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총의치를 제작할 때 가상교합면을 형성하는 기준은?
캠퍼평면
2
다음에서 설명하는 하악위로 옳은것은? - 치아의 교모,정출,결손등에 의해 변화한다 - 형태적,기능적으로 정상적인 교두감합 상태이다. - 상,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최대로 접촉하는 상태이다
중심교합위
3
상체를 세운상태에서 저절로 안정되는 하악위로 총의치 제작 시 교합고경 결정에 이용되는 것은?
하악안정위
4
치아의 결손과 상실에 따른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치조와의 골성장 완료는 6개월이 소요된다
5
전부금속관의 장점으로 옳은것은?
치아의 형태 재현성이 우수하다.
6
전부금속관의 적응증으로 옳은것은?
우식이환율이 높은 사람의 치아
7
상악 전치부의 심미보철물로 전부도재관(all ceramic crown)을 추천하는 이유는?
자연치와 투명도가 유사하다
8
상악중절치에 치간틈새가 있는 경우, 치아삭제를 최소화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보철물은?
도재 라미네이트베니어
9
금속도재관의 적응증으로 옳은 것은?
파절된 전치부 치아
10
심미성이 가장 우수한 보철물은?
porcelain jacket crown
11
collapses crow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금속도재관의 순측의 금속부분을 제거하고 도재로만 변연을 형성하였다
12
27세 여자가 정중이개로 내원하였다.치아를 최소로 삭제 하면서 심미적 개선이되도록 요구할때 추천할 수 있는 보철물은?
도재 라미네이트 베니어
13
상악 전치부의 심미보철물로 전부도재관(all ceramic crown)을 추천하는 이유는?
자연치와 투명도가 유사하다
14
상악중절치 치간틈새가 있는 경우, 치아삭제를 최소화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보철물은?
도재라미네이트 베니어
15
전부도재관(all ceramic crown)과 비교하여 전부금속관(full metal crown)의 장점으로 옳은것은?
치질 삭제량이 적다
16
전부도재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제작시간이 짧다
17
상악우측 제1대구치는 발거하고,다른 치아는 건전한 경우에 적합한 보철물은?
가공의치
18
가공의치(crown&bri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가공의치의 최소 단위는 3 unit이다
19
가공치(ponti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Modified ridge lap 형의 가공치는 상악전치에 많이 사용된다
20
가공치(pontic)의 형태 중 그 밑면이 조직에 접하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은?
Sanitary or hygienic
21
가공의치(crown&brid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지대장치는 삭제된 지대치에 접착된 치관외 수복물이다.
22
가공치(ponti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가공치의 교합면은 자연치아보다 가능한 좁게 제작한다
23
금관 제작 과정에서 치은압배 후에 실시하는 술식은?
최종 인상채득
24
26세 여자가 상악우측 중절치 결손으로 치과에 왔다.심미보철을 할 때 색조를 선택하는 방법은?
태양광선과 가까운 인공광선에서 선택한다
25
전부금속관을 제작할 때,교합기에 상.하악 모형을 구강내와 같은 상태로 재현하기 위한 진료과정은?
교합채득
26
금속도재관 제작을 위한 색조선택 방법으로 옳은 것은?
밝은 자연광 아래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27
전부금속관을 제작하고자 할 때 정밀인상채득 다음으로 진행되는 임상과정은?
교합채득
28
실활치 지대축조 시 단점으로 옳은 것은?
치근의 천공발생 가능성이 있다
29
치은압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변연치은의 일시적 배제를 위해 사용한다
30
하악 제1대구치에 임시치관을 제작하고자 한다.임시치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지대치와 치주조직을 보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