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은 병인과 발병에 대한 개념설명이다. 틀린 것을 찾으시오.
병인이 있으면 반드시 병이 발병한다.
2
다음은 육음에 대한 개념설명이다. 틀린 것을 찾으시오.
육이란 과도하거나 바르지 못하다는 뜻으로 부정지기에 속하므로 육기는 육사라고도 불린다.
3
육사의 임상적 특징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풍사 1)양사이고 밖으로 빠져 나가는 성질이 있어 인체의 양의 부위에 침입한다. 2) 풍사는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3)육사 중 유일하게 다른 병인과 결합하여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4) 풍사는 간에 상응한다.
4
육음의 일반적 특징 중 틀린 것은?
단독으로 발병하지 못하고 다른 요인과 함께 발병한다
5
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여기는 서로 전염되나 연령에 따라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6
육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서사 1)서는 여름을 주관하는 기로서 화열로부터 변화된 것이다 2)서사가 병을 발생시킬 때에는 명확한 계절성을 가지는데 주로 하지 이후 입추 이전에 많이 발생된다. 3)서사는 완전히 외사에 속하지 않아 내외의 구분이 분명하게 존재한다 4)서사로 인한 열병이 가벼울 때는 상서라 하고 중하면 중서라 한다
7
칠정의 정의에 관해 틀린 설명을 고르시오
즉, 기쁨,노여움,번뇌,고통,슬픔,두려움,놀람의 일곱 가지 정서의 변화로서, 인체가 객관적인 사물의 자극에 대해 일으키는 반응이다.
8
칠정과 장부기혈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소장은 공포를 주관한다->지나치게 무서워하거나 놀라면 소장을 손상시킨다
9
칠정의 발병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지나치게 기쁘면 기가 응집된다
10
칠정과 정지변화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정지변화의 이상은 위험한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혈압증 환자가 번뇌하고 노하게 되면 풍양이 급격하게 형성되면서 아래로 내려가 반신불수,구안와사,졸도, 심하면 불시에 사망하게 되는 것이다.
11
어혈은 혈액이 체내에 -----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전신의 혈액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거나 혈액 운행이 ----- 경맥이나 조직에 ----되거나 혹은 경맥을 떠난 혈액이 ------않으면 어혈이 형성된다.
멈춰, 막혀, 체류, 흩어지지
12
어혈은 기허,기체,혈한,혈열 등의 원인으로 혈액의 운행이 원활하지 못해 혈액이 응체되어 형성된다 다음 중 기허,기체,혈한,혈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혈한되어 혈액의 운행 기능이 상실되면 혈액순환이 늦어지고,또는 혈액을 통솔하지 못해 혈이 맥 밖으로 넘쳐나 어혈이 생기게 된다.
13
변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변증과정은 시진을 통해 얻은 각종 자료들을 종합 분석하고 판단하여 질병을 인식하고 진단하는 방법이다
14
다음은 팔강변증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정사의 투쟁에서 사기가 왕성한 것은 허증으로 정기가 허약한 것은 실증으로 분류됨
15
빈칸을 채우시오 한열은 음양의 --------를 반영한다 양이 성하면 ---하고 음이 성하면 ---이 된다 한열변증의 치료원칙으로 한증은 -----약 또는 ----약 열증은 ----약 또는 -----약을 사용한다.
편성편쇠, 열, 한, 온약, 열약, 한약, 양약
16
다음의 표를 완성하시오. 단, 표에 나와있는 순서대로 답을 선택하시오 왼쪽에서부터 1번(한열)~8번(맥)의 순서 ※오한증먼저 답하고 열증을 답하시오. 한증: 한열. 구갈. 안색. 사지. 대변. 소변 설상 맥 : : 열증:
오한 찬 것 싫어함, 목이 마르지 않음, 창백, 차다, 묽다, 맑고 많다, 설색: 희다 설태: 희고 습윤, 지, 발열 찬 것 좋아함, 목이 마르고 찬 것 즐김, 붉다, 따뜻하다, 굳다, 적고 붉다, 설색:붉다 설태:누렇고 건조, 삭
17
다음 표를 작성하시오 단, 왼쪽부터 순서대로 작성하여야 함 1번(병력)~7번(맥상) ※허증 먼저 답하고 실증을 답하시오 허증. : 병력 체질 형태 동통 대소변 설상 맥상 : : : : 실증 :
오랜병, 허약, 정신상태 활기 없고 몸이 피로,무력, 숨결이 약하고 말을 잘 안한다, 은은한 통증 누르면 시원하다, 대변 묽음 소변 맑고 많다, 설질 연하고 설태 적다, 가늘고 약하다, 새병, 장실, 정신이 흥분상태, 목소리 높고 숨결이 거칠다, 통증, 누르면 싫어한다, 대변 굳고 소변 적고 붉다, 설태 두껍고 끈적끈적하다, 충실하고 힘이 있다
18
다음 표를 채우시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음증 먼저 답한 다음 양증을 적으시오※ 음증: 안색 발음 호흡 설상 사지 대소변 맥상 양증:
창백 윤기가 없다, 낮다, 미약 숨이 차다, 희고 연하며 설태가 윤화하다, 발이 싸늘하다, 대변:비린내가 남 소변: 맑고 많다, 침,미,세,삽,지 약하며 무기력하다, 약간 붉거나 벌겋다, 높다, 숨결이 거칠고 숨이 차다, 혀가 붉고 설태가 누렇고 마르며 검거나 설자가 돋는다, 발이 뜨겁다, 대변: 굳거나 변비 소변: 붉고 적다, 부,홍,삭,대,활,실 유력하다
19
팔강변증과 치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ㆍ
20
틀린 것은?
음경-사지의 외측을 순행하고 태음,소음,궐음으로 구별한다.
21
틀린 것은?
삼양경은 심장에서 이어진다
22
오미의 성질과 작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감미(떫은 맛)-보,화,완: 보하고 자양하고 완화작용
23
약의 보사 작용 개념 설명 중 틀린 것은?
병증의 허실에는 음양과 한열의 구별이 있지만 한약의 사용에서는 음양과 경맥을 기준으로 삼아 약의 사용을 결정한다.
24
약의 보사 작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보양약->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여 소양증을 없앤다》양허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