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물속에서 발아가 잘되는 것은?
벼
2
다음 중 지상발아형 작물은 무엇인가?
콩
3
화본과 잡초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둑새풀, 돌피
4
품종의 유전적 퇴화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근교강세
5
종자의 내적 휴면의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온도, 수분, 산소 및 광선 등이 발아에 부적당한 경우
6
생화학적 검사의 일종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수개 월씩 걸리는 발아검사보다 종자의 발아능력을 빨 리 알 수 있어서 간이검정법 또는 Quick Test라고 도 불리는 검사는?
테트라졸륨검사
7
수확 직후 휴면 중인 종자의 발아력을 신속히 검사 할 수 있는 방법은?
지베렐린과 티오요소 혼합액에 의한 검사법
8
다음 중 종자 발아촉진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암모니아(Ammonia)
9
종자저장 중 병해충 방제로 사용되는 훈증제의 형태가 아닌 것은?
산 소
10
다음 중 화아유도에 영향을 끼치는 내⋅외적 조건 이 아닌 것은?
바 람
11
종자의 저장조직이 아닌 것은?
배
12
속씨식물 배낭형성과정 중 배낭세포의 핵분열 횟수와 핵의 숫자는 몇 개인가?
핵분열 횟수 : 3회, 핵의 숫자 : 8개
13
생식세포가 감수분열하여 암수배우자(Gamete)를 만들고 이들 배우자가 수정하여 접합자(Zygote)를 이루는 생식방법은?
유성생식
14
다음 중 암술부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꽃 실
15
1대잡종 종자 생산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열의 법칙
16
다음 중 경종적 병충해 방제방법으로 맞는 것은?
돌려짓기
17
작물재배 시 생력화의 가장 커다란 효과로 옳은 것은?
중노동에서 탈피하고, 고용노동력의 비중을 낮 춘다.
18
작물의 야생형이 재배형으로 순화하면서 겪는 변화 중 옳지 않은 것은?
탈립이 쉽도록 변하였다.
19
다음 중 해당 작물의 도입품종으로 틀린 것은?
복숭아 - 유명
20
기후가 서늘한 산간 고랭지에서 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메 밀
21
다음 중 벼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애멸구
22
토양이 너무 산성화되면 이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양분은?
인 산
23
작물육종의 전망으로 알맞은 것은?
신품종의 개발에 관한 지적재산권이 보호될 것 이다.
24
다음 중 정립(Pure Seed)이 아닌 것은?
미발아립
25
씨감자를 생장점 배양할 때 주로 이용되는 조직은?
감자줄기의 끝눈
26
1대잡종 종자 채종 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해서 상업적으로 종자를 얻는 대표적 작물은?
배 추
27
CA저장의 원리로 옳은 것은?
O 2 의 농도를 줄이고, CO 2 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28
양적 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소수의 주동유전자에 의해서 나타난다.
29
다음 중 무배유 종자인 것은?
콩
30
종자의 수명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광 선
31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재배식물과 근연종을 가지고 지리적 미분법으로 재배식물 기원에 대해 연구 한 학자는 누구인가?
바빌로프(Vavilov)
32
벼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벼물바구미
33
다음 중 옥수수의 생육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34
멀칭재배의 효과로 틀린 것은?
수분 증발을 촉진시킨다.
35
작물의 온도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 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36
다음 중 대표적인 중일성 작물은?
고 추
37
다음 중 벼 또는 보리에 종자전염하는 병균이 아닌 것은?
모잘록병균
38
영양번식의 이점(利點)이 아닌 것은?
풍토 적응성이 떨어진다.
39
당근씨앗의 일반적인 발아율은?
50~55%
40
다음 육종방법 중 3가지 방법과 다른 육종방법은?
집단육종법
41
다음 중 조합능력을 개량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집단선발법
42
원예작물의 채종포를 넓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43
작물의 수량증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심는 거리는 되도록 밀식한다.
44
화훼식물 중 구근식물인 달리아와 작약은 어디에 속하는가?
덩이뿌리(괴근)
45
다음 중 세포질⋅핵 유전형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1대잡종종자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체계가 확 립된 작물은?
고 추
46
다음 중 작물의 육종과정에서 교배과정을 거치지 않고 재래종 집단 내에 있는 우수한 개체들을 선발 하고 고정하여 품종을 만드는 방법은?
분리육종법
47
다음 중 품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F 1은 1대잡종이므로 품종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48
다음 중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1대잡종 종자를 얻는 것으로만 나열한 것은?
토마토, 옥수수
49
다음 중 종자세 검사방법의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특수한 훈련을 받은 사람이 하여야 한다.
50
다음 중 채종포와 교잡식물과의 격리거리가 가장 멀어야 하는 것은?
시금치
51
다음 중 비선택성 제초제는?
글라이포세이트 액제
52
다음 중 종자의 타발적 휴면에 해당하는 것은?
수분이나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
53
후숙처리 시 주요한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광 선
54
좋은 품종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연차변이가 큰 품종
55
채종재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자가불화합성은 양파⋅옥수수⋅당근⋅고추 등 의 F 1 채종에 활용되고 있다.
56
종자보증을 위한 검사원의 포장확인 및 조사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DNA를 분석하여 품종을 확인한다.
57
불임과 관계되는 환경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 양
58
재래종 기본집단에서 특정한 형질을 가진 순계를 선발하는 방법은?
순계분리법
59
논토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토양색은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띤다.
60
다음은 어떤 작업을 위한 준비과정인가? 모본은 꽃봉오리 때 꽃가루 주머니를 따내고 봉지를 씌우며, 부본은 꽃이 피기 전에 봉지를 씌운다.
암수한꽃 식물의 교잡