체: 사진 파일 + 사진을 이해할 수 있는 설명 정보 (언제, 어디서 찍었는지 등) 정보패키지(SIP/AIP/DIP): 이 정보를 OAIS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와 함께 묶은 하나의 "패키지"
66
METS(Metadata Encoding and Transmission Standard)이란?
디지털 정보 객체를 '어떻게 패키징할 것인가'에 대한 국제 표준이다. 디지털도서관연맹(Digital Library Federation)의 지원을 받아 1997년에 시작 된 MOA2 프로젝트에서 유래되었다.
67
보존 워크플로우란?
디지털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이다. 아래는 디지털 객체의 수명주기이다. 생산 → 제출 → 접수 → 처리 → 배포 ↓ ↓ ↑ → 저장 → ↓ 보존
68
보존 워크플로우의 7단계
1. 생산 단계 • 디지털 객체가 처음 생성되는 단계다. (디지털 생산, 디지털화 둘 다 포함) • 생산자가 이 단계에서부터 파일 포맷,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등 보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존에 대한 걱정을 생산단계부터 해야한다. 2. 제출 단계 • 생산된 디지털 객체를 디지털 아카이브에 제출하는 단계다. • 제출자는 직접(Self-archiving) 또는 관리자를 통한 일괄제출을 통해 콘텐츠를 시스템에 업로드한다. 또한, 제출용 원문 업로드와 로그아웃과 같은 규정된 제출 워크플로우에 따라 제출 작업을 수행한다. • 제출 정보는 OAIS의 제출용 정보패키지(SIP), 즉 제출자가 작성하는 메타데이터(서지정보, 저작권정보 등)와 디지털파일, 그리고 제출자 정보, 제출대상 장서 등을 포함한다. • 이 단계에서는 파일 포맷 제한 여부, 파일 개수, 구조 정보 표현이 중요한 이슈다. 3. 접수 단계 • 제출된 객체를 시스템이 공식적으로 접수하는 단계입니다 • 메타데이터와 파일의 품질 평가, 포맷 및 기술정보 추출, AIP(Archival Information Package) 생성이 이루어진다. • 평가를 통해 제출정보(OAIS의 SIP) 수정보완, 제출된 디지털파일로부터 기술정보 추출, OAIS의 보존용 정보패키지(AIP)를 생성하는 기능, 데이터 이관 기능 등의 활동을 한다. • 이 단계에서는 검증자, 승인자 등 역할 분담과 평가 기준 수립이 핵심이다. 4. 처리 단계 • 정보검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 서지정보 메타데이터 처리(메타데이터 편집기), 검색용 색인 데이터 추출, 검색엔진 최적화, 접근 제어 설정, 제출자 인증 및 관리 등이 포함된다. 5. 저장 단계 • 접수단계에서 요청한 보존용 정보객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 이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배포용 정보패키지(DIP) 생성) • 저장 형식(XML, PDF 등), 메타데이터와 파일의 분리 여부, 인증정보(체크섬), 암호화 및 백업 방식 등이 주요한 이슈사항이다. 6. 보존 단계 • 장기 보존을 위한 유지보수 단계이다. • 보존 작업: 파일전환(migration)과 에뮬레이션(emulation) • 포맷 전환(Migration), 에뮬레이션(Emulation), 기술 감시, 변경 이력 관리, 불필요 파일 폐기 등 이루어진다. 보존 작업에 필요한 재현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7. 배포 단계 • 최종적으로 디지털 객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 배포는 1단계: 이용자의 검색(일반검색, 고급검색, 브라우징, 통합검색 등) 2단계: 정보객체 배포(DIP 만들어 제공)로 구분된다. • 객체의 식별자 구분, 다운로드, 반출, 디지털 객체의 외부 유통 등을 진행하는 단계다. • 디지털 객체 내용변환, 저작권 제어와 표준화된 유통 방식이 중요한 이슈다
69
디지털 콘텐트 평가 방법 2가지는 무엇이 있는가?
이용 중심적 평가: 이용자 의견조사, 이용자 관찰 등 이용통계에 의한 평가: 로그데이터 이용 등
70
메타데이터의 개념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정보에 대한 정보로 정의된다. 메타데이터는 정보 객체 또는 정보 자원을 구성하는 다양한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Meta: '에 관한', '후에', '상위의' 등의 의미를 지닌다 Data: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정보 조각(bit)으로, 비디지털(non-digital) 데이터도 포함된다.
71
메타데이터의 일반적인 유형 3가지를 말해보시오.
• 기술용 메타데이터 (Descriptive metadata): • 관리용 메타데이터 (Administrative metadata): • 구조용 메타데이터 (Structural meta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