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청각을 담당하는 달팽이관의 내림프액에서 외림프액보다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유모세포의 탈분극을 일으키는 이온은?
포타슘이온(K+)
2
18세 남자가 열이 나고 기침이 심해서 왔다. 체온은 39도 였고, 청진에서 쌕쌕거림과 치찰음이 들렸다. 체온증가와 연관있는 부위는?
B
3
위팔 골격근을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관찰되는 감각수용기에 분포하는 운동신경섬유의 유형은?
5
4
68세 남자가 최근 얼굴표정이 없어지고 느리게 걷는다고 왔다. 팔의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었고, 손가락에서 알약을 굴리는 듯한 주기적인 떨림이 관찰되었다. 감소 또는 소실 가능성이 높은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
5
보기 참고
Broca의 실어증
6
80세 남자가 오른쪽 팔과 다리의 마비를 주소로 응급실에 왔다. 이와 함께 운동성실어증이 동반되었으며 MRI 촬영 결과 뇌경색이 온 것으로 진단되었다. 팔의 마비와 관계가 깊은 부위는?
중심앞이랑
7
75세 남자가 뇌졸중 후에 얼굴 왼쪽 반과 왼쪽 팔 마비가 생겼다. '이'라고 말해보라고 하면 오른 입술이 벌어져 치아가 보이지만, 왼 입술은 움직이지 않았다. 재미있는 농담을 하면 양쪽 입꼬리가 위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면서 웃었다. 손상이 예상되는 부위는?
대뇌겉질 운동영역
8
뇌졸중 환자가 선언적 기억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이 환자에서 손상된 뇌의 부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해마
9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에서 기억감퇴와 기억감퇴치료에 가장 관련 있는 신경전달 물질은 무엇인가?
아세틸콜린
10
응급실에 다량의 출혈이 의심되는 환자가 내원하였다. 이 환자의 수축기/이완기 혈압은 90/60mmHg였고, 심박동수는 분당 120회였다. 이 환자에서 볼 수 있는 생리적 변화로 적절한 것은?
혈당 증가
11
72세 남자가 평소 손이 떨리고 걷기가 힘들어서 병원에 왔다. 신체진찰에서 활동떨림은 없었고 안정시떨림과 팔다리 경직이 관찰되었다. L-dopa 투여시 증상이 호전되었다. 병변 부위는?
흑질
12
만성콩팥기능부전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혈액검사를 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어떤 호르몬이 감소하여 나타나는가?
적혈구형성인자
13
23세 여자가 상복부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다. 통증은 공복시에 더 심하였다. 위산과다에 의한 위궤양으로 진단되어, omeprazol 계열의 약을 처방받았다. 이 환자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히스타민에 의한 H2 수용체 자극이나 가스트린 분비 증가 등이 산분비를 촉진한다.
14
40세 남자는 취침 도중 심한 흉통과 더불어 반복되는 기침을 주소로 병원에 왔다. 내시경 검사 결과 하부식도에 심한 염증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하부식도 괄약근의 이완을 유발하여 이 남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호르몬은?
혈관작용 장펩티드
15
구급대에 의해 응급실로 실려 온 사람이 뇌동맥폐색으로 인한 뇌경색으로 진단되었다. 의사는 이 환자에서 향후 흥분성 독성으로 뇌손상이 더 진행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글루탐산염(glutamate)
16
30세 여자가 물체가 겹쳐 보이고, 다리에 힘이 없어 걸어다니기 힘들어서 왔다. 1년 전부터 수차례 시야흐림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었다고 한다. 신경전도 속도가 느려졌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질환의 특징적인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신경전도 속도가 느려진 이유는?
말이집탈락
17
내장근육과 뼈대근육의 수축력을 비교분석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뼈대 근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내장근육의 수축력만 감소시키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제재는?
미오신 가벼운사슬 키나아제 활성 억제제
18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위장관 운동을 측정한 결과 공복 시 위와 장관의 정상적인 주기적 수축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위장관 호르몬으로 적절한 것은?
모틸린
19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는 남자가 병원에 왔다. 바륨조영술검사 결과 식도저류 및 식도내경확대가 관찰되었다. 이 환자의 검사 소견과 관련된 해부조직학적 구조는?
하부식도괄약근의 근육층신경얼기
20
45세 남성이 상복부의 끊어지는 아픔을 호소하였다. 통증은 공복 시에 더욱 심히졌고 아파서 잠을 깨기도 하였다. 잠혈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시메티딘(H2-receptor antagonist) 복용시 통증이 감소하였다. 환자의 증상과 관련이 있는 세포의 종류는?
벽세포(parietal cells)
21
보기 참고
십이지장으로 담즙 배출이 되지 않음
22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는?
소장절제
23
사람의 체온이 41도를 넘는 경우 예상되는 인체의 변화는?
파종혈관내 응고
24
21세 남자 마라톤 선수가 정기 신체검사를 받았다. 신장은 170cm, 체중은 58kg였고, 혈압 및 심전도 소견은 정상이었다. 정상인에 비해 이 선수의 뼈대근육에서 증가하는 것은?
미토콘드리아 함량
25
18세 소년이 다이빙을 하다가 머리를 다쳐 응급실로 왔다. 체온은 39.5도로 높았지만, 혈액검사에서 염증이나 감염을 의심할 소견은 없었다. 뇌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서 뇌손상이 확인되었다면 예상되는 손상 부위는?
앞쪽 시상하부
26
50대 여자 환자가 신던 신발이 맞지 않고, 손이 커지며, 두통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CT 검사결과 뇌하수체에서 종양이 발견되었다. 이 환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당뇨병 발병 가능성이 높다.
27
27세 여성이 가슴의 두근거림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더운 것을 못 참고, 식사를 잘 함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지난 1년간 줄었다고 하였으며, 지난 두 달 동안 월경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임신 테스트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증상과 관련된 호르몬은?
갑상샘 호르몬
28
35세 여자의 혈액검사에서 트리요오드티로닌(T3)과 티록신(T4)의 농도가 증가되었고,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이 여자에게서 감소하였으리라 예측되는 것은?
총말초저항
29
45세 여자가 체중이 줄고 가슴이 두근거려서 왔다. 혈액검사에서 티록신 농도가 증가되어 있고 갑상샘자극호르몬 농도는 감소되어 있었다. 갑상샘 스캔에서 갑상샘의 크기는 정상보다 작아져 있었다. 진단은?
갑상샘호르몬제 과다 복용
30
보기 참고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
31
50세 여자가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복부전산단층촬영에서 부신 2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었고 혈액검사 결과 알도스테론 수치가 증가되어있었다. 이 환자에게서 나타난 변화는?
혈장 레닌 농도 감소
32
32세 남자가 소변이 자주 마렵다고 왔다. 신장은 175cm, 체중은 115kg이었고, 토리여과율은 140ml/분, 혈당은 300mg/dl이었다. 요세관 포도당 최대수송치는 300mg/분이다. 포도당 재흡수와 관련된 문턱값은 고려하지 않고 계산한 포도당배설율(mg/분)은?
120
33
보기 참고
이차성 부갑상샘항진증
34
55세 여자가 의도하지 않음에도 춤추듯이 움찔거리는 행동과 치매 증세를 보인다며 보호자에 의해 병원에 왔다. 환자의 어머니와 친척 몇 명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다 사망했다. 다음 중 이 환자의 뇌에서 가장 많이 소실되었으리라 예상되는 신경세포는?
striatopallidal neuron
35
보기 참고
thyroperoxidase 기능 억제
36
36세 남자가 머리가 깨질 듯이 아파서 혈압은 180/120mmHg이었고, 혈액검사 및 배초음파 검사, 조직검사에서 레닌분비종양이 확인되었다. 토리여과율이 증가되는 기전은?
토리날세동맥 수축
37
콩팥 바로 위 접하고 있는 후복막의 장기가 제거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 증상에 해당하는 것은?
소변으로 염분 및 수분 소실의 증가
38
당뇨병으로 오래 고생하던 60세 남자가 의식이 흐려져 병원에 왔다. 호흡은 빨라져 있고 동맥혈 검사에서 pH는 낮아져 있었다. 정상인(실선)과 환자(점선)의 혈색소 산소-해리곡선이 적절하게 표시된 것은?
3
39
허리가 심하게 아파서 병원을 찾은 50세 여성 환자의 X-ray 사진에서 요추의 압박 골절과 함께 골다공증이 관찰되었다. 피부는 비슷한 연령대의 피부 정상보다 얇고 곳곳에 멍자국이 보였다. 팔다리는 가늘었고, 배와 어깨 부위에 지방이 유난히 많았다. 검사결과 고혈압과 고혈당이 있었고, 뇌하수체전엽에서 종양이 관찰되었다. 진단은?
쿠싱병
40
보기 참고
7.2 18 30
41
8세 여아가 3일 동안 반복된 욕지기와 구토로 왔다. 한 달 전부터 갈증이 심해지고 밤에 소변을 자주 보러가며 평소에 비하여 식사량도 증가하였다고 한다. 식사량 증가를 초래한 체내 에너지 대사과정의 변화는?
해당작용의 감소
42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는 아래 그림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 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에 sulfonylurea제제를 투여하였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췌장세포 내부의 변화로 가장 옳은 것은?
전압의존성 칼슘통로의 활성화
43
60세 여자가 길에서 넘어진 후 생긴 허리 통증으로 병원에 왔다. 골밀도 검사 결과 T-score가 -3.2로 나왔다. 이러한 질환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에스트로겐 감소
44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고환의 버팀세포(Sertoli cell)에서 분비한다.
45
30세 남자가 교통사고로 응급실에 왔다. 사타구니 부위에 통증이 있어, 촉진 및 조직검사를 통해 고환 손상을 확인하였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변화는?
근육 양 감소
46
아래 그림은 정상 여성의 월경주기 동안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보여준다. 4개의 호르몬 곡선 중에서 난포자극호르몬(FSH)과 에스트로겐 농도변화 곡선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B, C
47
평균 28일인 여자의 월경 주기 중에는 두 번에 걸쳐 혈중 에스트로겐의 현저한 상승이 나타나는데 이를 제1상승(first surge)과 제2상승(second surge)으로 구분한다. 제2상승 때 에스트로겐이 분비되는 곳은?
황체
48
성관계 후 피임을 위해 복용하는 과량의 프로게스테론 제제의 작용 기전은?
착상을 방해
49
다음 중 단거리 선수와 비교해서 마라톤 선수의 근육에 더 많이 분포하는 연축 근섬유(twitch fiber)에서 높은 것은?
미토콘드리아 수
50
26세 여자가 동남아 여행 후 발생한 고열로 병원에 왔다. 해열제를 먹었으나 효과가 없었다고 하였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증가되어 있었다. 호중구 백혈구 등은 세균 감염일 때 옵소닌화를 통해 세균을 제거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세균을 세포내로 유입시키는 현상은?
phagocy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