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정보의 저장과 인출을 통해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학습한 내용을 유지하는 것은?
기억
2
기억의 측정 세 가지는?
회상, 재인, 재학습
3
기억의 측정 중에서 주관식, 단답형을 의미하는 것은?
회상
4
기억의 측정 중에서 4지선다, OX퀴즈를 의미하는 것은?
재인
5
첫날 무의미 철자 목록을 더 많이 연습할수록 둘째 날 재학습하는 데 반복이 덜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한 사람과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수록 많은 것을 파지할 수 있다는 그래프의 이름은?
에빙하우스의 파지 곡선
6
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작용은?
파지
7
인간의 기억 시스템을 컴퓨터 작동에 비유한 것은?
정보처리 모형
8
정보처리 모형의 기억 과정 순서는?
부호화-저장-인출
9
정보를 기억 안에 넣는 것은?
부호화
10
기억 속에 정보를 보유하는 것은?
저장
11
기억 안의 정보를 빼내는 것은?
인출
12
기억해야 할 정보를 일시적인 감각기억으로 등록하고 단기기억으로 보내 되뇌기를 통해서 부호화 한 후, 나중의 인출을 위하여 장기기억으로 이동하는 모형은?
애트킨슨과 쉬프린의 3단계 모형
13
애트킨슨과 쉬프린의 3단계 모형에 대해 옳은 것은?
단기기억에서는 되뇌기를 통해서 정보를 부호화한다.
14
감각기억-단기기억(+되뇌기, 부호화)-장기기억 과 같은 모형은?
애트킨슨과 쉬프린의 3단계 모형
15
단기기억이 입력된 정보를 잠시 보관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입력을 이해하고 장기기억과 연결시키는 데에 적극적인 작업대 역할을 하는 기억은?
작업 기억
16
주의를 할당하고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도록 장기 기억에서 정보를 끌어오는 기억은?
작업 기억
17
다른 감각기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머릿속에 잠시 잡아뒀다가 기억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억은?
작업 기억
18
작업 기억의 종류 중 하나인 ________는 청각 되뇌기와 시공간 정보를 받아 _______으로 보낸다
중앙 집행기, 장기 기억
19
의식적 자각을 벗어난 처리(병렬처리)를 다루는 과정은?
자동 처리
20
자동 처리는 (High/Low) Track 이다.
Low
21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이 해당되는 기억은?
외현 기억
22
절차 기억과 점화, 공간, 시간, 빈도가 해당되는 기억은?
암묵 기억
23
자동화된 기술에 관련된 절차 기억과 파블로프식으로 조건형성된 자극 간 연합을 포함하는 것은?
자동처리와 암묵기억
24
공간, 시간, 빈도 정보는 (자동/통제)적으로 처리된다.
자동
25
경험과 연습을 통해 외현기억이 자동화 되는 것은?
자동처리와 암묵기억
26
외현기억의 첫 단계로, 감각 정보에 대한 즉각적이고 매우 짧은 기록은?
감각기억
27
시각 자극의 순간적인 감각기억은?
영상기억
28
청각 자극의 순간적인 감각기억은?
반향 기억
29
단기기억에 대략 7개 정도(여기에 +-2)의 정보를 파지할 수 있다고 제안한 사람은?
조지 밀러
30
언어 정보의 경우 되뇌기를 하지 않으면 신속히 소멸하는 것은 어떤 기억의 용량인가?
단기기억
31
연령과 기억과제를 수행할 때의 여러 요인들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어떤 기억의 용량인가?
작업기억
32
통제처리 전략의 종류 세 가지는?
청크 만들기, 기억술, 위계
33
보통 자동적으로 일어나고 항목들을 친숙하고 처리가능한 단위로 체제화하는 것은?
청크만들기
34
선명한 심상과 체제화 도구를 사용하는 기억 지원 기법은?
기억술
35
넓은 범위의 작은 수의 개념들이 더 좁은 의미의 개념 및 사실들로 분할되고 재분할되는 것은?
위계
36
분산 훈련의 종류 두 가지 효과는?
간격두기 효과, 검증 효과
37
시간에 걸친 분산된 부호화가 집중 훈련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효과는?
간격두기 효과
38
간격두기 효과 중 더 우수한 장기 회상을 보여주는 것은?
분산 훈련
39
간격두기 효과 중 신속한 단기 학습과 자신감을 보여주는 것은?
과잉 연습
40
‘분산 훈련의 효과적인 방법은 반복적인 자기검증’이라는 효과는?
검증효과
41
정보를 단지 읽는 것보다는 인출을 시도한 후에 기억이 증진되는 효과는?
검증 효과
42
처리 수준의 종류 두 가지는?
얕은 처리, 깊은 처리
43
단어의 문자와 같이 기본적인 수준에서 또는 단어의 발성과 같이 중간 수준에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은?
얕은 처리
44
단어의 의미에 근거하여 의미적으로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은?
깊은 처리
45
언어 정보의 처리 수준은 __ 파지에 영향을 미친다.
장기
46
처리가 (깊을/얕을)수록(의미적일수록) 파지가 우수하다.
깊을
47
__기억의 용량은 한계가 없다.
장기
48
장기기억의 정보는 단일한 특정 장소에 보관된다.(O,X)
X
49
기억은 두뇌에 기반하지만 두뇌는 기억 성분들(지각, 언어, 정서 등)을 여러 위치에 걸쳐 있는 신경망에 분산시켜 놓는 것과 관련있는 기억은?
장기 기억
50
기억은 __와 관련이 있다.
정서
51
해마와 전두엽은 __기억 시스템이다.
외현
52
사실이나 에피소드에 관한 외현 기억의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두뇌의 기관은?
해마
53
정보의 종류에 따라 __와 연결된 우뇌와 좌뇌에 저장된다.
해마
54
해마와 전두엽의 신경이 동시에 활성화 되는 때는?
수면
55
뇌가 포착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기억 응고화
56
주로 (낮/밤)에 수면은 기억 응고화를 지원한다.
밤
57
소뇌와 기저 신경절은 __기억 시스템이다.
암묵
58
외현기억 시스템의 기관 두 가지는?
해마, 전두엽
59
암묵기억 시스템의 기관 두 가지는?
소뇌, 기저 신경절
60
고전적 조건형성에 의해 생성된 암묵 기억을 형성하고 저장하는 기관은?
소뇌
61
자동적인 기술 습득과 같은 절차 기억을 형성하는 곳은?
기저 신경절
62
__적 각성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시키고, 이는 ___를 활성화시키며, 이는 두뇌의 기억 형성 영역을 활성화시킨다.
정서, 편도체
63
정서적으로 중차대한 순간이나 사건에 대한 선명한 기억은?
섬광기억
64
선명함과 회상에 대한 확신도가 높지만, 되뇌기를 반복함에 따라 오류 가능성도 높아지는 기억은?
섬광기억
65
정서 관련 기억과 관련된 기관은?
편도체
66
암묵 기억은 __기억이라고도 한다.
내현
67
기억 정보들은 상호 연결된 연합의 ___으로 저장된다.
망조직
68
꺼내고 싶은 정보를 __정보라고 한다.
표적
69
기억의 인출을 돕는 단서를 __ __라고 한다.
인출 단서
70
인출 단서는 표적 정보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점으로 작용한다.(O,X)
O
71
보다 (많은/적은) 인출 단서를 가지고 있을수록 꺼내려는 기억으로 통하는 통로를 찾아 낼 가능성이 크다.
많은
72
최선의 인출단서는 우리가 기억을 ___할 때 형성한 연합으로부터 도출된다.
부호화
73
기억은 전부 해마가 담당한다.(O,X)
X
74
인출 단서의 종류 네 가지는?
점화, 맥락의존 기억, 상태의존 기억, 계열위치 효과
75
점화는 __ ___ 라고도 한다.
연합 깨우기
76
점화에서 연합 깨우기는 __을 활성화시킨다.
뉴런
77
연합되어 있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활성화되는 현상은?
점화
78
부호화 할 때와 인출 할 때의 맥락이 동일할 때, 회상이 우수해지는 인출 단서의 종류는?
맥락의존 기억
79
한 상태일 때 기억한 것은 같은 상태일 때 더 잘 회상한다는 인출 단서의 종류는?
상태의존 기억
80
처음 항목을 더 잘 기억한다는 것과 관련된 효과는?
초두 효과
81
마지막 항목이 잘 기억에 남는다는 것을 뜻하는 효과는?
최신 효과
82
목록에서 처음 항목과 마지막 항목들을 더 잘 회상하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인출 단서의 종류는?
계열위치 효과
83
특정 기억에 국한된 단서와 맥락이 그 기억을 회상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원리는?
부호화 명세성의 원리
84
맥락 의존 기억과 비슷한 의미의 원리는?
부호화 명세성의 원리
85
현재의 좋은 기분이나 나쁜 기분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경험을 회상하는 경향성을 뜻하는 기억은?
기분 부합 기억
86
교수님을 동네마트에서 뵀을 때 인출 시간이 높아지는 것은 어떤 인출 단서와 관련있는가?
맥락의존 기억
87
커플이 싸울 때 전에 싸웠던 일들이 연관되어 떠오르는 것은 어떤 인출 단서와 관련있는가?
상태 의존 기억
88
단어책을 사서 공부한 후 시간이 지났을 때 첫 단어와 마지막 단어를 더 잘 회상하는 것은 어떤 인출 단서와 관련있는가?
계열 위치 효과
89
술 마신 후 공부하면 술 마시고 시험을 보았을 때 시험을 더 잘 볼 수 있다는 것은 어떤 인출 단서와 관련있는가?
상태 의존 기억
90
단어를 외우게 하고 바로 시험을 보았을 때 최신 단어를 더 잘 기억한다는 효과는?
최신 효과
91
단어를 외우게 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시험을 보았을 때 처음 단어를 더 잘 기억한다는 효과는?
초두 효과
92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지 못하는 병은?
진행성 기억상실증
93
비언어적 과제는 학습 가능하지만 학습하였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병은?
진행성 기억상실증
94
숨은그림 찾기,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등은 ____ 과제이다.
비언어적
95
과거의 정보를 인출하지 못하는 병은?
역행성 기억상실증
96
망각의 이유 다섯가지는?
부호화 실패, 저장 소멸, 인출 실패, 간섭, 동기화된 망각
97
알아차리지 못한 감각의 대부분과 ___에 __한 것들은 기억할 수 없다.
부호화, 실패
98
부호화에 실패하는 특징 두 가지는?
연령, 주의
99
연령이 증가하면,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기억할 수 없다는 것은 망각의 이유 중 무엇인가?
부호화 실패
100
부호화에 실패하면 __ 기억에서 __기억으로 갈 수 없고 __ 기억에서 인출할 수 없다.
작업, 장기, 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