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미국 - 처음으로 대학 수준의 간호교육이 시작
2030
2
미국 - 연구활동 보고서 출판 aout 간호교육과 행정
3040
3
미국 - 간호 연구비 지원. from 민국재단, 국가재단
50
4
한국 - 간호문제를 학문적으로 해결하려 한 시기
50
5
미국 - 타 분야와의 공동연구 증가
60
6
한국 - 본격적인 국내 간호 연구 시작
60
7
한국 - 대학원 과정 창설
60
8
미국 - 연구 주제의 전환. from 간호교육, 행정 to 환자간호, 간호실무
70
9
한국 - 연구방법론 다양화. 질적연구(현상학적, 민속학적 방법)
70
10
미국 - 임상 간호연구 증가
80
11
미국 - 간호 연구 전문 저널 증가
80
12
한국 - 간호이론을 연구의 틀로 사용
80
13
한국 - 연구방법론이 세련되어짐
80
14
미국 - 전국적 단위의 연구 증가
90
15
미국 - 국립간호연구센터가 국립간호연구원으로 승격됨
1993
16
한국 - 간호의 관심이 다양화됨. 이에 괄목할만한 변화가 나타남
90
17
한국 - 간호학적 지식체의 생성에 관심, 고유한 간호 기술에 관심
90
18
한국 - 다양한 기준에 의한 분석
2000
19
한국 - 게재 논문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
2000
20
한국 - 특정 기간을 중심으로 한 분석보다는 특정 주제나 개념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